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성경공부교재 > 청장년
· ISBN : 9788979179682
· 쪽수 : 80쪽
· 출판일 : 2015-12-21
책 소개
목차
제 1 과 도덕 율법 11
제 2 과 십계명과 대주제와 서문 16
제 3 과 제1계명 21
제 4 과 제1계명의 교훈 25
제 5 과 제2계명 29
제 6 과 제2계명의 교훈 33
제 7 과 제3계명 37
제 8 과 제3계명의 교훈 41
제 9 과 제4계명 45
제 10 과 제4계명의 교훈 49
제 11 과 제5계명 54
제 12 과 제6계명 58
제 13 과 제7계명 62
제 14 과 제8계명 66
제 15 과 제9계명 70
제 16 과 제10계명 74
저자소개
책속에서
제1과 도덕율법
- 요점: 십계명을 주신 하나님
- 읽을 성경: 신 10:4, 미 6:8
▶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요구하시는 본분이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요구하시는 본분은 그 나타내 보이신 뜻에 복종하는 것입니다.
▶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복종할 규칙으로 처음 나타내 보이신 것은 무엇입니까?
하나님께서 자기에게 복종할 규칙으로 사람에게 나타내 보이신 것은 도덕의 법칙입니다.
▶ 이 도덕의 법칙이 어디에 간략히 포함되어 있습니까?
이 도덕의 법칙은 십계명에 간략히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스로 깨닫지 못하는 인간에게 하나님 자신의 뜻을 나타내 보이신 것을 “계시”라고 합니다.(신 29:29) 성경과 그 주제인 예수님이 구원 계시이고 성경 속에 문자로 제정하신 율법 중 도덕 율법은 신자, 불신자를 포함한 전 인류에게 하나님이 주신 법이며(십계),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이 법을 지켜야 합니다. 우리에게 도덕 율법을 주신 하나님은 완전하시고 의로우십니다.
1. 인간의 본분은 하나님 뜻대로 사는 것입니다.
① 그 뜻은 인간의 순종을 요구하며(약 2:22) 성경, 특히 율법에 제시되어 있습니다.
② 선하신 하나님과 함께 행하는 것이 아버지 하나님의 요구입니다.(미 6:8)
2. 도덕 율법(법칙)
① 도덕 율법이란 인간에게 선언한 하나님의 뜻으로(의지) 거룩함과 의의 의무를 요구합니다.(마 5:48)
② 전 인류에게 주어진 것으로 불신자들에게는 양심의 도덕법을 하나님께서 새겨 놓으셨습니다.(롬 2:14~15)
③ 도덕 율법은 인간이 영원토록 하나님께 대한 순종의 의무로써 행하여야 하며 십계명에 요약되어 있습니다.(출 31:18)
④ 도덕 율법이 인간으로 의와 생명에 이르게는 못하여도 의로우신 하나님께 대하여 깨끗이 살아야 할 의무와, 타락한 인간으로서 완전치 못한 자신을 발견하게 하여 겸손하게 합니다. 즉 그리스도를 강력히 필요로 하는 은혜를 사모하게 하고 깨닫게 합니다.(롬 3:20~24)
3. 도덕 율법인 십계명
① 십계명의 총 주제는 「사랑하라좦입니다.
② 인간이 처음 지음 받았을 때 도덕 율법을 받았으나(창 1:26) 죄로 말미암아 다시 계시하셨습니다.(롬 1:21, 25)
③ 그리스도를 영접한 자에게도 율법(도덕)은 더욱 중요합니다. 그것은 성도로 말미암아 적극적으로 죄와 싸우며 거룩한 수고를 하게 하며, 구원을 향한 성화(점점 거룩을 향해 발전함)로 인도하기 때문입니다.(고전 9:21, 요 14:21)
④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곧 그의 계명을 지키는 것입니다.(요일 5:3).
학습문제
1. 전 인류가 함께 하나님으로부터 부여받은 법은 무엇입니까? (롬 2:14~15) 양심의 가책과 선한 양심, 악한(화인 맞은) 양심에 대하여 생각해봅시다.
①
②
③
2. 믿음의 진정한 표현은 무엇입니까? (약 2:22, 26) 행하는 믿음과 일반적 믿음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3. 타락한 인간에게 최초로 주어진 십계명은 누가 누구에게 어디서 전달하였습니까? (출 24:12~16, 32:15~16)
4. 예수님과 율법(도덕)과의 관계를 쉽게 표현한다면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마 5:17) 율법을 완전히 지킬 인간이 단 한 사람이라도 지구상에 있을까요? (롬 3:10, 20)
토의: 자유토론
1. 출애굽기 20장 11~17절의 십계명과 신명기 5장 6~21절의 십계명의 차이점을 찾아봅시다.
2. 우리나라의 6법은 무엇이며 그 모법은 십계명(도덕 율법)이 갖는 모법(母法)의 정신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연구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