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82555503
· 쪽수 : 155쪽
· 출판일 : 2016-10-20
책 소개
목차
서문 _ 6
I. 비평본의 구조와 의도
1. 헬라어 신약 성경 전승의 역사 _ 13
2. 사본들 _ 18
3. NA 28판의 한 면을 보면서 _ 32
4. 판본의 구조 _ 36
5. 이문 평가하기 _ 52
6. 결론적 질문들 _ 59
II. 연습 문제들과 학습 도우미
1. NA 28판 서문에 대한 질문들 _ 64
2. “다수 본문”Majority TextM란 무엇인가? _ 72
3. 공동 서신의 본문 _ 75
4. 적극적 비평 장치와 소극적 비평 장치 _ 78
5. 초기 역본들 _ 81
6. 신약 성경으로부터의 초기 인용구들 _ 83
7. 에우세비오스의 복음서 대조표 _ 85
8. 부록 I B: 라틴어 코덱스들 _ 89
9. 부록 II: 다양한 사소한 읽기들 _ 91
III. 학자들을 위한 비평본으로서의 NA 28
1. 27판 및 28판 사이의 변화 _ 96
2. NA 28판의 취약점들 _ 108
부록: 교사들을 위한 제안들 _ 125
연습문제 해답 _ 135
참고문헌 _ 153
옮긴이의 글 _ 154
책속에서
편집적 변경들은 단순히 본문의 풍부한 이문들에 대해서만 설명해 주는 것은 아니다. 책을 복사하는 과정 중에 필사자들이 책을 복사하여 새로운 사본을 생산했을 때, 그들은 오래된 사본을 해독하면서 실수를 저질렀을 것이다. 실수를 하지 않고 손으로 본문을 복사하는 것은 분명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헬라어가 신약 성경의 초기 독자들의 대다수에게 모국어가 아니었으며 또한 신약 성경의 저자들 중 많은 이들에게도 모국어가 아니었던 것 같다. 신약 성경은 일반적으로 “보통” 헬라어“common” Greek를 의미하는 코이네 헬라어Koine Greek라고 하는 것으로 기록되었다. 이 헬라어는 지중해 세계 전역에서 다국적 대화를 위해 사용된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공통어”)를 대표했고, 그 위치는 사업과 학문적 대화를 위해 오늘날 유럽에서 영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비견할 만하다.
이 규칙들이 지금까지 고대로부터 기인한 본문들의 비평본들을 한번도 접해보지 못했던 독자들에게 첫 번째 예비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여기서 간단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NA 28판의 본문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보다 더 정밀하다. 소위 “일관성에 근거한 계보적 방법론” the Coherence-Based Genealogical Method(CBGM)가 수년의 기간을 거쳐 발전했다. 그리고 이 방법론은 ‘에디티오 크리티카 마이오르’Editio Critica Maior(“대비평본”)를 위한 방법론적 기초를 제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