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아동 문학론 > 아동 문학 일반
· ISBN : 9788980407156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07-07-25
책 소개
목차
1.뒤엉킨 용어의 실타래 -동화, 요정담, 메르헨, 옛이야기의 경계선
‘동화’와 ‘옛이야기’라는 용어가 안고 있는 문제점 /《한국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오류 /‘요정담’이란 골칫거리 /요정담과 메르헨 /번역의 오류가 빚은 오해 /‘옛이야기’용어 사용에 대하여
2.설화와 전래 동화의 장르적 경계선 -아기장수 이야기를 중심으로
설화와 전래 동화의 경계/아기장수 설화의 세계/아기장수 전래 동화의 세계
3. 빨간모자의 숲에서 해와 달을 만나다 - 옛이야기를 읽는 다양한 비평적 시각
<빨간모자>에 대한 서구 비평의 열기와 혼돈 /프랑스 민담 <할머니 이야기〉와 페로와 그림 형제의 <빨간모자〉/<빨간모자〉를 바라보는 정신분석학자들의 시각 /사회철학자와 페미니스트의 시각 /분석심리학자의 시각 /민속학자의 시각 /<빨간모자>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4. <구렁덩덩신선비>와 외국 뱀 신랑 설화의 서사 구조와 상징성 살펴보기
<구렁덩덩신선비>와 외국 동물 신랑 설화의 서사 구조 비교 /<구렁덩덩신선비>와 <뱀과 포도 재배자의 딸〉의 서사 구조 비교 /한국과 프랑스의 뱀 신랑 설화가 지닌 상징성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고찰
5. 비교문학 시각에서 본 <콩쥐팥쥐>의 기원과 특성
<콩쥐팥쥐>는 외국 설화인가? 민족 설화인가? /윌리암 그리피스의 <아기돼지와 거만한 동생〉/ 중국 설화 <이쁜이와 곰보>와 베트남 설화 <떰과 깜> /아프리카, 서유럽, 포르투갈, 러시아의 유사 설화 /<콩쥐팥쥐>의 보편성과 특수성/잃어버린 연꽃과 구슬을 찾아서
6. 우리 옛이야기 속의 버드나무 모티프
한국 건국 신화 속의 ‘버들잎-처녀’와 만주 창세신화 속의 버들천모/계모 모해담 속의 하늘나라 선관, ‘버들잎’/한국 홍수신화 및 단군신화 속의 부성적인 신수(神樹) /한국 설화에 등장하는 생사의 경계를 초월한 버드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