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9403701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5
서론 15
제1장 조선 후기 연초산업의 발생과 발전 25
1. 조선 후기 상업적 농업의 발달 26
2. 17세기 연초재배업의 발생 29
3. 18세기 연초재배업의 발전 37
4. 연초재배업의 재배 기술과 경영 형태 49
1) 재배 기술 49
2) 경영 형태 54
5. 연초 가공판매업의 발전 62
1) 서울 62
2) 지방 70
6. 연초 재배에 대한 인식의 변화 76
제2장 개항기(1876∼1910) 외국 연초의 유입과 연초산업의 전개 85
1. 연초산업의 내재적 발전(1876∼1894) 86
1) 재배업의 발달 86
2) 제조업과 판매업의 전개 93
2. 외국의 연초산업 침투와 그 대응(1894∼1904) 98
1) 외국 연초의 유입과 외국 자본의 제조업 침투 98
2) 재배업과 제조업의 활성화 111
3. 연초산업 발달의 둔화(1904∼1910) 126
1) 일제의 연초산업 침투의 심화 126
2) 재배업의 위축과 제조업의 부침 136
제3장 1910년대 일제의 연초산업 통제와 조선인 제조업의 몰락 153
1. 일제의 농업 정책과 연초재배업의 재편 154
1) 1910년대 일제의 농업 정책 154
2) 연초재배업의 재편 160
2. 조선인 제조업자의 몰락과 판매업의 재편 170
1) 「%연초세령」의 공포와 제조업의 몰락 170
2) 일본인 제조업자의 진출과 노동쟁의 185
3) 판매업의 재편과 조선 연초상인의 저항 194
3. 연초세율의 인상과 조선인의 저항 199
1) 조선총독부 무역 정책의 변화 199
2) 연초세율의 인상 206
3) 조선인의 저항 212
제4장 1921년 연초전매제 실시와 조선인 연초산업의 파국 217
1. 연초전매제 실시와 연초산업의 통제 218
1) 재배업의 경우 220
2) 제조업의 경우 228
3) 판매업의 경우 232
2. 연초경작자의 존재 형태 241
1) 경작 통제와 경작지 지정 241
2) 열악한 수납가와 경작 이익의 감소 244
3) 전업농가의 쇠락과 재배 면적의 감소 252
3. 조선총독부 전매 수입의 증가와 무역구조의 재편 257
1) 조선총독부의 재정 정책 257
2) 수탈의 강화와 전매 수입의 증가 262
3) 무역구조의 재편 271
4. 연초전매제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과 조선총독부의 탄압 275
1) 연초재배업 통제에 대한 저항 276
2) 「조선연초전매령」위반과 조선총독부의 탄압 283
3) 「조선연초전매령」"에 대한 조선인의 저항 294
결론 303
보론: 조선 후기 담배의 급속한 보급과 사회적 영향 311
1. 머리말 312
2. 17세기 동북아시아의 문제아: 담배 313
3. 조선에서의 담배의 전래와 급속한 보급 318
1) 담배의 전래 시기 318
2) 담배의 급속한 보급 320
4. 담배의 급속한 보급에 따른 경제적 변화 323
1) 담배 생산단지의 출현 323
2) 담배 유통의 활성화 326
5. 가부장제의 강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 331
1) 흡연 예절의 강요 331
2) 신분에 따른 담뱃대 사용 334
3) ‘호랑이 흡연’ 민화의 등장과 의미 336
6. 맺음말 337
부록 341
1. 「연초세법(煙草稅法)」"(1909년 2월, 法律 제4호) 342
2. 「연초세령(煙草稅令)」(1914년 3월, 制令 제4호) 344
3. 「조선연초전매령(朝鮮煙草專賣令)」(1921년 4월, 制令 제5호)
349
참고문헌 357
찾아보기 367
표 차례
<표 1-1> 1년간 1반보당 한전작물의 재배에 필요한 인력 58
<표 1-2> 19세기 초 거래 물품의 장시 수 74
<표 2-1> 연초와 섬유제품 수입액 102
<표 2-2> 외국인 연초 제조회사(1894~1904) 108
<표 2-3> 연초 경작수지(收支) 계산 118
