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음식과 건강
· ISBN : 9788978493598
· 쪽수 : 327쪽
· 출판일 : 2008-03-10
책 소개
목차
01 생활의 의학이다
웰빙열풍과 한의학
모든 병은 생활습관에서 발생한다
나쁜 기운은 몸속에 쌓여 질병을 발생시킨다
음양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음체질과 양체질이란 무엇인가
양의학식 성분분석의 문제점
음식성질이사람성질을 만든다
약이 되는 음식, 독이 되는 음식
기호식품이 음식병을 부른다
건강할 때 골고루 먹어야 한다
체질에 따른 식사법은 허구다
무엇을 먹느냐가 사람됨을 만든다
음식의 차가운 성질과 따듯한 성질
음식의 성질은 보관상태와 조리법에 따라 변한다
몸이 차가운 삶과 더운 사람
오자육부의 차갑고 더운 성질
음식의 차갑고 더운 성질과 질병
잘못된 식습관이 화병과 냉병의 원인이다
음식은 미지근하게 먹는 것이 좋다
오미를알면오장육부가산다
오미란 무엇인가
맛에도 음양이 있다
다섯 가지 맛과 오장육부와의 관계
매운맛 - 매운 음식을 매일 먹는 것은 피하라
단맛 - 달게 먹는 습관이 성인병을 부른다
담담한맛 - 담백한 식사가 음식독을 예방한다
짠맛 - 지나친 소금섭취가 수명을 재촉한다
신맛 - 새콤한 음식, 약인가 독인가
쓴맛 - 화를 가라앉히며 비만에 좋다
떪은맛 - 설사를 예방하고 치료한다
제철음식으로 밥상을 채워라
재철음식의 중요성
영양학과 성분학은 대자연의 기를 무시하고 있다
사계절 음식 건강법
봄철 음식 - 상승하는 봄기운을 섭취한다
여름철 음식 - 제철음식으로 까다로운 여름보양을 해결한다
장마철 음식 - 습열을 없애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가을철 음식 - 알찬 가을기운으로 겨울에 대비한다
겨울철 음식 - 찬 기운을 이기고 감기를 예방한다
오곡밥보다 계절별 잡곡밥을 먹자
고기, 덜 먹어야 잘 산다
한국인과 서양인의 음식과 풍속 그리고 체질
서양인은 장이 짧고 동양인은 장이 길다
트랜스지방이 아니라 육식 위주의 식생활이 문제다
한의학에서는 육식을 어떻게 보는가
체질과 계절에 알맞은 육류가 따로 있다
아이에게 고기와 우유를 안 먹이면 단백질은 어떻게 섭취할까?
키만 큰 어린애들
한미 FTA와 미국산 소고기
화가 많은 고기일수록 육질이 부드럽다
우유와 매일 먹는 음식의 진실
우유는 모두에게 좋은 완전식품인가?
우유는 음식이 아니라 약이다
우유의 부작용
우유와 요구르트 그리고 변비
노인변비에 좋은 우유들깨죽
아침식사 대신 마시는 한 잔의 찬 우유가 건강을 해친다
밀가루에는 열독이 있다
라면은 아이들에게 좋지 않은 열폭탄이다
진정한 완전식품, 김치
스트레스를 없애주는 녹차 건강법
홍삼, 제대로 알고 먹자
병에 걸리지 않고 사는 밥상 건강법
자연과 인체의 시계는 조화로워야 한다
아침식사는 양기를 보충하는 보약이다
야식증후군은 만병의 근원이다
후식으로 적당한 음식은 따로 있다
식후에 걷는 것은 가장 좋은 운동이다
건강을 위한 여섯 가지 식사원칙
과식하는 것은 왜 나쁜가?
식체와 식적은 다르다
내시경 결과 이상이 없는데도 위장이 아픈 건 왜일까?
알고 마시면 약이 되는 웰빙 음주법
완전히 좋기만 하거나 나쁘기만 한 음식은 없다
술의 성질과 좋은 작용
하루 세 잔, 반주는 한 잔을 넘지 않아야 한다
과음으로 인한 질병
음주 후의 성생활은 기를 상하게 한다
음주 시, 음주 후에 먹지 말아야 할 음식
술 깨는 법
주독을 풀어주는 식품들
물 마시기 건강법이 병을 부른다
물만 많이 마셔도 건강해진다고?
물 때문에 병이 생길 수도 있다
체질과 연령에 따른 물 마시기
찬물과 더운물, 가려서 마셔라
탈수를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한국인에게 필요한 식생활은 따로 있다
현대인은 음기를 기르는 식생활을 해야 한다
한국인에게 필요한 식사법
항생제와 의사들의 꿈
감기를 예방하는 생활습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서구화된 식생활을 하는 사람들은 우유와 빵으로 간단히 아침식사를 한다. 이것은 건강에 매우 해로운 식사법이다. 우유의 성질은 차가운데, 신선보관을 위해 냉장보관을 하면 찬 것에 찬 것을 더한 것이 된다. 때문에 속이 냉한 사람이 먹으면 배탈, 설사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소화기가 약하고 평소 설사를 자주하거나 몸이 냉한 사람은 찬 우유를 피해야 한다. 우유를 마신 후 소화기질환을 일으키거나 호흡기에 대한 알레르기가 나타나는 것은 우유 자체 때문일 수도 있지만 찬 우유의 냉기 때문일 수도 있다.
찬 우유를 마시면 위와 대장, 폐를 차갑게 만들어 소화기질환과 폐·기관지 질환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아침은 양기가 상승하는 시간이다. 따라서 아침에는 따뜻한 밥과 국을 먹어 양기를 살려야 한다. 그런데 아침에 마시는 찬 우유는 떠오르는 양기를 가라앉혀 인체의 기운을 피곤하게 만든다.-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