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88981341138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08-03-03
목차
제 1 장 품질과 신뢰성의 개념 11
1.1 품질의 이해?13
1.1.1 제품의 품질?13
1.1.2 업무의 질?16
1.1.3 품질의 정의?17
1.2 제품의 기능과 품질요소?19
1.3 품질 특성 및 분류?19
1.3.1 품질 특성?19
1.3.2 품질의 분류?20
1.3.3 종합적 품질?22
1.3.4 제품 이외의 서비스 품질?22
1.4 관리의 의의?23
1.4.1 관리의 사이클?23
1.4.2 관리의 효율화?24
1.5 전사적 품질 관리?25
1.5.1 품질관리의 의의?25
1.5.2 품질관리의 정의?26
1.5.3 품질관리의 중요성?28
1.5.4 품질관리의 역사?30
1.6 신뢰성의 개요?31
1.6.1 신뢰성과 신뢰성 기술?31
1.6.2 품질관리와 신뢰성?35
1.6.3 신뢰성과 안전성?37
제 2 장 기업환경의 변화와 품질의식 중요성 인식 39
2.1 기업 환경의 변화?41
2.1.1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41
2.1.2 고객품질의 변화?42
2.2 품질경영과 현장개선?43
2.2.1 품질경영?43
2.2.2 QM의 의의와 목적?44
2.2.3 QM의 발전과정과 기본개념?45
2.3 QM의 기본적 사고방식?48
2.3.1 TQM의 철학?49
2.4 TQM에 의한 품질문화의 정착?51
2.5 TQM의 도입과 적용?52
제 3 장 품질보증 57
3.1 품질보증이란??59
3.2 기업에 있어서의 품질문제?60
3.3 품질보증과 품질관리?64
3.4 품질보증과 품질 코스트?65
3.4.1 품질 코스트의 분류?65
3.4.2 품질 코스트의 활용?67
3.5 품질보증시스템?67
3.5.1 스텝별 품질보증시스템?67
3.5.2 품질보증시스템 확립과 효과적 운영?69
3.5.3 QC공정도?72
3.6 품질보증방법?75
제 4 장 제조물 책임(PL)법과 신뢰성 기초 79
4.1 기업 책임의 발전?81
4.2 제조물 책임의 의의?83
4.3 다른 책임과의 구별?84
4.4 제조물 책임의 기능?91
4.5 기업 경영에 미치는 영향?93
제 5 장 층별과 체크시트 95
5.1 층별의 의의?97
5.2 층별의 작성 방법?97
5.3 층별시 주의 사항?98
5.4 일반적인 층별 항목?99
5.5 체크시트의 의의?100
5.6 기록용 체크시트의 작성 방법?101
5.7 기록용 체크시트의 사용 방법?102
5.8 점검용 체크시트의 작성 방법?104
5.9 점검용 체크시트의 사용 방법?104
제 6 장 파레토그림과 특성요인도 107
6.1 파레토그림의 의의?109
6.2 파레토그림의 역할과 용도?109
6.3 파레토그림의 작성 방법?110
6.4 작성시 주의할 점?113
6.5 파레토그림의 사용 방법?114
6.6 파레토그림이 될 수 있는 데이터?116
6.7 파레토그림 판독법?116
6.8 파레토그림을 활용하는 데 주의할 사항?117
6.9 특성요인도?117
제 7 장 히스토그램 125
7.1 히스토그램의 의의?127
7.2 도수분포표의 작성?127
7.3 도수분포표에서 평균과 표준편차 계산?128
7.4 히스토그램의 사용 방법?132
7.5 히스토그램의 역할과 용도?136
7.6 공정능력지수의 계산?136
제 8 장 공정능력 139
8.1 공정능력의 개념?141
8.2 공정능력의 정량화?142
제 9 장 측정시스템 분석 149
9.1 측정시스템의 개요?151
9.1.1 측정시스템 오차?151
9.1.2 정확도(accuracy)?152
9.1.3 정밀도(precision)?153
9.2 MINITAB에서 제공하고 있는 측정시스템 분석 모듈?154
9.3 측정시스템 평가시 일반적인 고려사항?155
9.4 품질시스템 인증시 측정시스템 평가 및 관리에 관한 체크리스트?156
제 10 장 신뢰성 분석 및 평가 159
10.1 제품 안전과 신뢰성?161
10.2 제품 개발과 신뢰성?165
10.3 제품의 고장과 신뢰성 예측?167
10.4 신뢰성 시험?172
10.5 가속의 종류 및 스트레스 부과 방법?175
10.6 FTA?179
10.6.1 개요?179
10.6.2 논리 기호와 사상 기호?180
10.6.3 FTA의 정량적 분석?182
10.6.4 FTA의 장단점?187
10.7 FMEA?188
10.7.1 FMEA 일반?188
10.7.2 설계 FMEA?194
10.7.3 공정 FMEA?204
10.7.4 FMEA의 장단점?212
10.8 RACER법에 의한 제품 및 부품 선정법?213
제 11 장 ISO 9000:2000 기본사항과 6시그마의 개요 217
11.1 ISO 9000:2000 개요?219
11.2 품질경영 8원칙?219
11.3 6시그마란 무엇인가??225
제 12 장 Single PPM 달성을 위한 품질혁신기법 245
12.1 현장개선기법?247
12.1.1 3정5S활동?247
12.1.2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활동?255
12.1.3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266
12.1.4 5Why기법?268
제 13 장 VE개론 271
13.1 기업의 목적?273
13.2 이익을 확대하기 위한 방법?274
13.3 원가절감을 위한 기술?275
13.4 VE의 탄생과 발전 경위?276
13.5 VE의 정의?279
13.6 VE의 기본원칙?280
13.7 VE활동추진 개요?281
13.7.1 VE Jop plan의 개요?281
13.7.2 VE Jop plan의 내용?282
13.7.3 VE와 정보?284
13.7.4 대상 테마(Theme)의 선정?286
13.7.5 VE활동의 실시와 관리?288
◈ 참고문헌?293
◈ 찾아보기?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