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가바드 기타 (신성으로 가는 길)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힌두교
· ISBN : 9791199350120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5-10-10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세계의 종교 > 힌두교
· ISBN : 9791199350120
· 쪽수 : 576쪽
· 출판일 : 2025-10-10
책 소개
인도의 영성은, 삶의 지혜는 베다들에 담겨 있다고 한다.
베다들을 주문하니 두꺼운 20여권이었다.
독파할 엄두가 나지 않아 포기하였다.
베다들의 방대한 내용들을 신 크리슈나가
요점만 간략히 정리한 것이 바가바드 기타라고 한다.
인도의 수많은 성자들을 탄생시키고
오늘날에도 간디, 헤르만 헤세, 소로 등
동서고금의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어
위대한 성자들로 변모시킨 세계의 고전이다.
우선 수트라들만 있는 것을 구해 읽어보았다.
대단히 어려웠다.
그래서 주석서가 있는 샹카라의 바가바드 기타를 번역하여 자세히 보고자 하였다.
샹카라는 논리가 너무나 정연한 분이시다.
32세에 세상을 떠난 분이시니
30세 전후의 글이라고는 믿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분의 주석서를 놓치지 않았다.
너무나 어렵다.
그러나 알아야 한다.
글 중간 중간에 간혹 나오는 가상적인 주제를 두고 가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부분들이 있다.
그것들은 너무나 어려워 삭제를 했다.
매 수트라의 해석은 새로운 용어로 다듬기도 했다.
샹카라는 바가바드 기타의 주석서의 필요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 유명한 기타 샤스트라는 모든 베다 가르침의 진수를 요약하고 있다.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그 가르침의 명료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 주석자들이 주석을 달았다. 그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나는 그것이 일반인들에게
가지각색의 그리고 매우 상반되는 학설들로 가르쳐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나는 기타의 엄밀한 의미를 정하기 위하여
간략한 주석서를 쓰기로 하였다.”
그 책을 독파하고 싶었다.
대학교 교수로서 연구와 강의 부담은 컸다.
경전을 탐독할 조용한 시간을 갖는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20년의 세월이 흐르면 나는 자동적으로 은퇴할 것이다.
그 조용한 시간에 바가바드 기타를 음미할 것이다.
은퇴한 지 12년이 되었다.
이제야 바가바드 기타의 전체 구조가 보이지 않는가......
바가바드 기타에서는 크게 두 부류의 구도자를 상정하고 있다.
기타의 질문자인 아르주나.
그는 세상에 살면서 진리를 찾고자 하는 사람이다.
또 다른 부류는 세상을 떠난 즉 출가한 수도자들이다.
그들은 가정을 떠나 전적으로 진리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출가를 이 책에서는 산야사라 한다.
찾고자 하는 점에서는 둘은 같다.
산야사의 삶이든 세상의 삶이든
평화에, 즉 니르바나에 이르기 위해서는
포기해야 한다.
생각을 포기해야 한다.
생각이 없으면 진리가 드러난다.
또 한 유형의 사람들이 보인다.
그들은 현자들이다.
진리에 이른 사람들이다.
이 책에서는 아트만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아트만은 자아가 아니다.
아트만은 자신과 우주의 중심인 그 무엇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자면 붓다가 깨달았을 때의 붓다의 상태이다.
마음으로는 지각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을 논하는 것은 시간의 낭비다.
신이라는 개념은 좀 복잡하다.
신은 크리슈나, 쉬바, 라마, 알라, 예수 혹은 붓다 등의 이미지들일 수 있다.
그것들은 형상을 가진 신의 모습이다.
그러한 형상과 하나가 되면 그는 유상 사마디에 들어간 것이다.
유상 사마디는 궁극은 아니다.
궁극은 무상 사마디에서 보인다.
그때는 크리슈나, 쉬바, 예수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한 물건이라고 하는 것 같다.
신이나 한 물건은 같은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마음으로는 궁극은 그려볼 수 없다.
무상 사마디에 이르면 진리가 보인다.
수행의 끝을 어떤 경전에서는 무상 사마디의 체험이라 한다.
또 어떤 경전들에서는 무상 사마디의 체험 이후에야
진정한 수행이 시작된다고 한다.
옮긴이는 후자를 지지한다.
이 책에서는
세상을 물질이라고 한다.
다섯 원소들, 마음, 지성, 자아가 그것들이다.
그것들은 아침 안개와 같은 것들이다.
곧 사라지는 아름다운 것들이다.
있지만 없는 것들이다.
환영과도 같은 이 세상 너머로 가는 길을
바가바드 기타는 자세하게 안내한다.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사라져도, 모든 종교들이 사라져도
모든 별들이 사라져도, 이 우주가 완전히 사라져도
이 우주의 근원은 남는다.
이 근원의 한 이름이 크리슈나이다.
그대는 근원과 다르지 않다.
왜 그런 지를 크리슈나는 이 책에서 말한다.
베다들을 주문하니 두꺼운 20여권이었다.
독파할 엄두가 나지 않아 포기하였다.
베다들의 방대한 내용들을 신 크리슈나가
요점만 간략히 정리한 것이 바가바드 기타라고 한다.
