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78013710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12-10-2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추천사
발간사
1부_ 맥락과 맥락 교육의 흐름
1장 맥락 바탕 국어교육의 목적과 흐름
1. 맥락 바탕 국어교육과 맥락 연구의 중요성
2. 맥락 연구사
3. 자료 구성
4. 맥락 관련 기본 용어의 의미와 사용역
5. 왜 맥락이어야 하는가?
2장 ‘맥락 바탕 교육’의 이론적 배경
1. 언어학적 배경과 맥락
2. 교육학적 배경과 맥락
3. 국어교육 현상과 맥락 관련 이론의 흐름
2부_ ‘맥락’에 대한 재정립
3장 맥락 의미
1. 대중 언어 사전과 말뭉치를 통해 본 맥락의 의미
2. 주요 연구자들이 본 ‘맥락’ 의미
3. 맥락 개념 전략과 교육
4장 맥락의 구성 요소
1. 상황 맥락 요소
2. 사회?문화?배경 맥락 요소
3. 언어 맥락 요소
4. 자료와 매체(텍스트) 맥락 요소
5. 맥락 구성 요소와 교육 전망
5장 맥락의 특성
1. 주체와 전략 측면의 특성
2. 실체와 의미 측면의 특성
3. 인식과 내용 측면의 특성
4. 구성과 작용 측면의 특성
5. 맥락 특성과 교육
6장 맥락의 유형
1. 주어진 맥락과 생성된 맥락
2. 언어적 맥락과 비언어적 맥락
3. 직접 맥락과 간접 맥락
4. 과정상의 맥락
5. 맥락 유형 설정의 의미
3부_ 맥락 교육의 다중 전략
7장 ‘맥락’의 특징과 교육과정 문제
1. ‘맥락’의 교육과정에서의 특징과 의미
2. ‘맥락’의 교육과정 문제
3. 맥락을 교육과정에서 전략으로 설정하기
8장 맥락 교육의 통합 구성
1. 맥락 교육의 목표와 갈래
2. 맥락 교육의 통합 구성
3. 맥락적 태도를 가르치기 위한 교육 전략
4. 맥락 교육의 다중 전략과 맥락적 삶
9장 결론: 맥락 바탕 국어교육론을 위하여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맥락은 공기와 같은 것이다. 없어서는 안 되는 당위적인 요소임에도 실제로는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는 공기처럼 맥락 또한 언어생활이나 국어교육에서 당위적인 요소이지만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공기를 제대로 인식하지 않을 때 환경오염에 빠지듯 맥락 또한 제대로 인식하고 사용하지 않으면 합리적인 언어생활을 엮어 낼 수 없다.
맥락 연구가 아무리 많이 축적되어도 ‘맥락이란 무엇인가?(What is context?)’라는 질문은 계속될 것이다. ‘맥락’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인데도 그 의미를 명확히 하기가 쉽지 않다. 그 이유는 맥락의 복합성?복잡성?중층성과 같은 자체 속성과 역동적인 쓰임새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없다면 맥락을 어떻게 정확히 사용하고 가르쳐야 하는 것인지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이럴수록 맥락 논의의 원점으로 돌아가 정의 문제를 사전과 말뭉치에서부터 천착해 보고 연구자들은 맥락 의미를 어떻게 보았는지 꼼꼼히 따져보고자 한다.
인간의 언어 행위는 근본적으로 간접 담론이다. 언어는 우리가 겪는 사건, 경험, 사물 그 어느 것 하나 있는 그대로 표상하지 않는다. 우리는 2010년 월드컵에 대한 수많은 담론을 쏟아 냈지만 직접 가서 본 사람은 극소수다. 직접 가 본 사람조차도 그 사건을 언어를 통해 그대로 재현하지 못한다. 이러한 간접 담론으로서의 언어나 텍스트의 속성 때문에 우리는 풍요로운 문화생활, 언어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무엇이 진실인지 끊임없이 따져야 하는 언어적 실존 한계에 놓여 있다. 이것이 맥락적 사고와 맥락적 실천을 교육적으로 제대로 다뤄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