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88979869316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2-07-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장 위험보도와 위험관리 측면에서 미디어의 역할
02장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미디어의 역할
03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
04장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믿음 그리고 신뢰
05장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06장 여러 기술 분야에 걸쳐 나타난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모습들
07장 불명확한 위험과의 커뮤니케이션
08장 학술적인 연구 결과와 일반인의 위험인지
09장 재난영화 속의 과학
10장 문화와 기술의 혁신이브리드의 담론 구성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다양한 위험이 우리 삶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위험 중에는 ‘예상 가능한 것’도 있고 ‘불가능한 것’도 있다. 최근에는 위험사회를 가장 특징적으로 설명하는 ‘예상 불가능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산업사회의 거대기술이 파생시킨 결과이며, 단순하게 한 지역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보화사회 역시 예상치 못한 새로운 형태의 위험을 만들어내고 있다. 위험은 이제 인류가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범지구적인 사회현상이 되었다.
|‘머리말’ 중에서
위험정보는 특별히 흥미롭거나 드라마틱한 사건이 아닌 이상, 미디어 보도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 샌드맨Sandman은 미국 뉴저지 지역신문의 환경보도를 조사해 보고 나서 위험정보가 매우 소량이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Sandman, P.M. et al 1987). 위험은 재앙이 일어난 후에야 미디어 보도에서 토픽이 된다. 이와 같은 보도가 이루어진 후에야 ‘수용 가능한 위험 수준’과 비교되는 위험통계치가 일반 사람들에게 제시된다.
|‘위험보도와 위험관리 측면에서 미디어의 역할’ 중에서
위험 이슈가 사회적.정치적 논쟁에 휘말릴 때 그러한 논쟁들은 스스로 뉴스가 반드시 다뤄야 하는 실제성의 핵심적인 부분을 형성한다. 미디어가 이러한 논쟁점을 보도하면, 논쟁이 해결되거나 이해관계에 있는 구성원들에게 편안함을 주는 것이 아니라 분쟁을 더욱 심화시킨다. 더욱이 일반 대중을 양극화시키고 혼란스럽게 한다.
|‘위험보도와 위험관리 측면에서 미디어의 역할’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