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한국어교육학
· ISBN : 9788978789547
· 쪽수 : 222쪽
· 출판일 : 2007-10-30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 범위와 방법
제2장 한국어 교육 문법과 의존 구성
1. 한국어 문법과 교육 문법의 차이점
2. 의존 구성의 개념 및 교육용 항목
2.1. 한국어 교재 분석
2.2. 의존 구성의 개념
2.3. 교육용 항목 선정
제3장 의존 구성의 의미 기능
1. 의존 구성의 의미 범주
2. 의존 수성의 한·중 대조
3. 개별 의존 구성 의미
3.1 [지속상] 의존 구성
3.2 [완료상] 의존 구성
3.3 [습관상] 의존 구성
3.4 [근접성] 의존 구성
3.5 [사동성] 의존 구성
3.6 [사동성] 의존 구성
3.7 [변화성] 의존 구성
3.8 [추측성] 의존 구성
3.9 [의향성] 의존 구성
3.10 [당위성] 의존 구성
3.11 [봉사성] 의존 구성
3.12 [체험성] 의존 구성
3.13 [착각성] 의존 구성
3.14 [가능성] 의존 구성
3.15 [확정성] 의존 구성
3.16 [의도성] 의존 구성
3.17 [허용성] 의존 구성
3.18 [시인성] 의존 구성
3.19 [정도성] 의존 구성
3.20 [가식성] 의존 구성
제4장 의존 구성의 사용 기능
1. 의존 구성의 사용 방식
2. 원어민 화자의 사용 양상
2.1. 자료 수집 방법
2.2. 사용 양상 분석
3. 중국어권 학습자의 사용 양상 및 오류
3.1. 원어민 화자와 중국어권 학습자의 사용 양상 비교
3.2. 중국어권 학습자의 사용 오류와 요인
제5장 기능 접근법을 통한 의존 구성 교육 방안
1. 기능 접근법 개념 및 필요성
1.1. 기능 접근법의 개념
1.2. 기능 접근법의 필요성
2.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구성 교육 방안
2.1. 교육 내용 구성
2.2. 교수-학습법
2.3. 교재 설계
제6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Ⅰ
[표]차례
표1 한국어 교재 분석 자료
표2 『고등학교 문법』및『한국어 문법』목차 비교 (최은규, 2005)
표3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의 구성 특징 비교표
표4 한국에서 출판된 교재의 구성 특징 비교표
표5 한국어 교육용 의존 구성 항목
표6 의존 구성의 형태적 구조
표7 기존 연구에서의 '의존 구성'의 의미 분류
표8 의존 구성의 형태·통사적 구조와 중국어의 대응 구조
표9 학습자 지도 사항(1)
표10 학습자 지도 사항(2)
표11 학습자 지도 사항(3)
표12 학습자 지도 사항(4)
표13 학습자 지도 사항(5)
표14 학습자 지도 사항(6)
표15 학습자 지도 사항(7)
표16 학습자 지도 사항(8)
표17 학습자 지도 사항(9)
표18 한국어 의존 구성 의미 및 중국어 대응
표19 한국어 화행의 언표내적 행위 분류표(이준희.2000)
표20 개별 의존 구성의 사용 방식
표21 '요구하기' 기능을 수행하는 발화 형태
표22 '요구하기' 기능을 수행하는 의존 구성 항목
표23 '설명하기' 기능을 수행하는 발화 형태
표24 '설명하기' 기능을 수행하는 의존 구성 항목
표25 원어민 화자와 중국어권 화자의 표현 양상 비교
표26 CLT 언어 이론의 특징(Richards & Rodgers. 1986)
표27 '-(으)ㄹ 수 있다'의 형태 => 기능 관계
[그림]차례
그림1 의존 구성의 의미적 범주
그림2 의존 구성으로 나타나는 상 범주
그림3 '-고 있다'와 '-는 중이다'의 의미 차이
그림4 '-아 오다'와 '-아 가다'의 의미 차이
그림5 진행성-지속상과 비진행성-지속상의 의미
그림6 의존 구성의 사용 기능 도출 과정
그림7 화자의 발화 의도
그림8 발화수반행위와 발화행위 관계 (Hindelang. 1982)
그림9 언어적 행위 모델과 언어적 실현 형태 관계9Hindelang. 1982)
그림10 부탁 의도로 실현된 발화 형태의 사용 기능
그림11 의존 구성의 사용 모델
그림12 형태·의미·기능의 상호 관계
그림13 문맥적 의미와 탈문맥적 의미 작용
그림14 의존 구성의 교육 내용 구성
그림15 '3차원 문법 틀' (Larsen-Freeman. 2001)
그림16 의존 구성의 '3차원 틀'
그림17 의존 구성의 교육-학습 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