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계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세계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2판)

김수희 (지은이)
신아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0원
14,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1,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계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계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2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83966360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10-09-10

목차

제1장 세계화란 무엇인가 13
1. 서론 15
2. 세계화의 일반 현상 18
3. 세계화의 원동력 20
4. 세계화의 주도력 25
1) 국가 25
2) 기업 26
3) 개인 26
5. 보편적 현상접근 26
1) 세계화란(What is globalization?) 26
2) 세계화로 인한 문제점 27
6. 개념적 정의 28
1) 일반적 개념 28
2) 경제적 개념 29
7. 세계화 현상의 분석적 요인 30
1) 세계적 통합의 핵심성분(key components) 30
2) 측정 성분(components) 31
8. 세계화의 논쟁 32
1) 전통 보수주의 견해 32
2) 전통 자유주의 견해 33
3) 신자유주의 및 개혁적 자유주의의 견해 33
9. 세계화의 과제 및 방향모색 34
1) 과제 34
2) 방법론에 따른 비판적 근거 34
10. 세계화의 구체적 실상과 개선과제 35
1) 세계화의 실상 35
2) 긍정적 산물 36
3) 부정적 산물 36
4) 개선과제 37
11. 세계화와 개별 국가 간의 관계 37
12. 세계화의 교훈적 사례 38

제2장 세계정치의 제이론 41
1. 서문 : 세계정치이론의 용도 43
2. 세계정치의 이해 43
3. 이론의 난해한 탐구 44
4. 이론적 연구의 진화 44
자유주의 46
1. 서문 46
2. 자유주의적 세계관 46
3. 자유개혁 프로그램 48
현실주의 44
1. 서문 50
2. 현실주의 세계관 50
3. 핵 시대의 현실주의 52
4. 현실주의의 한계 53
신현실주의의 구조적 확장 55
현실주의의 신고전적 확대 57
신자유주의 58
초국가적 상호의존 (신자유주의적 세계관) 62
복합적 상호의존성의 제 특징들 66

제3장 금융의 세계화 (The Globalization of Finance) 69
1. 금융의 세계화란? 71
2. 금융세계화의 성장실태 71
3. 금융세계화의 발전적 동인 72
4. 국제적 금융거래량의 폭발이 미친 제 영향 73
5. 금융기관의 환경 변화추이 73
6. 금융시장의 구조변화 75
7. 국제자본시장의 변화와 그 특징 75
8. 자본의 다국적 운동이 미친 제 결과 80
9. 금융세계화의 정치 ? 경제적 영향 83
10. 우리의 동북아 금융허브 구상 88
11. 우리의 금융실태와 정상화 대책 89

제4장 교역의 세계화 (The Globalization of Trade) 91
1. 교역 세계화의 일반 동인 93
2. 교역 세계화의 주도적 국제기구 및 성과 93
3. 자유무역협정(FTA)의 형태 및 효과 99
4. WTO와 FTA의 차이점 및 현황 100
5. 주요 자유무역협정(FTA)의 성과 101
6. 대내 정치 및 경제적 영향 115
7. 세계적 교역의 성장 및 통합실태 116
8. 무역통합 시대에 세계적 남부지역의 성장 116
9. 교역 세계화의 과제 117

제5장 생산의 세계화 (The Globalization of Production) 119
1. 富國의 조건 121
2. 생산의 세계화 모델 123
3. 다국적 법인(기업)의 진화과정 124
4. 다국적 법인 활동의 특징 및 실적 124
5. 다국적 법인의 근대적 생산양식 및 목적 125
6. 다국적 법인의 제휴형태 126
7. 다국적 법인의 성장 및 활동추이 128
8. 다국적 법인의 직접적인 해외투자효과 131
9. 다국적 법인에 대한 긍정적 기대 132
10. 시대적 변화에 부응한 대응책 133
11. 경기회복의 원동력(일본의 경우) 135
12. 다국적 기업의 국내 제조업분야 진출추이 135
13.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추이 140
14. 지식산업의 성장 추이(한국의 경우) 141
15. 한국기업의 경영권 방어 위기 142

