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63287124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5-08-25
책 소개
미술은 고유의 표현력, 창조성 그리고 언어에서 담지 못하는 인간 내면의 무의식의 상징과 의미들을 담아내며, 이런 것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는 성숙시킬 수 있는 예술 분야이다. 또한 누구나 특별한 훈련 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분야로, 다양한 예술치료 중 가장 많이 활용되며, 프로그램 후 효과나 만족도가 높기 때문에 미술치료의 수요는 갈수록 높아져가고 있다.
미술치료는 다른 치료나 상담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면담-심리진단-프로그램 구성 및 진행-평가라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초기 내담자가 가지고 있는 심리적 문제를 찾는 것이 프로그램을 통한 치료적 개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내담자의 심리평가는 상담자의 소견, 면담의 내용과 심리진단척도 등을 종합하게 되는데 이 책은 심리진단 중 투사적 그림검사법으로 심리센터 등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14개의 그림 진단 검사를 다루었다. 특히 보건복지부 장애재활서비스에서 실시하는 미술재활 국가인정자격을 위한 필수교과목 중 미술심리진단평가 과목의 내용에 맞게 책을 구성하여 향후 시험이나 자격인정에 적합하도록 했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과 2장은 투사적 그림검사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한 개념과 면담 기법, 그림 진단에 있어 그림을 이해하기 위한 조형의 문제를 다루었다. 3장에서 5장까지는 그림 진단 검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인물화 검사와 HTP, KHTP를 설명했고, 6장에서 10장까지는 학교생활화와 여러 종류의 가족화를 소개했다. 가족화를 많이 다룬 것은 개인의 문제가 가족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의 사회라고 할 수 있는 가정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족을 이해하는 것이 내담자가 가진 문제의 원인을 찾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11장에서 16장까지는 개인의 심리정서문제로 많이 다루어지는 애착장애, 우울, 대처능력, 자존감 등의 문제를 해석할 수 있는 진단도구로 구성했다.
이 책은 그간 시중에 출간된 많은 그림 진단 및 해석에 대한 책들을 편집하여 내용을 구성했다. 그간 미술치료사나 상담사들이 그림 진단을 공부하며 어려움을 겪었던 것 중 하나인 진단도구의 일관되지 못한 구성 체계를 해소하기 위해 이 책에서는 그림 진단 검사의 개요, 목표, 실시방법, 해석방법, 사례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그림 진단을 공부하려는 전공자들에게 도움이 되도록 했다. 한편 그림검사도구와 심리검사도구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제시하여 대상자의 문제를 진단하는 데 다양한 검사방법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목차
Chapter 01 투사적 그림검사의 이해
1. 투사적 그림검사의 개요
2. 투사적 그림검사 평가를 위한 면담방법
Chapter 02 그림 진단을 위한 조형언어의 이해
1. 공간상징
2. 색채상징
3. 형태상징
Chapter 03 인물화 검사(DAP)
1. 인물화 검사(DAP)의 개요
2. 인물화 검사(DAP)의 목표
3. 인물화 검사(DAP)의 실시방법
4. 인물화 검사(DAP)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04 집-나무-사람(HTP)
1.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의 개요
2.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의 목표
3.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 실시방법
4. 집-나무-사람(HTP) 그림검사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05 동적 집-나무-사람(KHTP)
1. 동적 집-나무-사람(KHTP)의 개요
2. 동적 집-나무-사람(KHTP)의 목표
3. 동적 집-나무-사람(KHTP)의 실시방법
4. 동적 집-나무-사람(KHTP) 그림검사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06 동적 가족화(KFD)
1. 동적 가족화(KFD)의 개요
2. 동적 가족화(KFD)의 목표
3. 동적 가족화(KFD)의 실시방법
4. 동적 가족화(KFD)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07 동적 학교생활화(KSD)
1. 동적 학교생활화(KSD)의 개요
2. 동적 학교생활화(KSD)의 목표
3. 동적 학교생활화(KSD)의 실시방법
4. 동적 학교생활화(KSD)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08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PSCD)
1.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PSCD)의 개요
2.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PSCD)의 목표
3.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PSCD)의 실시방법
4. 동그라미 중심 가족화(PSCD)의 해석방법
5. 동그라미 중심 부모-자녀 그림의 장점
6. 사례
Chapter 09 동물 가족화(AFD)
1. 동물 가족화(AFD)의 개요
2. 동물 가족화(AFD)의 목표
3. 동물 가족화(AFD)의 실시방법
4. 동물 가족화(AFD)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10 동적 물고기 가족화(KFFD)
1. 동적 물고기 가족화(KFFD)의 개요
2. 동적 물고기 가족화(KFFD)의 목표
3. 동적 물고기 가족화(KFFD)의 실시방법
4. 동적 물고기 가족화(KFFD)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11 새둥지화(BND)
1. 새둥지화(BND)의 개요
2. 새둥지화(BND)의 목표
3. 새둥지화(BND)의 실시방법
4. 새둥지화(BND)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12 빗속의 사람(PITR)
1. 빗속의 사람(PITR)의 개요
2. 빗속의 사람(PITR)의 목표
3. 빗속의 사람(PITR)의 실시방법
4. 빗속의 사람(PITR)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13 풍경구성법(LMT)
1. 풍경구성법(LMT)의 개요
2. 풍경구성법(LMT)의 목표
3. 풍경구성법(LMT)의 실시방법
4. 풍경구성법(LMT)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14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
1.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의 개요
2.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의 목표
3.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의 실시방법
4.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15 별-파도 그림검사(SWT)
1. 별-파도 그림검사(SWT)의 개요
2. 별-파도 그림검사(SWT)의 목표
3. 별-파도 그림검사(SWT)의 실시방법
4. 별-파도 그림검사(SWT)의 해석방법
5. 사례
Chapter 16 그림 이야기법(DAS)
1. 그림 이야기법(DAS)의 개요
2. 그림 이야기법(DAS)의 목표
3. 그림 이야기법(DAS)의 실시방법
4. 그림 이야기법(DAS)의 해석방법
5. 사례
부록
1. 집-나무-사람 검사 보고서 양식
2. 동적 학교 생활화(KSD) 검사의 채점기준표
3. 동물 가족화 검사 보고서 양식
4. 동적 물고기 가족화 그림검사 전용 검사지
5. 모애착 척도 설문지
6. Beck의 우울척도검사
7.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PPAT) 채점표
8. 별-파도 그림검사 전용 검사지
(가로 15.3mm×세로 10.3mm, 두께 1mm)
9. 그림 이야기법 그림검사 전용 검사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