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7783430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0-08-31
책 소개
목차
<개정 증보판> 머리말
<제1판> 머리말
제1강좌 세계화시대의 국제관계를 왜 배워야 하나?
제2강좌 국제관계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Ⅰ. 분석수준이란 무엇인가
Ⅱ. 사례분석
Ⅲ. 국제관계의 분석과 분석수준
제3강좌 국제관계의 개념과 이론
Ⅰ. 국제관계의 주요 개념들
Ⅱ. 국제정치이론의 태동: 홉스와 칸트
Ⅲ.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Ⅳ. 신현실주의와 신자유주의, 그리고 구성주의
제4강좌 스핀닥터와 국제관계
Ⅰ. 스핀닥터와 그 역할
Ⅱ. 대통령의 대언론관계: 외국사례의 검토
Ⅲ. 언론의 속성과 정부-언론관계
제5강좌 세계화시대 정부의 대언론정책
Ⅰ. 한국언론의 매체별 영향력: 수용자 조사를 중심으로
Ⅱ. 프레임이론과 스핀닥터
Ⅲ. 한국정부의 대언론정책
제6강좌 탈냉전기에 있어 국제관계에 대한 새로운 논의들
Ⅰ. 지구촌 형성은 가능한 것인가: 저비스의 반론을 중심으로
Ⅱ. 안보와 국익의 개념 변화: 나이의 논의를 중심으로
Ⅲ. 미국의 군사개입: 하아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Ⅳ. 네오콘, 민족주의, 테러리즘
Ⅴ. 국내정치의 영향력 확대
제7강좌 에너지와 국제관계
Ⅰ. 향후 동북아 역학관계의 전개양상 전망
Ⅱ. 자원외교 위기요소들의 분석
Ⅲ. 다자기구
제8강좌 세계화시대 국제관계의 이해와 보수 진보 논쟁
Ⅰ. 한국사회의 세대구성과 안보관의 변화
Ⅱ. 보수 진보 논쟁과 외교안보
Ⅲ. 보수 진보와 국제관계의 이해
제9강좌 동아시아적 가치논쟁과 동북아 안보질서9
Ⅰ. 왜 동아시아적 가치논쟁이 필요한가?
Ⅱ. 동아시아적 가치논쟁의 흐름과 동북아 안보질서구축
Ⅲ. 국제관계이론과 동북아 안보질서구축에 대한 논의
제10강좌 동북아 안보질서구축과 국제정치이론의 서구적 편향
Ⅰ. 신자유주의적 편향: 칸트적 평화론(Kantian Peace)의 비판적 고찰
Ⅱ. 신현실주의 이론의 편향과 중국위협론의 비판
Ⅲ. 구성주의 이론적용의 제한성: 공동의 정체성 형성과 국내정치적 요소
Ⅳ. 아시아적 가치가 반영된 동아시아 안보
제11강좌 대북정책과 국제관계이론
Ⅰ. 4자회담과 햇볕정책
Ⅱ. 신자유주의 및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본 4자회담과 햇볕정책
Ⅲ. 절충주의의 모색
제12강좌 한반도 안보의 변수들
Ⅰ. 한반도의 지정학적 배경과 역사
Ⅱ. 주한미군: 머리로 풀어나갈 것인가, 가슴으로 대할 것인가?
Ⅲ. 북한 핵문제: 통일 파트너와 동맹 파트너 간의 갈등
Ⅳ. 북한의 대내정치: 제2의 권력승계
제13강좌 동북아 안보의 향후 구도와 통일 한반도의 안보전략
Ⅰ. 향후 동북아 안보를 규정할 변수들
Ⅱ. 설문조사결과
Ⅲ. 통일한국의 안보전략
색인
지은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