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주제평론
· ISBN : 9788984331365
· 쪽수 : 306쪽
· 출판일 : 2002-09-13
목차
1부-한국 근대 초기 문학론과 소설 창작의 관련 양상
<서론>
1.연구 목적
2.연구 현황
3.연구 방법
<계몽성 논의와 이데올로기의 소설화>
1.문학론에 나타난 계몽성과 이데올로기
1)계몽 개념의 다양성---26
2)근대 인식의 기저:천부인권론과 사회진화론
2.이데올로기의 소설화 양상
1)근대적 이데올로기의 낭만적 찬양:[혈의루],[은세계]
2)근대적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자유종],[금수회의록
3)대항 이데올로기의 모색:역사전기체소설
<실재성 논의와 현실 논리의 소설화>
1.문학론에 나타난 실재성의 의미
2.흥미성과 이데올로기를 위한 실재의 소설화
1)실재성과 소설적 진실의 괴리:신소설
2)이데올로기를 위한 증거물로서의 역사적 실재:역사전기체소설
3.현실논리 형상화를 위한 실재의 소설화
1)낭만적 개화관의 현실적 난관:[김용달소전]
2)개인사로의 칩거와 봉건 유제의 인식:이광수의 소설
3)식민지 지식인의 자기인식과 개화인의 몰락:백악춘사의 소설
<대중화 논의와 그 실현 양상>
1.문학론에 나타난 대중화의 의미
2.대중화의 실현 양상
1)문제적 현실에서 통속적 서사구조로의 변화:신소설
2)형식 실험을 통한 가능성의 모색:대화체소설
<결론>
2부-한국 근대 초기 문학과 근대성
1.1910년대 현실 인식과 계몽적 지식인의 종말:현상윤론
2.이인직 신소설과 [무정]을 통해 본 근대성의 문제
3.서양문화 수용의 한 양상:신채호 문학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