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8653749
· 쪽수 : 180쪽
· 출판일 : 2013-12-31
목차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범위
2. 연구방법
제2장 시민참여 활성화에 관한 이론적ㆍ제도적 고찰
제1절 시민참여의 이론적 논의
1. 시민참여
2. 로컬 거버넌스
3. 시민공동생산이론
4. 사회적 자본
제2절 시민참여의 제도적 논의
1. 일반적인 시민참여 제도
2. 복지 분야 시민참여 제도
3. 비영리민간단체 지원 제도
4. 사회적 경제 제도
제3절 선행연구 검토
1. 시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
2. 시민단체에 관한 선행연구
3. 시민사회에 관한 선행연구
4.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본 연구에의 시사점
제4절 분석의 틀
1. 분석틀
2. 분석요소의 정의
제3장 시민참여 활성화 통계분석 : 양적 분석
제1절 설문조사 개요
1. 설문조사 실시 목적
2. 설문조사 실시 대상 및 방법
3. 설문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제2절 설문조사 결과
1. 응답자 간 인식의 차이
2. 시민참여 영향요인 도출
제3절 통계분석의 시사점
1. 시민 요인
2. 정부 요인
3. 관계 요인
제4장 시민참여 활성화 사례분석 : 질적 분석
제1절 사례분석 개요
1. 사례분석 실시 목적
2. 사례분석 실시 대상 및 방법
제2절 기초자치단체(시) 사례
1. 청주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2. 청주복지재단
3. 북부종합사회복지관
4. 산남종합사회복지관
제3절 기초자치단체(군) 사례
1. 장성군 지역사회복지협의체
2. 다문화가족지원센터
3.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제4절 기초자치단체(구) 사례
1. 강동구 및 부산남구 사례
2. 종합사회복지관
3. 장애인종합복지관
4. 노인종합복지관
제5절 사례분석의 시사점
1. 시민 요인
2. 정부 요인
3. 관계 요인
제5장 시민참여 활성화 전략
제1절 시민참여 활성화의 기본 방향
제2절 시민의 참여 활성화 방안
1. 시민의 자발적 참여
2. 시민의 자생력 확보
제3절 정부의 지원 활성화 방안
1. 정부의 지원 역할 탐색
2. 기존의 정부지원 제도 보완
3. 새로운 시민참여 제도 신설
제4절 시민과 정부의 관계 강화 방안
1. 민관협력 내실화
2. 거버넌스 활용
3. 사회적 자본 축적
제6장 결 론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정책 건의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1] 시민용 설문조사지
[부록 2]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용 설문조사지
[부록 3] 심층면접 조사지(시민)
[부록 4] 심층면접 조사지(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