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83496416
· 쪽수 : 1195쪽
· 출판일 : 2013-10-30
목차
제 1장 에큐메니칼 비전: 일치, 봉사, 선교, 그리고 갱신의 통합을 지향하며
서문
1. 존 모트, Edinburgh 1910 폐회 연설
2. 나단 죄더블롬, Stockholm 1925 폐회예배 설교
3. 디아테이라의 게르마노스, Lausanne 1927에서 행한 연설
4. 디트리히 본회퍼, 고백교회와 에큐메니칼 운동 (1935)
5. 윌리엄 템플, Edinburgh 1937 개회예배 설교
6. D. T. 나일즈, Amsterdam 1948 개회예배 설교
7. 수잔 드 디트리히, “시대들 사이”의 교회 (1958)
8. 캐쓸린 블리스, 오이쿠메네에 대한 평신도의 고찰(考察) (1963)
9. 이브스 콩가, 에큐메니칼 경험과 회심: 개인적인 증언 (1963)
10. 유진 카슨 블레익, “열린 문”: 마틴 니묄러와 함께 행한 대화 설교 (1965)
11. 에큐메니칼 총대주교 아데나고라스 1세, WCC 본부에서 행한 연설 (1967)
12. 빌렘 비서트 후프트, 에큐메니칼 운동의 명령(Mandate) (1968)
13. M. M. 토마스, 온전성과 일치의 추구 (1973)
14. 필립 포터, Vancouver 1983에 제출한 총무 보고서
15. 파울로스 마 그레고리오스, 하나님의 영광을 위한 인간의 일치 (1985)
16. 머어시 암바 오두요예, 에큐메니즘의 상징의 하나로서의 아프리카 가족 (1991)
17. 에밀리오 카스트로, 교회의 일치 (1992)
18. 콘라드 라이저, 새로운 비전을 추구하는 에큐메니즘 (1992)
19. 데스몬드 투투, 믿음과 삶과 증언 안에서의 코이노니아를 지향하며 (1993)
20. 요한 바오로 2세, 우리가 하나 되게 하소서: 에큐메니즘에의 헌신에 대한 회람서신 (1995)
21. 아나스타시오스, Porto Alegre 2006 개회예배 설교
22. 조앤 브라운 캠벨, 한 목자, 한 무리 (2010)
제 2장 교회의 일치: 하나의 공동의 정의(定義)를 지향하며
서문
1. 1920년 에큐메니칼 대교구의 회람서신, 도처에 있는 그리스도의 교회들에게 주는 메시지
2. Lambeth 1920,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주는 호소
3. Edinburgh 1937,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충성하는 연합에 대한 확언
4. Amsterdam 1948, 메시지
5. 빌렘 비서트 후프트, 어떻게 하면 일치가 성장하는가? (1959)
6. New Delhi 1961, 일치에 대한 분과 보고서
7. 게오르게스 플로로프스키, 순종과 증언 (1963)
8. Vatican II, 에큐메니즘에 관한 교령(敎令) (1964)
9. Uppsala 1968, 성령과 교회의 보편성
10. 요하네스 빌레브란즈, 교회들에 대한 하나의 유형론을 향한 전진 (1970)
11. 호세 미구에스 보니노, 일치 문제를 자리매김시키는 라틴아메리카적인 시도 (1973)
12. Accra 1974, 긴장 속에 있는 일치를 향하여
13. Nairobi 1975, 일치가 요구하는 것
14. 네슬리 뉴비긴, “참으로 연합된 지역 교회”란 무엇인가? (1976)
15. 교파별 세계 그리스도교 가족들의 대표들, 화해된 다양성 (1977)
16. Canberra 1991, 코이노니아로서 교회의 일치: 은혜와 소명
17. 버가먼의 대주교 존, 코뮤니온으로서의 교회 (1993)
18. 메리 태너, 교회의 존재에 대하여: 에큐메니칼 공동체에 의하여 영감을 받은 단상들 (2001)
19. 2006 Porto Alegre , 하나의 교회로 부름 받아서
제 3장 신앙과 직제의 주제들에 대한 합의: 그리스도 안에서의 보다 더 온전한 코뮤니온을 지향하며
서문
1. Lausanne 1927, 세계를 향한 교회의 메시지: 복음
2. Edinburgh 1937, 우리 주님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
3. Evanston 1954, 그리스도 - 이 세상의 희망
4. Montreal 1963, 성경, 전승 그리고 전통들
5.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와 총대주교 아데나고라스의 공동 선언문(1965)
6. 1970년의 합의된 진술: 동방정통교회와 오리엔탈 정통교회들 사이의 제3차 비공식적인 대화
7. 유럽의 종교개혁 교회들, 로이엔베르크 합의 (1973)
8. Bangalore 1978, 희망에 대한 하나의 공동 설명
9. Lima 1982, 세례?성만찬?직제
10. 포르부 공동 선언 (1992)
