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경영/공연기획
· ISBN : 9788983509055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4-12-31
책 소개
목차
Dedication
Prologue
Special Thanks to
Act 01 자존
Chapter 01_공연기획자로 산다는 것
Act 02 본질
Chapter 02_공연의 본질
Chapter 03_공연기획의 본질
Chapter 04_공연기획자의 본질
Chapter 05_공연, 태생적 배경이 창의이다!
Act 03 창의
Chapter 06_창의, 자극 사용 설명서
Chapter 07_Hardware Insight
Chapter 08_Trend and Seed
Act 04 협업
Chapter 09_공연, 협업의 결정체
Chapter 10_공연기획의 전통적 업무
Chapter 11_제작 형태에 따른 업무의 차이
Chapter 12_뮤지컬 프로덕션_7명의 키맨(KEY MEN)
Chapter 13_콘서트 프로덕션_Fantastic 4
Act 05 핵심
Chapter 14_핵심의 가치
Chapter 15_핵심, 공연의 기초 골격
Chapter 16_4 MAT SYSTEM_기획의 근간인 핵심을 잡는 법
Chapter 17_4 MAT 설득 이론의 8단계 프로세스_핵심을 찾는 여정
Chapter 18_클라이언트와 아티스트를 사로잡는 법
Chapter 19_타이틀과 컨셉 그리고 비주얼
Chapter 20_기획서 작성의 A to Z
Chapter 21_효과적인 시각화를 위한 몇 가지 제언
Act 06 혁신
Chapter 22_극장 무대의 기본 구조 이해
Chapter 23_대중음악 무대의 기본 구조 이해
Chapter 24_프로덕션 매니지먼트
Chapter 25_테크니컬 라이더
Chapter 26_공연 운영 계획
Act 07 균형
Chapter 27_공연 수익 구조 분석법
Act 08 디테일
Chapter 28_디테일의 힘
Chapter 29_콘서트 연출의 5단계 업무 프로세스
Chapter 30_프로그램 구성법(Set List)
Chapter 31_Cue Sheet
Act 09 사람 _ 인터뷰
공연계 최고의 Match Maker 한민아가 만난 사람들
'이 사람을 보면 공연계의 미래와 나의 미래가 보인다'
#01.최수명(뮤지컬 프로듀서)
#02.김잔디(뮤지컬 제작감독)
#03.하태환(콘서트 무대감독)
#04.정현철(콘서트 연출감독)
#05.진경환(크리에이티브 디렉터)
#06.신영권(멀티 플레이어)
#07.성지환, 김혜미(부부_크리에이터/콘서트 연출감독)
저자소개
책속에서
“감독님, 지금 하시는 일에 대해서 얼마나 만족하세요.”
그의 질문에 수선스러웠던 강의실이 조용해졌다.
나 역시 궁금한 마음에 그의 대답을 기다렸다.
우리의 진지한 눈빛을 배반하듯, 그는 별달리 고민하는 기색도 없이 장난스럽게 웃으며 대답했다.
“99.9%요.”
99.9%라니….
거의 종결에 가까운 수치 아닌가. 세상 그 누가, 직업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감히 99,9%를 표하겠는가.
이어지는 그의 대답에 나는 또 감동했다. 이미 그와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나는 물론이고, 그와 나의 뒤를 이어 이 길을 걷고자 하는 학생 모두가 듣고 싶었던 바로 그 대답이었기 때문에….
“사람을 웃게 하는 일,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일이 얼마나 있겠어요. 공연기획자가 바로 그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공연 분야에서 일하는 사람들과 그들의 일 속에서 핵심 찾기의 적용 범위는 다양하게 퍼져 있는 편이다. 회의, 보고, 발표, 섭외, 투자, 협찬, 분쟁 등 설득, 이해, 공감, 교감을 기반으로 해야 할 일들이 산재해 있다. 위의 모든 상황에서 여러 가지를 보이려 하고 여러 가지의 메시지를 담으려 하고 여러 가지의 그림을 표현하려 한다면 실패할 확률이 높다.
'여러 가지'는 결국 핵심을 가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핵심이 가려지면 대중의 시선, 대상의 시선을 사로잡기는 어렵게 된다. 공연을 만드는 사람들은 관객들에게 많은 걸 한번에 보여 주려는 맹목적 DNA를 지닌 듯하다. 너무 많은 것을 보여 주려는 의도는 곧 산만함으로 이어지고 산만함은 욕심으로 화를 부르게 된다.
드라마든, 영화든 실패한 작품들의 원인 분석에서 빠지지 않는 말이 바로 '너무 많은 것을 보여 주려는 시도'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