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기타 법률/법규
· ISBN : 9791130324685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5-09-01
목차
제1부 서 론
01 법의 의의 3
법이란 무엇인가 3|법의 목적 4|법의 존재형식과 종류 4|법의 해석과 적용 5|법의 효력 6
02 민사법률관계 8
민사법률관계의 형성 8|신의성실의 원칙 9|민사법률관계의 기본원칙 9|법률행위를 위한 능력 9
03 분쟁 해결하기_민사소송 11
소송제도의 필요성 11|민사소송이란 12|민사소송의 원칙 13|민사소송의 주체 13|민사소송의 절차 15|재판에 대한 불복: 상소 19|재판에 대한 비상(非常) 불복: 재심 20
04 형사법의 기초_범죄와 형벌 22
범죄의 의의 22|형벌 22|죄형법정주의 23|형법의 목적과 적정성 24
05 범죄의 성립 27
범죄의 성립요건 27|형(刑)의 감면 28|범죄의 불성립 29
06 수사와 재판 31
수사의 시작 31|수사의 진행 32|체포와 구속 34|수사의 종료 37|형사재판 38
제2부 재 산
01 계약에 관한 기본 개념의 이해 43
계약의 의미 43|계약의 자유와 그 한계 44|청약과 승낙에 의한 계약의 성립 45|쌍무계약 48|동시이행의 항변권 48|위험부담의 원칙 49|계약의 해제 51|담보책임 52
02 매매계약 56
매매계약의 의미 56|매매계약의 대상 56|매매계약의 주요 내용 57|일상생활에서의 매매계약 예시 57|매매계약에서 주의할 점 58
03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상품구매 59
구매 방식 변화와 소비자 보호 59|인터넷 쇼핑에서의 환불과 청약철회 60|청약철회 방해행위 61|사례를 통해 알아보기 62
04 헬스장 장기회원권 구매 64
헬스장 장기회원권 중도 해지와 환불 64|환불 금액 산정 기준 66|할부항변권 66|할부항변권의 제한 67
05 부동산매매 69
부동산이란? 69|부동산 매매계약서의 기본 정보 70|부동산 매매계약서 작성 시 주의할 사항 70
06 주택임대차란 무엇인가? 80
정의 80|대표적인 유형 80
07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전 기본 용어 알기 83
주택임대차보호법 83|주택임대차계약서 84|계약금, 중도금, 잔금 84|주택인도 + 전입신고 = 대항력 87|대항력 + 확정일자 = 우선변제권 취득 88
08 주택임대차계약 체결 시 주의할 사항 90
계약 체결 전 반드시 집을 직접 확인하기 90|부동산등기부등본 반드시 확인하기 90|반드시 소유자 계좌로 돈을 입금하기 92|당사자 신분을 명확히 확인하기 93|전입신고 및 확정일자 받기 93|계약 당시의 상황을 녹음하기 94|잔금 지급 전 등기부등본 다시 확인하기 95
09 주택임대차계약서 작성법 96
부동산의 표시 96|주요 계약 내용 97|특약사항 97|계약 당사자 및 중개사 정보 99
10 임대인의 권리와 의무 101
임대인의 권리 101|임대인의 의무 103
11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 106
임차인의 권리 106|임차인의 의무 108
12 계약갱신요구권이란? 111
계약갱신요구권의 의미 111|임대인의 계약갱신거절 사유 113
13 임차권등기명령제도 116
의미 116|신청 요건 117|신청서 기재사항 117
14 나의 보증금 찾기 119
우선변제권(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 제2항) 119|최우선변제권(주택임대차보호법 제8조 제1항) 119
15 주택임대차신고제 122
16 전월세 상한제 124
17 깡통전세 사기 125
깡통주택이란? 125|깡통주택 예시 126|깡통주택 위험에서 나의 전세보증금을 지키는 방법 126
18 주택임대차분쟁조정제도 128
의미 128|주택임대차분쟁조정의 절차 128|신청방법 130
19 근로계약 131
근로계약서란 무엇인가? 131|왜 근로계약서를 써야 하나요? 131|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꼭 들어가야 할 내용 132|근로계약서 양식과 작성 팁 132|근로계약서를 작성할 때 주의사항 133|근로계약서 작성 예시 135
20 최저임금 137
최저임금이란? 137|최저임금 결정 기준 138|최저임금 결정 절차 138
21 주휴수당 140
주휴수당이란? 140|주휴수당의 계산방법 140|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으면? 141
22 퇴직급여 142
퇴직급여란? 142|퇴직금은 어떤 조건을 갖춰야 받을 수 있나요? 142|퇴직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143
23 임금체불 145
임금 지급의 4대 원칙 145|임금체불의 의미와 유형 146|임금체불이 발생할 때 대처 방법 146
24 해고와 권고사직 150
해고의 의미 150|권고사직의 의미 150|사직서 제출할 때 주의사항 151|권고사직 거부 및 법적 대응 151|해고와 권고사직의 실질적 차이 및 정리 152|부당해고 구제신청제도 152|어떤 경우에 부당해고로 인정될까? 152|구제신청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 153|구제신청서 작성할 때 준비할 것 153|구제신청의 결과와 효과 153|꼭 기억해야 할 점 154