<표 2-4> 한전(旱田)에서의 연초와 다른 작물의 경영수지 비교 120
<표 2-5> 조선인 연초 제조회사(1894~1904) 124
<표 2-6> 1년간 국적별 연초제조량과 금액 129
<표 2-7> 외국인 연초 제조회사(1904~1910) 130
<표 2-8> 1908년 경기도 과천군 연초와 콩 경작수지 비교 139
<표 2-9> 1908년 경기도 과천군 연초와 콩 경작 수입 내역 139
<표 2-10> 1908년 경기도 과천군 연초와 콩 경작 지출 내역 139
<표 2-11> 1908년 경상남도 영산군(靈山郡) 연초 경작수지 계산 139
<표 2-12> 충청북도 각 군별 연초 농가 호수 및 재배 면적 142
<표 2-13> 조선인 연초 제조회사(1904~1910) 145
<표 3-1> 쌀면화의 생산과 대일 수출 156
<표 3-2> 연초경작조합의 설치와 해산의 경과 162
<표 3-3> 연초 경작 자금의 대부 실태 163
<표 3-4> 연초 재배 면적과 수확량 166
<표 3-5> 연초 품종별 재배 면적의 비율 168
<표 3-6> 주요 공장공업의 실태(1912년 말 현재) 172
<표 3-7> 황각[朝鮮刻] 및 전엽끽용 엽연초 소비액 174
<표 3-8> 제조연초 소비액 174
<표 3-9> 지권연초의 등급별 소비 비율 175
<표 3-10> 「"연초세령」이후의 연초제조업자 현황(1914년 12월 말) 179
<표 3-11> 「%연초세령」이후의 주요한 연초제조업자 180
<표 3-12> 1911년 경성의 연초 제조공장 182
<표 3-13> 1917년 경성의 연초 제조공장 182
<표 3-14> 연초 제조공장 현황 183
<표 3-15> 엽연초 위탁판매액 198
<표 3-16> 연초 수출입액 201
<표 3-17> 연초 수입액의 내역 203
<표 3-18> 연초 수출액의 내역 203
<표 3-19> 연초세액 210
<표 4-1> 자가용 연초경작세와 경작 인원 221
<표 4-2> 연초 경작 상황 223
<표 4-3> 남녀 직공별 평균 소득[1일 10시간당] 231
<표 4-4> 제조연초 종류별 판매액 239
<표 4-5> 엽연초의 등급별 배상 금액 247
<표 4-6> 엽연초 수납가 249
<표 4-7> 조선일본대만에서의 엽연초 배상금 비교 250
<표 4-8> 연초 경작지별 자작 및 소작 비율(1931) 256
<표 4-9> 세출액 구성비 258
<표 4-10> 세입액 구성비 260
<표 4-11> 전매 세입의 내역 264
<표 4-12> 조선총독부 경상부의 수입 구성 266
<표 4-13> 전매국의 수입과 지출 내역 268
<표 4-14> 철도국의 수입과 지출 내역 269
<표 4-15> 연초 수출입액 272
<표 4-16> 저렴한 엽연초 수납가에 대한 대응 279
<표 4-17> 「"전매령」위반 단속 인원 287
그림 차례
<그림 1-1> 신윤복의 「연소답청」& 38
<그림 1-2> 연초산지도 48
<그림 1-3> 김홍도의 「담배썰기」 64
<그림 1-4> 18세기 말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연초 유통 경로 68
<그림 2-1> 처음 보는 서양 담배와 성냥을 호기심 있게 쳐다보는 조선인 99
<그림 2-2> 연초 수입액의 추이 103
<그림 2-3> 일본 무라이형제상회의 지권연초 광고 104
<그림 2-4> 1876~1904년의 연초 산지 및 유통 상황 117
<그림 2-5> 각연초 소매 상황 123
<그림 2-6> 충청북도의 호당 평균 연초 재배 면적의 그룹별 면 수 143
<그림 2-7> 권연초 제조 장면 146
<그림 2-8> 19세기 말 제조연초 소매상점 147
<그림 3-1> 동아연초주식회사의 담배 광고 186
<그림 3-2> 조선연초주식회사의 담배 광고 189
<그림 4-1> 전매국에 항의 방문한 황각 제조업자들 230
<그림 4-2> 황각연초 236
<그림 4-3> 조선총독부 전매국의 제조연초 240
<그림 4-4> 범칙 항목별 검거 건수 297
<부록: 그림 1> 호랑이가 담배 피우는 민화 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