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8897801267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0-08-0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_4
Ⅰ. 들어가는 말
1. 제3공화국과 민관식_18
2. 기존의 연구 성과들_24
3. 연구 범위와 접근 방법_31
4. 연구의 제한점_35
Ⅱ. 스포츠-체육의 이해와 국내외적 환경
1. 근대국가와 체육_40
2. 제3공화국의 국내외적 환경과 스포츠-체육 정책의 방향_50
3. 제3공화국 체제의 성격_56
4. 제3공화국 스포츠-체육 정책의 성격과 의의_65
Ⅲ. 제3공화국 스포츠-체육 정책과 제도
1. 제3공화국의 스포츠-체육 정책_80
2. 제3공화국 스포츠-체육 정책과 제도의 가시적 성과_91
Ⅳ. 대한체육회장 민관식
1. 민관식의 생애와 그의 체육관_106
2. 민관식의 스포츠-체육 정책사적 업적과 의의_128
3. 문교부 장관으로서 추진한 체육 정책_198
4. 제3공화국 스포츠-체육 정책의 집행자로서 민관식의 영향과 한계_217
Ⅴ. 나오는 말 -제왕의 시대, 그 종말 앞에서_227
참고문헌_233
찾아보기_241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5공화국 전두환 정권의 스포츠-체육 정책이 한국 스포츠-체육의 성장에 직접적으로 공헌했다면, 그 바탕에는 제3공화국 박정희 정권의 스포츠-체육 정책이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스포츠-체육 정책이 국가의 목표와 지도자의 의지에 따라 입안된다는 특수성에 비추어 보면, 군사정권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압축 성장을 성취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국민을 동원하는 데 스포츠만큼 내적 통합과 결속을 다질 수 있는 정치적 수단은 그리 흔하지 않다. 체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정권의 안정을 도모하는 가운데 대내외적으로 국가 역량을 과시하는 일은 스포츠가 가진 사회경제적 효과와 그 정치적 효과에서 비롯된다.
이 책에서 제3공화국의 스포츠-체육 정책과 관련하여 민관식이라는 스포츠-체육지도자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그가 지닌 정책의 입안과 시행 과정에서 얻은 기반 조성과 사회문화적인 함의 때문이다. 그는 절대 권력자 박정희의 대리인으로서 권력집약적인 체육행정을 주관하는 핵심적인 인물의 한 사람이었다. 그는 이러한 자신의 정치적 입지와 대리 권력자의 위상을 바탕으로 당시에는 개발도상국에 머물렀던 한국 스포츠-체육의 기반을 마련했고 향후 빛나는 스포츠-체육 발전에 주춧돌을 놓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민관식의 공적 생애 가운데 한국 체육사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시기는 제3공화국에서 절대 권력자인 박정희의 권력 대리인으로서 체육회장으로 재임한 시기이다. 그는 1964년 1월부터 1971년 7월까지 무려 7년 6개월 동안 체육회장직을 유지하면서 태릉선수촌 건립, 체육회관 건립, 체육회 조직정비, 스포츠 과학화, 코칭 강습회 개최 등과 같은 수많은 업적을 이루어냈다. 한국 스포츠의 인프라, 조직, 제도, 소프트웨어 등 거의 모든 부문에 걸쳐 기반을 구축했던 것이다. 실로 전인적인 활약으로서 향후 한국 스포츠 발전의 초석이 되는 실질적인 업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