제6장 노동의 세계화 (The Globalization of Labor) 145
1. 근세의 노동조건 147
2. 세계화가 노동에 미치는 영향 148
3. 다국적 법인의 통합 활동과 갈등요인 149
4. 기회적 합병이 조성한 사회적 실상 150
5. 세계화가 임금율에 미치는 영향 151
6. 일자리 해외이전 동향 151
7. 일자리 해외이전에 대한 논쟁 152
8. 일자리 해외이전에 따른 대응논의 154
9. 조망 155
10. 한국의 노사관계 실태 156
11. 한국의 국가경쟁력 비교 158

제7장 세계화와 국가 (Globalization and the State) 161
1. 세계화 조망의 찬반논의 163
2. 세계화 상황에서 국가의 위상(公的 영역) 163
3. 세계화 상황에서 국가의 위상(私的 영역) 164
4. 현안 해결을 위한 처방 164
5. 현안 해결을 위한 과제 166

제8장 문화의 세계화 (The Globalization of Culture) 167
1. 후 냉전기의 세계문화 169
2. 자유주의적 자본주의(liberal-capitalism)의 지배 169
3. 새로운 세계문화의 확산요인 170
4. 세계화의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171
5. 다문화시대가 낳은 패러다임의 특징 172

제9장 유럽의 세계화Ⅰ(The Globalization of EU) 173
1. 유럽의 정의 175
2. 유럽의 역량 및 대외관계 177
3. 유럽의 세계화 수용추세 179
4. 유럽의 경제적 통합 180

제10장 유럽의 세계화Ⅱ(The Globalization of EU) 191
1. 유럽연합의 세계관 193
2. 유럽의 공동정책 198
3. 지역적 경제통합의 효과 201
4. 유럽연합의 진보 203

제11장 러시아의 세계화(The Globalization of the Russian Federarion) 207
1. 소비에트 체제의 특징(totalitarianism) 209
2. 공산당 붕괴와 세계문화 수용 210
3. 자본주의의 유형 211
4. 미국의 축적구조 212
5. 새로운 축적구조를 위한 투쟁 212
6. 러시아의 세계화 조건 213
7. 세계화가 미친 러시아의 정치 및 경제적 상황 215
8. 민주러시아의 건설 217
9. 러시아연방과 세계 217
10. 러시아연방의 경제개혁과 세계화 218
11. 러시아의 산업정책 220
12. 뿌찐의 개혁노선 223

제12장 중국의 세계화 (The Globalization of China) 227
1. 중국의 정치체계 및 정책변화 229
2. 중국의 경제적 역량 243
1) 국내 총생산(GDP) 244
2) 1인 당 GDP 244
3) 외환 보유액 245
4) 수출입 총액 245
5) 외국인 직접투자(FDI) 및 기타 사항 247
3. WTO가입 이후의 경제상황 247
4. 한.중 경제협력 전략 250

제13장 세계화와 한국의 대응전략Ⅰ
(The Globalization & Korea’s Confrontation Strategy) 255
서문(외환위기 분석) 257
1. 한국의 세계화 실정 259
2. 세계화와 한국의 기본과제 265
3. 세계화와 한국의 발전목표 270
4. 세계화와 한국의 성장전략 276
5. 세계화와 정부의 지속적 성장 추진전략 284
6. 외국자본의 국내투자에서 드러난 문제점 288
7. 외국자본에 대한 대응 및 활용방안 297
8. 국가역할의 개선방향 301
9. 외교적 대처방안 308
10. 세계화와 지역주의 이해 및 대응 309
11. 정부의 지나친 세계화 정책 경계 311
12. 우리 기업의 과제 및 비전 314

제14장 세계화와 한국의 대응전략Ⅱ
(The Globalization & Korea’s Confrontation Strategy) 319
1. 동북아와 한국(동북아 중심세력 부상을 위한 한국의 전략) 321
1) 동북아의 중요성 증대 321
2) 협력과 갈등의 공존 322
3) 대외 국익의 핵심지역 323
2. 탈냉전기의 동북아전략 환경변화 325
1) 특징 325
2) 동북아 전략 환경 325
3. 지역전략의 필요성 327
1) 한국의 위상 327
2) 문제점 329
3) 전략 입안의 필요성 329
4. 바람직한 동북아 지역전략 330
1) 전략목표 : 동북아 중심세력으로의 부상 330
2) 동북아 전략 방향 332
3) 현상 변화 333
4) 상황 주도 333
5. 우리의 진로 334

참고문헌 343
찾아보기 345

저자소개

김수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세계화와 우리의 진로>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