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77782679
· 쪽수 : 432쪽
· 출판일 : 2006-08-28
목차
발간사
제1부 동아시아의 민족주의
제1장 세계화시대의 중화민족주의 / 서진영
Ⅰ. 머리말
Ⅱ. 민족주의는 무엇인가
Ⅲ. 근대 중화민족주의의 등장배경과 특징
Ⅳ. 개혁 개방과 현대 중화민족주의의 특징
Ⅴ. 중화민족주의의 3가지 얼굴
Ⅵ. 민족주의는 21세기의 요괴(妖怪)인가
제2장 일본 '전후총결산'의 논리구도 / 조정남
Ⅰ. 서론
Ⅱ. 전후총결산의 배경
Ⅲ. 전후총결산의 당면목표
Ⅳ. 결어
제3장 '성공의 역설'과 중국적 사회주의의 미래 / 서진영
Ⅰ. 문제 제기
Ⅱ. 경제개혁의 성과: 압축성장과 경제사회의 이중적 전환
Ⅲ. 경제변화와 중국사회의 다원화: 계층구조의 변화
Ⅳ. 경제발전과 사회적 불평등, 그리고 사회적 갈등 증폭
Ⅴ. '정치위기'와 중국적 사회주의의 미래
제4장 대만 민족주의에 관한 연구 / 이상원
Ⅰ. 서론
Ⅱ. 민족으로서의 대만인의 정체성
Ⅲ. 민족적 정체성과 정당일체감
Ⅳ. 민족적 정체성과 통독(統獨)문제
Ⅴ. 결론
제2부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제5장 러시아 정치체제 이해와 '준(準)대통령제' 개념 / 김인성
Ⅰ. 머리말
Ⅱ. 준대통령제 개념의 등장과 이론적 세련화의 모색
Ⅲ. 러시아 정치체제 연구에서의 준대통령제
Ⅳ. 러시아 정치체제와 준대통령제 개념
Ⅴ. 결론
제6장 중국 온라인 정치참여의 함의와 전망 / 이학수
Ⅰ. 서론
Ⅱ. '열린 공간'으로서 온라인 정치
Ⅲ. '닫힌 공간'으로서 온라인 정치
Ⅳ. 중국의 온라인 정치가 당면하게 될 문제점들
Ⅴ. 결론
제7장 말레이시아의 다종족 민주주의 / 홍승헌
Ⅰ. 서론
Ⅱ. 기존 논의의 검토
Ⅲ. 다종족 사회에서의 민주주의의 조건: 무엇이 말레이시아의 민주주의를 저해하는가?
Ⅳ. 종족 균열과 계급 균열
Ⅴ. 말레이계 우선 정책: 구조적 불평등의 개선인가, 시민적 자유의 제한인가?
Ⅵ. 결론
제8장 필리핀 민주주의 공고화 과정과 그 취약성 / 이은아 ; 김형구
Ⅰ. 머리말
Ⅱ. 필리핀 정치과정의 특징
Ⅲ. 민주화 이행과정: 전략적 선택에 의한 전환
Ⅳ. 민주화 이행과 전환의 유산: 국가구조
Ⅴ. 민주화 이후 국가: 사회의 변동
Ⅵ. 맺음말
제9장 16대 대선에서의 무당파(無黨派)층 특성 및 행태연구 / 고승연
Ⅰ. 서론
Ⅱ. 기존연구 검토 및 무당파의 재유형화
Ⅲ. 인지적 무당파/정치무관심층, 관습적/인지적 정당지지층의 특성
Ⅳ. 무당파층의 투표행태분석: 인지적 무당파와 정치무관심층
Ⅴ. 결론: 무당파 증가의 원인과 그 함의
제10장 일본의 포스트 55년체제 거버넌스 형성과 발달과정 / 송종호
Ⅰ. 서론
Ⅱ. 정당의 중앙 생존전략
Ⅲ. 정당의 지방 생존전략
Ⅳ. 유권자의 탈정당화와 무당파 현상
Ⅴ. 결론
제3부 동아시아의 국제정치
제11장 북한 김일성의 Operational Code와 대미협상전략 / 조화성
Ⅰ. 서론
Ⅱ. 김일성의 전략성향과 북한의 대미협상 전략
Ⅲ. 결론
제12장 게임 이론적 관점에서 본 탈냉전기 미중 관계 / 최미진
Ⅰ. 서론
Ⅱ. 이론틀: 협상 이론과 게임구조
Ⅲ. 게임 이론적 관점에서 본 클린턴 정부기 미중 관계의 분석 사례: 나토의 유고 주재 중국대사관 오폭 사건(1999. 5. 7)
Ⅳ. 게임 이론적 관점에서 본 부시 정부기 미중 관계의 분석 사례: 미중 간 항공기 충돌 사건(2001. 4. 1)
Ⅴ. 결론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