인도의 수많은 성자들을 탄생시키고
오늘날에도 간디, 헤르만 헤세, 소로 등
동서고금의 수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어
위대한 성자들로 변모시킨 세계의 고전이다.
우선 수트라들만 있는 것을 구해 읽어보았다.
대단히 어려웠다.
그래서 주석서가 있는 샹카라의 바가바드 기타를 번역하여 자세히 보고자 하였다.
샹카라는 논리가 너무나 정연한 분이시다.
32세에 세상을 떠난 분이시니
30세 전후의 글이라고는 믿을 수 없었다.
그래서 그분의 주석서를 놓치지 않았다.
너무나 어렵다.
그러나 알아야 한다.
글 중간 중간에 간혹 나오는 가상적인 주제를 두고 가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부분들이 있다.
그것들은 너무나 어려워 삭제를 했다.
매 수트라의 해석은 새로운 용어로 다듬기도 했다.
샹카라는 바가바드 기타의 주석서의 필요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이 유명한 기타 샤스트라는 모든 베다 가르침의 진수를 요약하고 있다.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래서 그 가르침의 명료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여러 주석자들이 주석을 달았다. 그렇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나는 그것이 일반인들에게
가지각색의 그리고 매우 상반되는 학설들로 가르쳐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나는 기타의 엄밀한 의미를 정하기 위하여
간략한 주석서를 쓰기로 하였다.”
그 책을 독파하고 싶었다.
대학교 교수로서 연구와 강의 부담은 컸다.
경전을 탐독할 조용한 시간을 갖는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20년의 세월이 흐르면 나는 자동적으로 은퇴할 것이다.
그 조용한 시간에 바가바드 기타를 음미할 것이다.
은퇴한 지 12년이 되었다.
이제야 바가바드 기타의 전체 구조가 보이지 않는가......
바가바드 기타에서는 크게 두 부류의 구도자를 상정하고 있다.
기타의 질문자인 아르주나.
그는 세상에 살면서 진리를 찾고자 하는 사람이다.
또 다른 부류는 세상을 떠난 즉 출가한 수도자들이다.
그들은 가정을 떠나 전적으로 진리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출가를 이 책에서는 산야사라 한다.
찾고자 하는 점에서는 둘은 같다.
산야사의 삶이든 세상의 삶이든
평화에, 즉 니르바나에 이르기 위해서는
포기해야 한다.
생각을 포기해야 한다.
생각이 없으면 진리가 드러난다.
또 한 유형의 사람들이 보인다.
그들은 현자들이다.
진리에 이른 사람들이다.
이 책에서는 아트만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아트만은 자아가 아니다.
아트만은 자신과 우주의 중심인 그 무엇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자면 붓다가 깨달았을 때의 붓다의 상태이다.
마음으로는 지각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것을 논하는 것은 시간의 낭비다.
신이라는 개념은 좀 복잡하다.
신은 크리슈나, 쉬바, 라마, 알라, 예수 혹은 붓다 등의 이미지들일 수 있다.
그것들은 형상을 가진 신의 모습이다.
그러한 형상과 하나가 되면 그는 유상 사마디에 들어간 것이다.
유상 사마디는 궁극은 아니다.
궁극은 무상 사마디에서 보인다.
그때는 크리슈나, 쉬바, 예수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한 물건이라고 하는 것 같다.
신이나 한 물건은 같은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마음으로는 궁극은 그려볼 수 없다.
무상 사마디에 이르면 진리가 보인다.
수행의 끝을 어떤 경전에서는 무상 사마디의 체험이라 한다.
또 어떤 경전들에서는 무상 사마디의 체험 이후에야
진정한 수행이 시작된다고 한다.
옮긴이는 후자를 지지한다.
이 책에서는
세상을 물질이라고 한다.
다섯 원소들, 마음, 지성, 자아가 그것들이다.
그것들은 아침 안개와 같은 것들이다.
곧 사라지는 아름다운 것들이다.
있지만 없는 것들이다.
환영과도 같은 이 세상 너머로 가는 길을
바가바드 기타는 자세하게 안내한다.
이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사라져도, 모든 종교들이 사라져도
모든 별들이 사라져도, 이 우주가 완전히 사라져도
이 우주의 근원은 남는다.
이 근원의 한 이름이 크리슈나이다.
그대는 근원과 다르지 않다.
왜 그런 지를 크리슈나는 이 책에서 말한다.
목차
샹카라의 삶 (788-820 A. D.)
옮긴이의 제5개정판의 글
제1장 아르주나가 슬퍼하다
제2장 지식의 길
제3장 행위의 길
제4장 지식의 길의 계보
제5장 행위의 포기(산야사, 세상의 포기, 수도자)의 길
제6장 명상의 길
제7장 신에 대한 지식
제8장 불멸하는 절대자에게로 가는 길
제9장 최고의 지식과 비밀
제10장 신의 거대함
제11장 신의 우주적 모습
제12장 헌신(박티)
제13장 들과 들을 아는 자
제14장 세 구나들의 구분
제15장 지고한 영
제16장 영적 성향과 물질적 성향
제17장 세 유형의 믿음
제18장 포기와 자유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