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97429835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2-10-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약어
제1부 서론
제2부 고대 편지 연구사
제1장 다이스만(A. Deissmann) 이전
1. 벤틀리(R. Bently, 주후 1662~1739년)와 근대 비평적 접근의 출현
2. 19세기 편지학의 중흥과 이집트 파피루스 편지의 발견
제2장 다이스만과 이집트 파피루스 편지 연구
제3장 문학적 양식 분석(Literary Form Analysis)
1. 초기 문학적 양식 분석
2. 문학적 양식 분석의 발전
3. 문학적 양식 분석 시기의 기독교 서신 전통에 관한 연구
제4장 편지 이론들과 수사학적 접근들
1. 이론적 접근 출현과 편지학에 관한 신약학계의 반응
2. 연역적 이론적 접근: “고대 편지 이론가들”(Ancient Letter Theorists)
3. 연역적 혹은 고전 수사학적 접근
4. 귀납적 혹은 서술적 접근
제5장 결론적 요약
[보록 1] 고대 편지 연구사에 따른 갈라디아서 해석사
§1. 서론
§2. 최근 40년간의 갈라디아서 문예적 연구 방법의 분석과 평가
§2.1. 고대 비-문학 편지로서의 갈라디아서: J. L. White.
§2.2. 고대 수사 작품으로서의 갈라디아서: H.D. Betz
§2.3. 연설/수사 장치를 사용한 복합적 성격의 편지로서의 갈라디아서: R.N. Longenecker
§2.4. 자체 수사적 논리를 가진 작품으로서의 갈라디아서: D.F. Tolmie
§3. 결론: 요약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제3부 바울 서신의 문학 양식적 훈계 전통적 배경
제1장 그리스-로마 편지의 양식
1. 그리스-로마 편지의 범주
2. 그리스-로마 편지의 구조
3. 그리스-로마 편지의 서두, 본문 및 결어의 문학적 특징
4. 그리스-로마 편지 작성의 추가적 관습들
제2장 고대 그리스-로마 훈계 전통과 훈계 편지들
1. 고대 편지 분류법과 훈계 편지들
2. 그리스-로마 훈계 전통의 소개: 목표, 발전, 종류
3. 그리스-로마 훈계 전통의 실천: 장르적 특징들
제3장 결론적 요약
제4부 목회 서신으로써의 바울 서신
제1장 목회 동기: 역사적 배경
1. 고대 세계와 기독교
2. 바울과 성도들의 상황
제2장 목회 의도
1. 바울의 의도와 자의식
2. 목회적 심정
제3장 목회 실천: 데살로니가전서 분석
1. 바울 서신과 훈계 전통
2. 목회 서신으로써의 데살로니가전서
제4장 결론적 요약
[보록 2] 고대 편지 양식에 따른 신약 성경 편지 양식 연구
§1. 서론
§2. 고대 그리스-로마 편지의 서두
§2.1. 편지 서두의 종류
§2.2. cai,rein의 기원
§2.3. cai,rein의 보충
§3. 신약 서신 서두
§3.1. 발·수신자 부분과 인사 부분을 나눈 편지들
§3.2. 발·수신자와 인사가 한 문장을 이룬 편지들
§4. 『개역개정』의 번역 분석과 평가
§4.1. <§3.1>의 발·수신자 부분과 인사 부분을 나눈 편지들
§4.2. <§3.2>의 발·수신자와 인사가 한 문장을 이룬 편지들
§5. 편지 서두 번역을 위한 제안
§6. 결론
제5부 바울의 목회 원리: 정체성 형성의 목회적 원리들과 적용
제1장 “칭의 공동체”로써의 교회
1. “칭의 공동체”의 시작: 오직 믿음
2. “칭의 공동체”의 삶: 말씀을 통한 회복
제2장 바울의 목회 원리: 최초 그리스도인 정체성 정립하기
1. 목회 정황과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
2. 정체성을 확립하는 다섯 가지 목회 원리
제3장 결론적 요약
[보록 3] 고대 훈계 전통에 따른 신약성경 서신의 훈계 방식 연구
§1. 서론
§2. 고대(그리스-로마) 세계에서의 모델
§2.1. 모델 사용의 목적
§2.2. 모델의 기능
§2.3. 모델의 종류
§2.4. 요약
§3. 신약 서신의 모델 사용과 기독교 정체성
§3.1. 서문
§3.2. 신약 성경 서신에서의 모델들
§3.3. 요약
§4. 결론: 한국 교회의 설교에 있어서의 모델
제6부 결어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신약 성경 서신 및 초대 기독교 편지들이 그리스-로마 문학사(文學史)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편지들은 그리스-로마 문학사의 일부이며 유사한 시대적 배경에서 저술되었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그리스-로마 편지학(片紙學, epistolography)에서 기독교 편지 전통으로써의 목회 편지 유형 즉, “기독교 영혼 돌봄 편지”(the pastoral letter or psychagogical letter)의 적절한 위치를 찾기 위해 초대 기독교 편지의 역사뿐 아니라, 일반 그리스-로마 편지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적절한 접근이라 할 수 있다. 이 두 영역에 관한 연구는 목회 혹은 기독교 영혼 돌봄 편지 유형으로 형상화된 하나의 기독교 편지 전통 연구에 대한 배경을 제공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