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교회의 재산법

교회의 재산법

한동일 (지은이)
성바오로출판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18,0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800원
16,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교회의 재산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교회의 재산법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80158102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3-02-13

목차

저자 서문
약어표
머리말

제1부 교회의 재산법 입문(제1254조-제1258조)
1장 교회 재산의 정의
2장 구분
1. 거룩한 재산
2. 보배로운 재산
3. 동산과 부동산
3장 공법인의 재산에 대한 교회의 권리
1. 교회의 권리
2. 공법인의 권리
3. 수도회의 교회 재산
4장 목적의 중요성
1. 목적에 근거한 일치
2. 목적을 존중할 의무
3. 목적이 소유와 용도를 결정한다
4. 목적과 관련된 재산의 영성
5장 교회 재산을 규제하는 법률들

* 교회법 해설
국가 권력으로부터의 독립(제1254조 제1항)
교회 재산의 목적(제1254조 제2항)
재산권을 가질 법적 자격(제1255조)
재산권(제1256조)
교회 재산(제1257조)
교회의 의미(제1258조)

제2부 재산의 취득(제1259조-제1272조)
1장 일반적인 취득 권리
2장 합법적 취득 방법
1. 총칙
2. 재산 취득 방식
1) 자유 봉헌금
2) 원조 봉헌금
3) 의무 봉헌금
4) 사례금(납부금)
5) 부담금
6) 모금
7) 계약

* 교회법 해설
법인의 재산 취득권(제1259조)
신자에게 요구할 권리(제1260조-제1261조)
교회 유지비(제1262조)
부담금(제1263조)
1. 순시에 관한 교회법 규정
2. 분류
① 교황청 설립 수도회
② 교구 설립 수도회
③ 자치 수도승회
④ 사목 순시의 예외 사항
사례금(제1264조)
모금(제1265조)
특별 모금(제1266조)
봉헌금(제1267조)
시효(제1268조)
성물의 취득 시효(제1269조)
시효의 기간(제1270조)
사도좌 지원(제1271조)
교회록의 개혁(제1272조)

제3부 재산의 관리(제1273조-제1289조)
1장 전제 사항
2장 재산 관리의 정의
1. 교회의 입장에서 재산권의 특수 권리로서 재산 관리
2. 재산 관리는 무엇인가
3장 통상적·특별 재산 관리
4장 유사 행위들과 구분된 행위로서의 관리
1. 법률상 대표와 구분
2. 법인의 재산과 법인의 통제권 및 감독권과의 구분
3. 양도와의 구분
5장 관리자와 장상 사이의 관계
6장 관리자들과 재무평의회
7장 관리 행위와 상급 관할권자의 통제
8장 교회 재산의 관리를 주도하는 몇 가지 원칙들

* 교회법 해설
최고 관리자(제1273조)
성직자의 생활비(제1274조)
공동 관리(제1275조)
직권자의 소임(제1276조)
교구장에 의한 통상적ㆍ특별 관리(제1277조)
재무 담당자(제1278조)
법인의 관리(제1279조)
재무 담당 보조 기관(제1280조)
특별 재산 관리(제1281조)
재산 관리자의 의무(제1282조-제1284조)
애덕의 증여(제1285조)
사회 정의(제1286조)
결산(제1287조)
국가 법정에의 소송(제1288조)
재산 관리 의무(제1289조)

제4부 계약 및 양도(제1290조-제1298조)
4-1부 계약
1장 국가 법률의 수용
2장 법 적용의 원칙
3장 교회법이 수용하는 국가 법률들

4-2부 양도
1장 양도는 재산 관리와 구별된다.
2장 양도 행위의 유효성을 위해 요구되는 엄정함
3장 고정 세습 재산(부동산)의 개념
4장 양도의 개념
5장 허가를 필요로 하는 금액의 결정
1. 일반적으로
2. 수도회에서
6장 양도를 위한 다른 규정들
7장 허가 없는 교회 재산의 양도, 허가 없이 교회 재산을 양도하는 범죄

* 교회법 해설
계약(1290조)
교회 재산의 양도(제1291조)
양도의 허가권자(제1292조)
양도의 요건(제1293조)
양도의 방법(제1294조)
제한된 다른 거래(제1295조)
불법적 양도(제1296조)
임대(제1297조)
친인척(제1298조)

제5부 신심 의사 총칙 및 신심 기금(제1299조-제1310조)
1장 신심 의사
1. 신심 의사에 대한 정의
2. 신심 의사의 이행
3. 직권자의 역할
4. 갱신
2장 신심 기금
1. 신심 기금의 정의
2. 신심 기금의 두 형태
3. 유언자 의사의 이행

* 교회법 해설
신심 의사(제1299조)
신심 의사의 이행(제1300조)
집행자(제1301조)
신탁 증여(제1302조)
신심 기금(제1303조)
비자치 기금의 접수(제1304조)
비자치 기금 관리(제1305조)
신심 기금 증서(제1306조)
책무 목록표(제1307조)
신심 의사의 변경(제1308조-제1310조)

부록
I 교구 재산 관리
II 수도회 재산 관리
1. 일반 원칙들
2. 재산 취득 및 관리, 양도
3. 부채와 채무
4. 보고서
Ⅲ 재속 수도회 재산 관리
1. 재속 수도회의 독특성
2. 회원들의 의무
3. 재산 관리
Ⅳ 사도 생활단의 재산 관리
Ⅴ 본당 사목구 재산 관리
Ⅵ 교황청의 재산 관리

저자소개

한동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부하는 노동자. 한국 최초의 교황청 대법원 로타 로마나Rota Romana 변호사.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로타 로마나가 설립된 이래, 700년 역사상 930번째로 선서한 변호인이다. 로타 로마나의 변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유럽의 역사만큼이나 오랜 역사를 가진 교회법을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유럽인이 아니면 구사하기 힘들다는 라틴어는 물론 기타 유럽어를 잘 구사해야 하며, 라틴어로 진행되는 사법연수원 3년 과정을 수료해야 한다. 이 모든 과정을 마쳤다고 해도 변호사 자격시험 합격 비율은 고작 5~6퍼센트에 불과하다. 2001년 로마 유학길에 올라 교황청립 라테라노 대학교에서 2003년 교회법학 석사학위를 최우등으로 수료했으며, 2004년 동대학원에서 교회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과 로마를 오가며 이탈리아 법무법인에서 일했다. 서강대학교에서 라틴어 수업을 맡아 진행했고,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에서 ‘유럽법의 기원’과 ‘로마법 수업’을 강의했다. 현재는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서강대학교에서 진행한 라틴어 수업은 타교생 및 외부인까지 청강하러 찾아오는 최고의 명강의로 평가받았다. 그 현장 강의를 토대로 펴낸 『라틴어 수업』은 100쇄를 돌파하며 40만 부 이상 판매되었으며, 일본에서도 출간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 외 지은 책으로 『한동일의 공부법 수업』, 『한동일의 믿음 수업』, 『로마법 수업』, 『한동일의 라틴어 인생 문장』, 『그가 우리에게 말하는 것』, 『교회의 재산법』, 『카르페 라틴어 종합편』 등이 있다. 또한 『카르페 라틴어 사전』 등의 라틴어 사전을 편찬하고, 『동방 가톨릭교회』, 『교부들의 성경 주해 로마서』, 『교회법률 용어사전』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