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8169479
· 쪽수 : 211쪽
· 출판일 : 2011-12-26
목차
Ⅰ. 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창의적 체험활동과 동기ㆍ지역사회네트워크와의 관계 분석
2)「창의적 체험활동」지역사회 운영모형 개발을 위한 시범사업 운영
3)외국의 사례조사
4)「창의적 체험활동」운영실태 및 인식 조사
5)정책제언
Ⅱ.이론적 배경
1.「창의적 체험활동」과 동기의 관계
2.「창의적 체험활동」과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관계
3.「창의적 체험활동」의 트라이앵글모형과 지역사회 운영모형
Ⅲ.청소년 체험활동 운영 외국사례
1.외국사례조사의 개요
1)조사대상국 선정배경
2)조사내용 및 방법
2. 청소년 체험활동 운영 외국사례
1)일본 효고현의 「트라이 야르 위크」
2)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3.외국사례의 정책적 시사점
Ⅳ.「창의적 체험활동」운영 실태 및 인식 조사 결과
1.설문조사의 개요
1)설문조사 대상
2)설문조사 일정
3)설문조사 내용
2.「창의적 체험활동」운영실태 및 인식 조사 결과
1)학생용 설문조사 결과
2)교사용 설문조사 결과
3.주요결과 요약 및 시사점
1)학교의「창의적 체험활동」운영실태 및 인식
2)「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생 및 교사의 변화에 대한 인식
3)「창의적 체험활동」전반에 대한 인식
Ⅴ.「창의적 체험활동」지역사회 운영모형 시범사업결과
1.시범사업의 개요
1)시범사업운영의 취지
2)시범사업지역 및 시범사업기관의 선정
3)시범사업운영모형
4)시범사업의 기대효과(목표치)
2.시범사업운영결과
1)시범사업의 추진내용
2)시범사업의 평가
3.「창의적 체험활동」지역사회 운영모형
Ⅵ.지역사회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1.지역사회의 청소년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마스터 플랜수립 필요
2.지역사회 코디네이터 기관 및 코디네이터 육성
3.지역사회 청소년 체험활동 코디네이터 기관에 대한 컨트롤 타워,컨설팅
그룹의 필요성
4.다양한 형태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식 개발
5.지역사회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예산의 확보
6.교사와 코디네이터의 소진을 막을 대안 마련
참고문헌
부록
1.설문지
2.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학생변화에 대한 인식(문항별 결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