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제학
· ISBN : 9788983124470
· 쪽수 : 537쪽
· 출판일 : 2019-02-28
책 소개
목차
러시아 경제 개관
Ⅰ. 러시아 자연 지리 1
1. 러시아 영토 면적 1
2. 러시아 삼림 면적 7
3. 러시아 농지 면적 9
Ⅱ. 러시아 인문 지리 11
1. 러시아 인구 11
2. 러시아 주요 도시 16
3. 러시아 민족, 언어, 종교 19
1) 러시아 민족(nation) 19
2) 러시아 언어(language) 21
3) 러시아 종교(religion) 23
4. 러시아 행정구역 25
1) 러시아 연방관구(federal okrug) 26
2) 러시아 연방주체(federal subjects) 28
3) 러시아 경제지역(economic regions) 30
Ⅲ. 러시아 천연자원 잠재력 32
1. 러시아 천연자원의 가치 32
2. 러시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5
1) 천연가스(natural gas) 35
(1) 천연가스 매장량 35
(2) 천연가스 생산 39
(3) 천연가스 수출 40
2) 원유(crude oil) 43
(1) 원유 매장량 43
(2) 원유 생산량 46
(3) 주요 원유 및 가스 생산지 50
(4) 원유 수출 63
3) 석탄(Coal) 65
(1) 석탄 매장량 65
(2) 석탄 생산 68
(3) 석탄 수출 69
3. 러시아 원목 및 목재 71
1) 원목 부존량(Stock) 71
2) 목재 생산 및 수출 72
4. 러시아 광물자원 73
1)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 73
2) 주요 광물자원 생산 75
(1) 귀금속 76
(2) 비철금속 83
(3) 철광석 91
3) 러시아 광물자원과 올리가르히(과두재벌) 95
(1) 올리가르히의 산업 지배 과정 95
(2) 푸틴 시대 올리가르히 99
(3) 올리가르히의 러시아 광공업 지배 103
5. 러시아 경제에서 에너지 및 광물자원의 의미 106
1) 러시아 에너지 자원 : 축복인가?, 저주인가? 106
2) 러시아 천연자원 렌트(rent) 109
3) 러시아 경제에서 연료-에너지 복합체(Complex)의 역할 112
(1) 국내총생산(GDP)과 연료-에너지 복합체 112
(2) 산업 총산출(output)과 연료-에너지 복합체 113
(3) 연방정부 예산과 연료-에너지 복합체 114
(4) 상품수출과 연료-에너지 복합체 116
Ⅳ. 러시아 경제성장과 발전 119
1. 1990년대 러시아 경제성장과 발전 119
1) 1990년대 러시아 주요 거시경제지표 120
(1) 경제성장 121
(2) 인플레이션 121
(3) 재정수지 122
(4) 상품 및 경상수지 122
(5) 자본유출(자본도피) 123
(6) 대외부채 123
(7) 달러통용화(dollarization) 124
(8) 실업 및 빈곤 125
(9) 국가신용등급 125
2) 1990년대 러시아 경제성장의 특징 126
2.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2000~2008년) 러시아 경제성장과 발전 128
1) 2000년대 러시아 주요 거시경제지표 128
(1) 경제성장 129
(2) 인플레이션 130
(3) 재정수지 130
(4) 외환보유액 131
(5) 대외부채 131
(6) 대외무역 132
(7) 국민소득 및 실업 133
(8) 국가신용등급 133
2) 2000년대 러시아 경제성장의 특징과 한계 133
(1) 2000년대 러시아 경제성장의 특징 133
(2) 2000년대 러시아 경제성장의 문제점 135
3) 1990년대와 2000년대 러시아 경제 개혁과 정책 비교 136
3. 글로벌 금융위기(2009~2017년) 이후 러시아 경제성장과 발전 138
1) 2010년대 러시아 주요 거시경제지표 138
(1) 경제성장 139
(2) 인플레이션 142
(3) 재정수지 143
(4) 실업률과 임금 144
(5) 경상수지 145
(6) 환율 146
2) 2010년대 러시아 경제 침체의 특징과 과제 148
Ⅴ. 세계 속의 러시아 경제 151
1. 러시아 거시경제지표 151
1) 러시아 국민소득 151
(1) 러시아 국내총생산(GDP) 151
(2) 러시아 국민총소득(GNI) 154
2) 러시아 대외무역 157
(1) 러시아 상품교역 157
(2) 러시아 상업서비스 교역 162
3) 러시아 외국인직접투자 및 해외직접투자 164
(1) 러시아 외국인직접투자(FDI inflows) 164
(2) 러시아 해외직접투자(FDI outflows) 167
4) 러시아 외환보유액 168
5) 러시아 대외부채 172
2. 러시아의 기업(비즈니스) 환경 174
1) 러시아 기업환경평가(Doing Business) 175
2) 러시아 경제자유지수(Index of Economic Freedom) 182
3) 러시아 세계경제자유지수(EFW) 187
4) 러시아 부패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 189
5) 러시아 국가위험(Country risk) 195
