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럽을 알면 한국의 미래가 보인다

유럽을 알면 한국의 미래가 보인다

성윤모, 김기준, 전윤종, 천영길, 박재영, 이호현, 노용석 (지은이)
한국생산성본부
13,2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유럽을 알면 한국의 미래가 보인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럽을 알면 한국의 미래가 보인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82586477
· 쪽수 : 543쪽
· 출판일 : 2012-11-05

책 소개

2009년 여름, 유럽 7개 주재국으로 파견된 지식경제부 상무관들이 유럽 현장에서 근무하며 보고, 읽고 느끼면서 우리나라에게 우선적으로 의미 있는 사례를 뽑아 정보를 수입, 공유하고 서로 체득한 경험과 지식으로 정리한 책이다.

목차

Ⅰ기로에 선 유럽 다시보는 유럽모델
제1장 성장과 복지의 조화, 지속가능한가? / 15page
제2장 단일시장의 남북간 분화, 산업경쟁력이 가르다. / 29page
제3장 경쟁과 협력·갈등과 타협의 에너지패권 신삼국지 / 61page

Ⅱ 제조업 강국, 스위스
제1장 강소국, 스위스 국가경쟁력의 비밀을 찾아서 / 85page
제2장 스위스의 대표 브랜드, 스위스 시계산업 / 105page
제3장 스위스 대표 제조업과 글로벌 기업 / 133page
제4장 지식기반시대의 선구자, 스위스의 혁신 사례 / 175page

Ⅲ 유럽경제의 견인차, 독일
제1장 슈퍼스타의 부활 / 205page
제2장 독일 제조업의 중추, 중소기업 / 237page
제3장 명품을 만드는 명인, 명인을 만드는 명품 시스템 / 249page
제4장 환경에 대한 독일인의 고뇌(German Angst)와 원전 정책 / 255page
제5장 독일의 재생에너지산업, 녹색을 넘어 성장의 주역으로 / 271page
제6장 독일에서 배우는 지역균형 발전 / 281page
제7장 메세의 나라, 독일 제대로 활용하기 / 289page

Ⅳ 기업하기 좋은 나라, 네덜란드
제1장 네덜란드 경제개황 / 303page
제2장 기업하기 좋은 산업정책 / 314page
제3장 핵심산업 / 339page
제4장 기업사례 / 354page

Ⅴ 존경받는 복지 선진국을 꿈꾸는 나라, 스웨덴
제1장 스웨덴의 복지 모델 / 375page
제2장 스웨덴의 경제 현황과 제조업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 / 387page
제3장 스웨덴 에너지정책의 주요 이슈 / 400page
제4장 존경받는 국가를 지향하는 나라, 스웨덴 / 407page

Ⅵ 해가 질 수 없는 나라, 영국
제1장 영국 제조업의 부활 / 431page
제2장 영국의 새로운 성장동력 / 449page
제3장 영국경제의 위기와 도전 / 465page
제4장 영국시장에 진출하려면 / 477page

Ⅶ 프랑스 경제, 조금 더 이해하기
제1장 프랑스 경제 조금 더 이해하기 / 495page
제2장 세계적 제조업 강국 프랑스 / 507page
제3장 원자력의 나라 프랑스 / 535page

저자소개

성윤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미국 미주리대학교(콜롬비아) 경제학 박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석사(정책학 전공)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 학사 주요경력 현 중앙대학교 석좌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정회원 전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이사장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특허청장 국무조정실 경제조정실장 등
펼치기
김기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서울대 경제학과 학사(1988), 서울대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수료(1992), 미국 메릴랜드 대학교 경제학 석사(2001), 미국 메릴랜드 법과대학 Juris Doctor(2004), 미국 뉴욕주 변호사 - 행정고시35회, 지식경제부 신재생에너지과장, 해외투자과장, 실물경제종합지원단 부단장, 주OECD 대표부 참사관, IEA회원국에너지정책 연구과장 (12.8월말부터)
펼치기
전윤종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영국 리즈대 박사(PhD) - 지식경제부 지역투자과장, 중국협력팀장 등(1993-2009) 주)유럽연합대사관(09-2012.8월) 현)지식경제부 투자유치 과장
펼치기
천영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 한양대학교 전기공학과 졸업(석사) - 미국전력연구소(EPRI), 지식경제부 원전사업기획단/전력산업과 근무, FTA국내대책본부 영향분석팀장, 지식경제부 전력계통과장/ 투자유치과장, 주)네덜란드대사관 참사관
펼치기
박재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성균관대 행정학과 졸업, 서울대 행정대학원(정책학 전공), 미국 카네기멜론대 석사(Tepper School of Business) - 무역정책과/미주협력과/석유산업과 근무 /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 과장, 지식경제부 구미협력과장 / 현재 주독일대사관 상무관
펼치기
이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연세대 경제학과 졸업, 미국 존스홉킨스대 석사(파이낸스) - 산업자원부 홍보지원팀장, 상생협력과장 / 대통령실 기획조정비서관실 행정관 현재 주영대한민국대사관 상무관
펼치기
노용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성균관대학교 경영학과 졸업(학사), 프랑스 ESSEC 졸업(석사) - 지식경제부 반도체전기과/수출입과/자동차조선과 근무, 주)프랑스대사관 상무관
펼치기

책속에서

실제로 프랑스 근로자들의 근로시간은 다른 서유럽국가들에 비해서 짧지 않다. 2009년 국제노동기부(ILO)의 조사에 따르면 프랑스 근로자의 실제 연평균 근로 시간은 총 1,554시간으로 네덜란드(1,378시간), 독일(1,390시간), 노르웨이(1,407시간), 아일랜드(1,549시간)보다도 많다고 한다. 프랑스 통계청(INSEE)의 2006년 근로자 근무시간 조사결과도 흥미로운데 2003년 ~ 2004년간 프랑스 정규직 근로자들의 평균 근무시간은 총 1,650시간으로 5주의 유급휴가와 5일의 국경일 휴무를 향유한 경우 매주 35시간 52분을 근무한 셈이다. 그런데 관리직 간부의 평균 근무시간은 총 1,870시간으로 평균 근무시간보다 220시간 많았고 특히 남성 관리직 간부는 무려 1,930시간을 근무한 것으로 조사되어 프랑스는 고위직일수록 더 오랜 시간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주당 35시간 근무는 관리직 이상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정부와 기업의 고위직급자들은 밤을 새워 일하는 경우도 허더하다 한다. 실제로 필자도 프랑스 산업에너지장관실의 외교보좌관으로부터 새벽 4시에 업무연락을 받기도 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