제3부 상 속
01 누가 상속할 수 있는가_ 상속과 상속권 157
상속과 상속인 157|상속능력(상속자격) 157|동시사망과 상속 158|상속결격 159|상속권 상실 선고 160
02 누가 상속인이 되는가 161
상속인이 되는 순서 161|법정 상속순위_혈족상속인 161|배우자상속인 163
03 상속인을 대신하다_대습상속 165
피대습상속인과 대습상속인 165|대습상속의 의의 166|대습상속의 요건 166|대습상속의 효과 167|재대습상속 168
04 누가 얼마나 상속하는가_상속분 169
법정상속분 169|대습상속인의 상속분 170|공동상속인 중에 특별수익자가 있는 경우 171|공동상속인 중에 특별기여자가 있는 경우 172
05 상속하지 않을 자유 175
상속의 승인과 포기 175|단순승인 175|한정승인 176|상속포기 176|승인·포기의 방법과 기간 176|특별한정승인 177
06 내 재산은 내 마음대로_유언의 자유 179
유언의 자유와 유언 법정주의 179|자필증서에 의한 유언 180|녹음에 의한 유언 181|공정증서에 의한 유언 182|비밀증서에 의한 유언 182|구수증서에 의한 유언 183
07 유족에게 보장된 몫_유류분 185
유류분제도의 의의 185|유류분권리자와 유류분 186|유류분의 산정 186|유류분반환청구권 187
제4부 친 족
01 가족임을 증명하다_가족관계등록제도 191
사회적 가족과 법적 가족 191|가족관계등록제도의 의의 191|증명서의 종류 192|가족관계등록부의 기록과 신고 194|증명서의 교부 195
02 누가 나의 가족일까_가족과 친족 196
법률상 가족 196|친족 197|촌수의 계산 198
03 가족이면 나눠 먹어야 한다_부양의무 200
사적부양과 공적부양 200|민법상 부양의무자 201|부양의무의 내용 202
04 아이가 태어나면 해야 하는 일_출생신고 204
출생신고의 의의 204|출생신고하기 205|출생신고를 위하여 부모가 결정할 것 205|출생통보제 209
05 법적 친자관계의 형성 211
확실한 모성, 불확실한 부성 211|법적 부자관계의 형성_혼인 중의 출생자 212|법적 부자관계의 형성_혼인 외의 출생자 213
06 아버지는 누구일까 215
친생추정을 받는 혼인 중의 출생자_친생부인의 소 215|친생추정을 받지 않는 혼인 중의 출생자_친생자관계부존재확인의 소 216|친생추정의 배제 216
07 완전한 혼인_혼인의 요건 219
민법상 혼인이란 219|혼인의 적극적 요건 220|혼인의 소극적 요건(혼인장애사유) 221
08 잘못된 혼인_혼인의 무효와 취소 223
혼인의 무효·취소가 필요한 때 223|혼인의 무효 vs 혼인의 취소 223|혼인무효의 원인 224|혼인취소의 사유 227
09 혼인의 일반적 효과 230
친족관계의 형성 230|성년의제 230|부부 사이 의무 231|일상가사대리권 235
10 부부재산 237
부부재산제도 237|부부재산계약 237|법정 부부재산제(부부별산제) 238|일상가사로 인한 채무의 연대책임 240
11 법이 보호하는 사실혼 241
사실혼의 의의 241|사실혼의 요건 241|사실혼의 해소 242|사실혼의 효과 243
12 누구나 이혼할 자유가 있다_협의이혼 246
이혼의 자유 246|협의이혼의 성립요건 246|협의이혼의 절차 247
13 잘못된 이혼_협의이혼의 무효와 취소 250
협의이혼의 무효와 가장이혼 250|협의이혼의 취소 251
14 강제로 이혼하기_재판상 이혼원인 253
재판상 이혼 253|부정한 행위 254|악의의 유기 255|심히 부당한 대우 255|3년 이상의 생사불명 256|기타 혼인을 계속하기 어려운 중대한 사유 256
15 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259
재판상 이혼청구를 할 수 있는 자 259|유책배우자의 이혼청구 259
16 친권자 지정 262
친권자 262|친권의 행사와 친권자 지정 262
17 이혼에 따른 양육책임 265
양육에 관한 사항과 그 결정 265|양육사항의 변경 267
18 ‘우리’ 재산이잖아_재산분할 269
재산분할청구제도의 의의 269|재산분할청구권의 내용 270|재산분할의 대상 271
19 재산을 빼돌려?_재산분할과 사해행위취소권 273
채권자취소권 273|재산분할과 채권자취소권(채무초과상태임에도 재산분할을 하였을 때) 274|재산분할청구권 보전을 위한 사해행위취소권 275
20 혼인파탄의 잘못을 배상하다_ 이혼과 위자료 277
이혼에 대한 손해배상(위자료) 277|재산분할청구권과 위자료청구권의 비교 278
제5부 형 사
01 사기와 공갈 283
사기죄의 성립 283|공갈죄의 성립 285|사기·공갈 등 재산범죄와 친족상도례 286
02 디지털 성범죄 288
디지털 성범죄란 무엇인가? 288|전통적인 성범죄와 디지털 성범죄의 차이 288|디지털 성범죄의 주요 유형 289|피해자가 겪는 어려움 291|디지털 성범죄 관련 법률 291|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한 실천법 297|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당했을 때의 대응 방법 299|관련기관과 연락처 300
03 교제폭력 302
교제폭력이란 302|교제폭력의 특징 303|교제폭력 관련법 304|교제폭력에 대한 대응 307|스토킹행위에 대한 대응 309
찾아보기 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