11. ARCIC 1998, 권위의 선물
12. 루터교와 로마가톨릭교회의 국제대화, 이신칭의에 대한 공동 선언문 (1999)
13. 미국 그리스도교회들의 협의회, 세상 속에서의 교회의 권위 - 정책 선언문(2010)
14. 교회: 하나의 공동의 비전을 향하여 (2012)
제 4장 에큐메니칼 사회사상: 인류의 투쟁들 안에서의 연대성을 지향하며
서문
1. Stockholm 1925, 메시지
2. Oxford 1937, 세계 그리스도의 교회들에게 주는 메시지
3. 라인홀드 니이버, 하나님의 계획과 현 문명의 무질서 (1948)
4. Amsterdam 1948, 책임 사회
5. Geneva 1966, 메시지와 제 3분과 보고서 개발도상국들의 정치적 역할
6. 리쳐드 숄, 교회와 신학에 대한 혁명적인 도전 (1966)
7. Boston 1979, 교회들을 위한 하나의 새로운 기독교적 사회윤리와 새로운 사회정책
8. Larnaca 1986, 라르나카 선언
9. 마난잔, 오두요예, 러셀, 성령께서 수면 위에 운행하시니라 (1989)
10. Seoul 1990, 정의와 평화와 창조세계 보전을 위한 10개의 확언들
11. JPIC와 도덕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값비싼 일치로부터 (1993)
12. 사회 신조들, The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of Christ in the USA (1908 and 2008)
인종차별 철폐 투쟁(Combating Racism)
13. 빌렘 비서트 후프트, 에큐메니칼 운동과 인종 문제 (1954)
14. 인종차별과 신학 (1980)
15.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스도인들, 카이로스 문서(1985)
전쟁과 폭력의 포기(Renouncing War and Violence)
16. Amsterdam 1948, 교회와 국제적 무질서
17. WCC 중앙 위원회, 폭력, 비폭력 그리고 사회정의를 위한 투쟁 (1973)
18. Amsterdam 1981, 핵 무기들과 군축에 대한 국제 청문회
19. Kingston 2011, 정의로운 평화로의 에큐메니칼 부름
가난의 극복(Overcoming Poverty)
20. Oxford 1937, 경제 질서에 관련된 “교회, 공동체 그리고 국가” 분과 보고서
21. Melbourne 1980,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기쁜 소식
22. AGAPE, 생명의 아가페 경제를 위한 탄원 (2005)
환경의 보호(Protecting the Environment)
23. 조셉 지틀러, 일치에로 부름 받아
24. NCCCCUSA, 하나님의 지구는 성스럽다: 미국 “교회와 사회”에게 주는 하나의 공개서한 (2006)
25. 바돌로뮤 총대주교, “지구의 영혼을 구원하기” (2009)
제 5장 선교와 전도: 온 세상에 펼치는 공동의 증언을 지향하며
서문
1. Edinburgh 1910, 메시지
2. V. S. 아자리아, 외국인 사역자들과 현지인 사역자들 간의 협력의 문제 (1910)
3. Tambaram 1938, 교회에게 보내는 요청(제 1 분과 보고서), 교회의 적합성(제 2 분과 보고서)
4. Willingen 1952, 교회의 선교적 소명
5. 레슬리 뉴비긴, 에큐메니칼 운동의 선교적 차원 (1961)
6. 회중의 선교적 구조 (1967)
7. 로마가톨릭 교회와 WCC 간의 연합 연구 모임, 공동의 증언과 개종 (1970)
8. Bangkok 1973, 문화와 정체성(제 1분과 보고서), 구원과 사회정의 (제 2분과 보고서)
9. Lausanne 1974, 로잔 언약
10. 이온 브리아, 예배 후 예배 (1978)
11. 고수케 고야마, 십자가에 달리신 그리스도께서 인간의 권세에 도전하신다 (1980)
12. 선교와 복음전도 - 하나의 에큐메니칼 확언 (1982)
13. 로마가톨릭 교회와 WCC 간의 연합 연구 모임, 공동의 증언 (1982)
14. 안드루사의 아나스타시오스, San Antonio 1989에서 행한 연설
15. 무심비 캔요로, 하나의 소망으로 부름 받아: 다양한 문화들 속의 복음 (1996)
16. 로버트 슈라이터, 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화해 (2005)
17. Edinburgh 2010, 청취 그룹 보고서
18. Cape Town 2010, 케이프 타운 서약
19. 다종교세상에서의 그리스도교 증언: 행동을 위한 권고들 (2011)
20. 함께 생명을 향하여: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의 선교와 전도. 선교와 전도에 대한 WCC의 새로운 확언 (2012)
