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반야심경으로 보는 불교사상

반야심경으로 보는 불교사상

(21세기 사상.교양선 1)

김영무 (지은이)
현대미학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7,8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반야심경으로 보는 불교사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반야심경으로 보는 불교사상 (21세기 사상.교양선 1)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7272026
· 쪽수 : 342쪽
· 출판일 : 2006-02-05

책 소개

극작가 김영무 씨가 현장 법사의 '반야심경'을 해설하여 펴낸 책. '반야심경'에 담겨 있는 '공(空)사상'과 더불어 불교사상의 핵심을 살필 수 있도록 안내한다. 기존의 수행자나 학자들의 시선이 아닌, 작가의 눈으로 '반야심경'의 내용을 풀이하였다.

목차

머리말 : 빙벽 도전기
반야심경 전문

제1장 반야심경의 윤곽

1. 마하반야
참고 1 - 방편
참고 2 - 법

2. 바라밀다

3. 심경
참고 3 - 여래
참고 4 - 여시아문
참고 5 - 아함경

제2장 보살의 세계

4. 관재재보살
참고 6 - 불학의 종교화
참고 7 - 불교와 예술
참고 8 - 중관학
참고 9 - 유식학
참고 10 - 유명 보살들

5. 행심반야바라밀다시

6. 조견오온개공
참고 11 - 무아론
참고 12 - 윤회론

7. 도일체고액
참고 13 - 사섭법

제3장 공과 중도

8. 사리자
참고 14 - 육사외도

9. 색불이공 공불이색
참고 15 - 중도론

10. 색증시공 공즉시색
참고 16 - 탄트라 밀교

11. 수상행식 역부여시

제4장 우주의 모습

12. 사리자
13. 시제법공상
14. 불생불별 불구부정 부증불감

제5장 불이의 세계

15.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16.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참고 17 - 연기론

17. 무고집멸도
18. 무지역무득
19. 이무소득고

제6장

20. 보리살타
21. 의반야바라밀다고
22. 심무가애
23. 무가애고 무유공포
24. 원리전도몽상
25. 구경열반
26. 삼세제불

제7장 신비의 세계

27.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막삼보리

28. 고지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참고 18 - 밀교

29.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30. 고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영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9 대구 교육대학 졸업 2004-2010 계간 연극잡지 『극작에서 공연까지』 주간 역임 7년 1969 중앙일보 신춘문예 희곡부문으로 문단 데뷔 _수상 1985 한국 희곡 문학상 2002 행원 문학상(行願 文學賞) 2003 한국 문학대상 2010 예총 예술문화상 2011 PAF 예술 공헌상 2022 29아나 관람전 공로상 _주요 공연희곡 작품(총 49편 중에서) 『구름 가고 푸른 하늘』, 『탈속(脫俗)』, 『엘렉트라 인 서울』, 『장 씨 일가』, 『서 교수의 양심』, _ 연극관련 저서 『달은 달』, 『퇴계 선생 상소문』, 『보물찾기』, 『동양극장의 연극인들』, 『무성영화 시절의 유명변사 해설집』, 『드라마의 본질적 이해』, 『서양연극의 총체적 개념정리』, 『한국의 동인극단 50년사』
펼치기

책속에서

중생(衆生)이란 본래 생명을 지닌 모든 동물을 말하다. 불교에서 말하는 중생이라는 개념 속에 식물은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니까 중생은 늘 나타나 있는 바깥 모양에 집착하고 그것들을 고정시키려는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경쟁과 대립을 면치 못하는 존재들이다.

달리 말하면 공사상을 체득하지 못한 존재가 곧 중생들이다. 예를 들면 불타 입멸 이후 제1차 경전을 편찬할 때, 불타의 법문을 가장 많이 기억하고 암기해낸 사람으로 알려진 아난다는 다름 아닌 불타의 이종 사촌형이었다. 그는 불타를 가장 가까이서 그리고 가장 오랜 동안 시봉(侍奉)한 셈인데도 불타가 입멸한 이후에야 비로소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그는 늘 자신이 불타의 형이라는 사실이 마음에 걸려 깨달음을 얻는 데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 본문 150~151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