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아동 문학론 > 아동 문학 일반
· ISBN : 9788980407026
· 쪽수 : 322쪽
· 출판일 : 2004-07-15
책 소개
목차
- 이야기를 열며 : 방정환의 삶과 문학이 남긴 몇 가지 공부거리
방정환이 조선의 아동문학 밭에 뿌린 동화의 첫 씨앗 <왕자와 제비>
긍정과 비판의 자리 / 첫 번안작 / 사회주의 관점 / 재창조된 왕자 / 이야기꾼의 자리
방정환과 천도교
동학의 본질 / 주도계층의 변화 / 천도겨의 가능성과 한계 / 몸과 마음의 분리 / 민족자결주의의 환상
방정환이 남긴 어른문학(시와 소설)의 세계
건강한 낭만성 / 3.1운동 이후 작품세계 / 개념화된 인물 / 입말의 즐거움과 계몽의 요구 / 제도와 내면에 대한 탐구 / 낭만과 계몽의 웃
번안 동화집 <사랑의 선물>의 세계
빛나는 업적 / 습작의 경험 / 어린이의 자리에서 / 다양한 이야기 장르 / 같이 울어 주는 문학 / 같이 놀아 주는 문학 / 같이 일어서는 문학 / 태생적 이데올로기
지상천국건설 이념과 동심주의
<금시계> 감상 / 근대를 넘어서는 전형이 되는 인물 / 부정적인 인물형 / 빛이 되는 동심을 가진 인물들 / 입신 출세주의 / 낙천적인 인물들 / 체제에 대한 헌신 / 제도의 벽 / 천도교단의 갈등과정 / 체제 내의 개량주의자들 / 지상천국건설 이념에서 동심주의로 / 비판의 문 / 새롭게 부활한 방정환의 문학
재미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익살스런 풍자의 언어 (마해송 문학 이야기)
고립된 주인고 / 현실공간과 초현실공간을 이어 주는 다리 / 수동적인 삶의 길 / 우화형식을 빌린 창작옛이야기 / <떡배단배>의 세계 / 신비주의로 기울어진 발상 / 재미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야기 요소
사실주의 문학으로 나가는 길 닦기 (계급주의 아동문학 이야기)
일제시대 아동문학의 흐름을 주도한 계급주의 / 토론과 비평의 힘 / 대화의 단절 토론의 단절 / <그 소년의 편지> 감상 / 계급주의 문학작품에 들어 있는 빛의 되는 요소들 / 세계관 제일주의에만 빠진 한계
건강한 놀이공간을 만들어 내는 사실동화의 본보기 (현덕의 문학 이야기)
사실동화를 보는 1930년대의 눈 / 사실동화와 창작옛이야기는 한 형제 / 건강한 놀이공간을 만들어 내는 사실동화의 본보기 / 잘못된 모성의 신화 / 계급주의 대신 입신출세주의 / 현덕의 사실동화가 갖는 문학사적 의미
'기쁜 슬픔'의 세계 (이우너수 문학 이야기)
슬픔의 정서 / 어른의 슬픈 정서 <금빛 굴렁쇠> / 어두운 현실의 한 단면 <바닷가의 소년들> / 아픔 주는 목숨을 용서하는 자리 / 아쉬운 '참회의 글' / 어수선한 해방공간과 전쟁의 혼란기 / 부활로 이어지는 슬픔의 이야기 / '해바라기의 삶' 이어가기 / 얼음 같은 심장을 녹이시오 / 근.현대에 이르는 큰 물줄기
빛의 세계로 통하는 고립된 목숨의 본보기 (손창섭 문학 이야기)
어른문학에 묻혀 버린 손창섭 어린이문학 / 익살스런 상상력 / 두 극의 가운데에 있는 목숨 / 동정의 상상력으로 꽉 차 있는 인물들 / 이야기 공간에 드러난 그림자형 인간 / 빠른 이야기 속도 / 견뎌내는 삶의 신화를 보여주는 동심의 본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당시 해방공간의 역사를 이렇게 동화라는 그릇에 담아내려 한 열정을 보여 준 작가도 결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아쉽게도 마해송은 그 시대 대중들이 미처 깨닫지 못하거나 아니면 알면서도 겉으로 드러내기 꺼려하는, 숨겨진 모순을 드러내는 우화공간을 창조해 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마해송의 문학은 익살과 해학, 그리고 간결한 문장의 힘을 바탕으로 빠르게 전개되는 이야기 속도가 한데 어우러져 흥미 있게 읽히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작품은 사회학의 자리에서, 심리학의 자리에서, 구조면에서 이렇게 여러 자리에서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마해송의 동화는 이야기 구조면에서 살펴볼 때 많은 빛이 되는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
-본문 p.144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