3. 러시아 국민의 삶의 질 197
1) 러시아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198
2) 러시아 세계행복지수(World Happiness Report) 200
3) 러시아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 202
4) 러시아 고통지수(Misery Index) 205
4. 러시아 정보화 수준 207
1) 러시아 네트워크 준비지수(Networked Readiness Index) 208
2) 러시아 정보통신기술 개발지수(ICT Development Index) 209
3) 러시아 인터넷 및 휴대폰 이용 211
Ⅵ. 러시아의 국가경쟁력 212
1. 국가경쟁력 개념 212
2.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의 러시아 국가경쟁력 218
1) IMD의 국가경쟁력 평가 체계 218
2) IMD의 러시아 국가경쟁력 220
3. 세계경제포럼(WEF)의 러시아 국가경쟁력 223
1) WEF의 국가경쟁력 평가 체계 223
2) WEF의 러시아 국가경쟁력 225
4. 러시아의 무역경쟁력 231
1) 2000년대 무역원활화 협정 231
2) 러시아의 무역경쟁력 232
5. 러시아의 물류 경쟁력 236
6. 러시아의 지배구조(Governance) 241
중앙아시아 경제 개관
Ⅰ. 중앙아시아 자연 및 인문지리 246
1. 중앙아시아 자연 지리 246
1) 중앙아시아의 지리적 정의(개념) 246
2) 중앙아시아 영토 248
3) 중앙아시아 삼림 및 농지 면적 249
4) 중앙아시아 지형 251
(1) 사막(deserts) 252
(2) 산록/산기슭(piedmont or foothills) 254
(3) 산맥/산악지역(mountains) 255
5) 중앙아시아 수자원(하천과 호수) 256
(1) 아무다리야강(Amu Darya river) 258
(2) 시르다리야강(Syr Darya river) 259
(3) 추이-탈라스강(Chui & Talas river) 260
(4) 오비-이르티시강(Ob-Irtysh river) 261
(5) 우랄강(Ural river) 261
(6) 발하슈호(Lake Balkhash) 262
(7) 이식쿨호(Lake Issyk-Kul) 262
6) 중앙아시아의 내해(內海) 263
(1) 아랄해(Aral sea) 263
(2) 카스피해(Caspian sea) 264
2. 중앙아시아 인문지리 266
Ⅱ. 중앙아시아 5개국 자연 및 인문지리 271
1. 카자흐스탄(Kazakhstan) 271
1) 지리(geography) 271
2) 하천과 호수(rivers & lakes) 272
3) 인구(population) 273
4) 민족(nation) 274
5) 종교(religion) 275
6) 언어(language) 276
7) 행정구역(administrative divisions) 276
2. 우즈베키스탄(Uzbekistan) 277
1) 지리(geography) 277
2) 하천과 호수(rivers & lakes) 279
3) 인구(population) 280
4) 민족(nation) 281
5) 종교(religion) 282
6) 언어(langage) 282
7) 행정구역(administrative divisions) 283
3. 투르크메니스탄(Turkmenistan) 284
1) 지리(geography) 284
2) 하천과 호수(rivers & lakes) 285
3) 인구(population) 286
4) 민족(nation) 288
5) 종교(religion) 288
6) 언어(langage) 289
7) 행정구역(administrative divisions) 289
4. 키르기즈 공화국(Kyrgyz Republic) 291
1) 지리(geography) 291
2) 하천과 호수(rivers & lakes) 292
3) 인구(population) 293
4) 민족(nation) 294
5) 종교(religion) 295
6) 언어(langage) 296
7) 행정구역(administrative divisions) 296
5. 타지키스탄(Tajikistan) 297
1) 지리(geography) 297
2) 하천과 호수(rivers & lakes) 298
3) 인구(population) 299
4) 민족(nation) 301
5) 종교(religion) 301
6) 언어(langage) 302
7) 행정구역(administrative divisions) 302
Ⅲ. 중앙아시아의 천연자원 잠재력 304
1. 중앙아시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06
1) 석유 매장량 307
2) 천연가스 매장량 308
3) 석탄 매장량 310
2. 중앙아시아 5개국 국가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11
1) 카자흐스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11
(1) 원유 313
(2) 천연가스 319
(3) 석탄 323
