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78012133
· 출판일 : 2008-02-25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실천적’ 문화민족주의의 허실
1. 송석하론의 과제
2. 민속학으로의 입문 과정
3. 조선의 ‘향토무용민요대회’
4. 조선 오락론과 식민주의
1) 경세제민의 오락 선도론
2) ‘총후 조선’의 오락정책론
5. 오락 선도론의 행방
제2장 손진태의 민족문화론과 만선사학
1. 손진태 읽기의 과제와 방법
2. ‘과학적’ 민족문화론의 전개
3. 손진태의 ‘번민’과 만선사학
4. 타율사관으로부터의 탈각
5. 방법론의 변화
제3장 일본인의 ‘조선민속학’과 식민주의
1. 식민주의 ‘조선민속학’론의 과제: 무속전통론을 중심으로
2. 이마무라 도모의 ‘처녀항해’
3. 무라야마 지준의 ‘관방민속학’과 식민주의
4. 아키바 다카시의 무속전통론과 식민주의
1) 조선무속론의 전개
2) 조선 사회.문화의 이중구조 모델
3) 『조선민속지』와 식민주의
제4장 조선민속학회 재고
1. 조선민속학회론의 과제
2. 조선민속학회 이전
1) ‘향토연구회’와 ‘무당회’
2) ‘숨은 민속학자’ 송석하
3. 조선민속학회의 창립과 활동
1) 조선인과 일본인의 합작
2) 『조선민속』에서 『진단학보』로
4. 조선민속학회와 식민주의
1) 『조선민속』의 ‘일제화’ 문제
2) 가족주의 ‘전통’론과 식민주의
제5장 야나기타 구니오와 ‘조선민속학’
1. 일본의 ‘조선민속학’론 재고
2. 「야나기타 민속학과 조선」
3. 「비교민속학의 문제」와 일선동조론
4. ‘원거리포’로서의 ‘대동아민속학’
보론 야나기타 민속학과 식민주의: 순국 이데올로기의 창출
1. 일본인의 ‘인생의례’와 생사관 연구
2. ‘조령신앙신학’
3. ‘칠생보국’의 주제화
4. ‘세용실익’의 죽살이 담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락 이론 면에서 볼 때, 사회정책상의 공리적 입장의 중시 곧 민중 오락의 교화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송석하의 오락 선도론과 무라야마의 '건전 오락'론은 초록동색이다. 뿐만 아니라 조선의 농어촌에 전승되는 향토 오락의 현대적 부활을 통해, 조선인의 '정서적 만족'과 '정조적 함양'을 꾀함으로써, 내일의 활동을 위한 '신 정력'을 창출하자는 전자의 입론 구성 역시 '반도 향토'의 전통 오락을 '선도'하여 '명랑화락'의 기분을 창출함으로써 생산력 증강을 위한 지구력을 확보하자는 후자의 그것과 표현상의 차이는 다소 있지만 흡사하다. 게다가 '건전한' 민중 오락의 필요조건, 그 '조장'.'진작'과 '정화'.'선도'를 위한 지도 방법, 그리고 '건전 오락'의 소재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제시에 이르기까지 양자의 '세용실익'을 위한 조선 오락론에는 일맥상통하는 점이 많다. (47쪽, '제1장 '실천적' 문화민족주의의 허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