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사
· ISBN : 9788980210619
· 쪽수 : 154쪽
· 출판일 : 2008-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요약문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본 연구의 구성
Ⅱ. 한국영화산업 투자환경 및 특성
1. 한국영화산업의 현황 및 구조
1) 시장규모
2) 투자 및 비용 규모
3) 수익률 및 수익구조
4) 기타 투자환경 : 배급 및 상영구조의 양극화
2. 한국영화산업의 투자구조 변화분석
1) 금융자본 유입 이전의 한국영화산업 투자 구조
2) 금융자본 유입 이후 투자주체의 다양화
3) 금융자본 유입 이후 투자주체간 역학관계의 변화
Ⅲ. 영상전문투자조합과 공적자금 투자
1.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성과 및 문제점
1) 영상전문투자조합의 개요
2)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전개
3) 영상전문투자조합의 성과
2. 평가 및 대안
Ⅳ. 해외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구조
1. 영화산업 자본조달구조의 보편성과 특수성
2. 유형 1 : 미국식 독립제작 자본조달구조
1) 지원금 및 보조금(Soft Money)
2) 지분투자(Equity)
3) 선 판매(Pre Sales)
4) 금융 대출(Gap Financing)
5) 기타 자본조달 방식들
6) 시사점
3. 유형 2 : 프랑스식 공적 지원 자본조달구조
1) 지상파 방송사 투자의무제도
2) 소피카(SOFICA)의 투자
3) IFCIC을 통한 대출지급보증
4) 직접 지원제도
5) 시사점
4. 유형 3 : 일본식 제작위원회 자본조달구조
1) 영화제작위원회
2) 투자조합
3) 유한책임사업조합(LLP)
4) 시사점
Ⅴ. 질적 성장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위한 과제와 전략
1. 한국영화산업의 과제
2. 정책적 대안
1) 패러다임의 이동 :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
2) 공공 지원정책의 역할
부록
한국영화산업 주요 연표
한국영화 주요 지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