(4) 카자흐스탄 주요 유전-가스전 325
2) 투르크메니스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32
(1) 천연가스 334
(2) 원유 348
(3) 투르크메니스탄 주요 유전-가스전 350
3) 우즈베키스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54
(1) 주요 유전과 천연가스전 354
(2) 천연가스 생산과 소비 356
(3) 원유 생산과 소비 359
4) 키르기스스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61
5) 타지키스탄 에너지 자원 잠재력 363
3. 중앙아시아 5개국 광물자원 잠재력 364
1) 카자흐스탄의 광물자원 365
(1) 우라늄(Uranium) 368
(2) 크롬 광석(Chromium ore) 369
(3) 금(gold) 370
(4) 구리(copper) 371
(5) 폴리메탈(Polymetals. 납과 아연) 372
(6) 망간 광석(manganese ores) 372
(7) 보크사이트(bauxites) 373
(8) 철광석(iron ore) 373
2) 우즈베키스탄의 광물자원 374
(1) 우즈베키스탄 주요 광물자원 매장량 374
(2) 우즈베키스탄 주요 광물자원 생산 377
3) 키르기스스탄의 광물자원 380
4) 타지키스탄의 광물자원 383
5) 투르크메니스탄의 광물자원 386
4. 중앙아시아 5개국의 천연자원 렌트(Natural resource rents) 388
1) 카자흐스탄의 천연자원 렌트 388
2)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자원 렌트 389
3) 우즈베키스탄의 천연자원 렌트 390
4) 키르기스스탄의 천연자원 렌트 392
5) 타지키스탄의 천연자원 렌트 392
5. 중앙아시아 주요국의 카스피해 영유권 분쟁 394
Ⅳ. 중앙아시아 5개국 경제성장과 발전 398
1. 중앙아시아 경제성장의 역사 398
1) 1990년대 체제전환과 경제성장 398
2) 2000년대(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경제성장 400
3) 2010년대(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 406
2. 중앙아시아 5개국 경제발전 전략과 경제구조 412
1) 카자흐스탄 412
(1) 카자흐스탄 경제발전 전략과 경제성장 412
(2) 카자흐스탄 경제구조 415
2) 우즈베키스탄 420
(1) 우즈베키스탄 경제발전 전략과 경제성장 420
(2) 우즈베키스탄 경제구조 423
3) 투르크메니스탄 427
(1) 투르크메니스탄 경제발전 전략과 경제성장 427
(2) 투르크메니스탄 경제의 특징 430
4) 키르기스스탄 433
(1) 키르기스스탄 경제발전 전략과 경제성장 433
(2) 키르기스스탄 경제구조의 특징 435
(3) 키르기스스탄 경제 불안정 원인 437
5) 타지키스탄 439
(1) 타지키스탄 경제발전 전략과 경제성장 439
(2) 타지키스탄 경제구조의 특징 442
Ⅴ. 세계 속의 중앙아시아 경제 445
1. 중앙아시아의 전략적 가치 445
1) 중앙아시아의 급부상 배경 445
2) 중앙아시아의 전략적 가치 447
2. 거시경제지표로 본 중앙아시아 454
1) 중앙아시아 5개국의 국민소득 454
(1) 중앙아시아 5개국의 국내총생산(GDP) 455
(2) 중앙아시아 5개국의 국민총소득(GNI) 458
2) 중앙아시아 5개국의 대외무역 461
(1) 중앙아시아 5개국의 상품 및 서비스 교역 461
(2) 중앙아시아 5개국의 무역 개방도 462
3) 중앙아시아 5개국의 외국인직접투자(FDI) 465
(1) 중앙아시아 5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466
(2) 중앙아시아 5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잠재지수 469
(3) 중앙아시아 5개국의 외국인직접투자 성과지수 471
4) 중앙아시아 5개국의 대외부채 472
5) 중앙아시아 5개국의 외환보유액 476
3. 경제활동자유로 본 중앙아시아 478
1) 중앙아시아 5개국의 경제자유지수(Index of economic freedom) 478
2) 중앙아시아 5개국의 세계경제자유지수(Economic Freedom of the World) 483
3) 중앙아시아 5개국의 기업환경평가(Doing Business) 486
4) 중앙아시아 5개국의 부패지수(Corruption Perceptions Index) 492
4. 중앙아시아 5개국의 인간개발지수(HDI) 495
Ⅵ. 중앙아시아 5개국의 국가경쟁력 498
1. 중앙아시아 5개국의 글로벌 경쟁력 498
2. 중앙아시아 5개국의 국가신용등급 501
3. 중앙아시아 5개국의 국가위험 505
4. 중앙아시아 5개국의 무역경쟁력 507
5. 중앙아시아 5개국의 물류경쟁력 510
6. 중앙아시아 5개국의 지배구조(Governance) 518
참고문헌 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