제 6장 타종교인들과의 대화: 우리의 이웃들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지향하며
서문
1. Jerusalem 1928, 세상으로 부르심
2. 헨드릭 크레머, 비(非)그리스도교 세상에서의 그리스도교의 메시지 (1938)
3. 폴 데바난단, 증언하기 위해 부르심을 받음 (1961)
4. Vatican II, 교회와 비(非)그리스도교 종교와의 관계에 대한 선언 (1965)
5. 게오르게스 코드르, 다원화의 세계 속에서의 기독교 - 성령의 행하심 (1971)
6. 스탠리 사마르타, 대화를 위한 용기 (1971)
7. 다른 살아있는 종교들과 이데올로기들을 가진 사람들과의 대화 지침 (1971)
8. San Antonio 1989, 당신의 뜻이 이루어지이다 - 그리스도의 방법으로 하는 선교
9. Baar 1990, 종교적 다원성: 신학적 관점들과 확언들
10. 웨슬리 아리아라자, 더 광범위한 에큐메니즘: 위협인가 아니면 약속인가? (1998)
11. 로완 윌리암스, 그리스도교 정체성과 종교 다원주의 (2006)
12. Athens 2005, 종교적 다양성과 그리스도교의 자기이해
제 7장 학습과 기도: 형성과 영성의 공동체를 지향하며
서문
1. 파올로 프레리, 교육, 해방, 그리고 교회 (1973)
2. Vancouver 1983, 공동체 안에서의 학습(Learning in Community)
3. 베르너 짐펜되르퍼, 에큐메니칼 학습을 위한 5가지 제안 (1984)
4. 로마 가톨릭 교회와 WCC 간의 연합 연구 모임, 에큐메니칼 형성 (1993)
5. 울리히 베커, 에큐메니칼 학습 (2002)
6. 디이트리히 베르너, 21세기 신학 교육에서의 에큐메니칼 형성 (2008)
7. 폴 꾸투리에, 기도와 그리스도교 일치 (1944)
8. Lund 1952, 예배의 방식들
9. 로저 슈츠, 일치가 올 수 있도록 너 자신을 하나님의 현존 안에 두라 (1962)
10. Montreal 1963, 그리스도의 교회의 예배와 하나됨
11. 루카스 피셔, 서로의 중보 중에 자라나는 교제 (1980)
12. Ditchingham 1994, 예배 안에서의 코이노니아를 향하여
13. 월터 카스퍼 추기경, 영적인 에큐메니즘을 위한 안내서 (2007)
제 8장 교회협의회들: 그들의 본질과 목적에 대한 이해를 지향하며
서문
1. 윌리엄 템플, WCC 헌법에 관한 해설적 비망록 (1938)
2. Toronto 1950, 교회와 교회들 그리고 WCC
3. Lund 1952, 교회들에게 전하는 말씀
4. NCCCUSA, 교회 협의회의 교회론적 중요성 (1963)
5. 루카스 피셔, 그리스도교 협의회들 - 교회적 코뮤니온의 도구들 (1971)
6. 니코스 니시오티스, 그리스도교 협의회들과 지역 교회의 일치 (1972)
7. 로마교황청 그리스도교 일치 촉진 사무국, 지역, 국가, 그리고 지방의 수준들에서의 에큐메니칼 협력 (1975)
8. Sofia 1981, 정교회의 WCC 참여
9. 토마스 스트랜스키, A Basis beyond the “Basis” (1985)
10. 진 스커스, 정의와 평화 그리고 세상에 대한 봉사의 선교를 행하는 교회들을 섬기는 협의회들 (1986)
11. WCC, WCC의 공통의 이해와 비전을 위하여 (CUV) (1997)
12. 케슬러와 킨나몬, 교회 협의회들의 신학적 기초 (2000)
13. 정교회의 WCC 참여에 관한 특별위원회 보고서 (2002)
제 9장 앞에 있는 도전들: 에큐메니칼 운동의 미래를 지향하며
서문
1. 아루나 그나나다슨, 생존 가능한 에큐메니칼 운동을 모색하며: 몇 가지 개인적 성찰들과 감사의 말들 (2004)
2. 아람 1세, 변혁의 과정 중에 있는 에큐메니즘: 문제들, 도전들 그리고 전망들 (2004)
3. 사무엘 코비아 , 생명을 경축하며 (2006)
4. 애버리 덜레스 추기경, 1957년 이후의 일치를 위한 추구: 하나의 가톨릭 시각 (2007)
5. 쉐릴 브리지 존스, 동이 서와 그리고 북이 남과 만날 때: 세계 그리스도교의 화해의 사명 (2007)
6. 엘사 타메스, 우리의 세계화된 사회 안에서 벽들을 무너뜨리기: 적합성 있는 에큐메니즘 (2009)
7. 안토니오스 키레오풀로스, 그리스도교 증언으로서의 에큐메니칼 사랑 (2010)
8. 올라프 픽세 트베이트, 열린 마음으로 걷기: 21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을 위한 몇 가지 방향들 (2010)
9. 월터 카스퍼 추기경, 그들이 모두 하나 되게 하소서. 그러나 어떻게? 다음 세대를 위한 그리스도교 일치의 비전 (2011)
10. 에른스트 랑게, 신앙의 시험 사례(The Test Case of Faith) (19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