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78061285
· 쪽수 : 284쪽
· 출판일 : 2009-11-18
책 소개
목차
서문
약어표
1. 문헌개정과 문화 변혁: 신명기의 법 혁신의 해석학
1) 방법론적 전제들
2) 계약법전의 신명기사가적 개정에 대한 질문
3) 권위 있는 본문들과 법 혁신의 문제
4) 본문 재구성을 위한 편집 장치들
5) 연구의 목적과 범위
2. 신명기 12장에 나타난 제의중앙화 혁신
1) 주석적 재공식화로서의 중앙화 혁신
2) 신명기 12:13-19에서의 표제어(lemmatic) 변형
3) 신명기 12:20-28에서의 표제어 변형
4) 신명기 12:20-28에서의 혁신에 대한 이중적 정당화
5) 신명기 12:8-12의 해석학적 기능
6) 신명기 12장의 본문성과 주석에 대한 고찰
7) 제의중앙화와 지방 세속화의 이중적 진행
3. 신명기 16장에 나타난 유월절과 무교절의 변형
1) 신명기 16:1-8의 정책적 기원들
2) 신명기 이전의 유월절
3) 중앙화와 신명기 이전의 유월절 사이의 갈등
4) 신명기적 변형의 본래성과 유월절과 무교절의 혼합
5) 유월절과 무교절에 대한 신명기의 이중적 변형
6) 신명기 16:1-8에 나타난 표제어 재공식화
7) 본문이 충돌할 때: 전치사 반복의 해석학
8) 신명기 16:16-17에 나타난 법과 종교의 변형
9) 결론
4. 중앙화에 따른 사법절차의 변형
1) 신명기 16:18-17:13: 본문 배열순서의 문제
2) 신명기 17:2-7: 본문 재배치에 대한 표준적인 논쟁
3) 표준적인 해결에 대한 비판
4) 다시 쓰는 법의 역사: 신명기 17:2-7과 8-13의 일관성
5) 신명기 이전 지방에서의 사법절차
6) 이스라엘 사법에 있어서의 중앙화 의미
7) 신명기 13:7-12에 대한 개정으로서의 신명기 17:2-7
8) 신명기 17:2-7의 해석학적 기능
9) 신명기 17:8-13의 문맥상의 기능
10) 신명기 17:2-7과 8-13의 일관된 독서를 위하여
11) 본문에 반하는 죄로서의 우상숭배
12) 일관성의 논리
13) 왕정 재판 권위(신명기 17:14-20)의 소멸
5. 신명기의 개정의 해석학
1) 신명기와 계약법전의 관계: 새로운 접근
2) 신명기의 자기 표현
3) 개정의 해석학과 문헌 역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