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The Home of the Heart

The Home of the Heart

(<마음의 집> 영문시집)

김초혜 (지은이), 김태균, 김윤식 (옮긴이)
해냄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The Home of the Heart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The Home of the Heart (<마음의 집> 영문시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67141378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5-11-24

책 소개

등단 61주년을 맞은 김초혜 시인의 대표 시편들을 엄선한 영문시집 『The Home of the Heart』가 출간되었다. 등단 60주년에 출간한『마음의 집』을 영문번역한 작품으로 시인의 시 세계가 처음으로 세계 독자들에게 온전히 소개되는 뜻깊은 작업이다.
“시는 말이 감행하는 자기수양의 예술이고,
말로 수행하는 깨달음의 미학이다”
60여 년간 매일 읽고 쓰고 수행하듯 써내려간 깨달음의 언어들
한국 서정시의 맥을 이어온 시인 김초혜 첫 영문시집


등단 61주년을 맞은 김초혜 시인의 대표 시편들을 엄선한 영문시집『The Home of the Heart』가 출간되었다. 한국 현대시에서 뚜렷한 자취를 남겨 온 그는 “시(詩)는 말(言)의 절(寺)”이라는 인식을 오랫동안 품어 온, 언어 수행의 시인이다. 김초혜 시인의 시는 단순한 감정의 표현이 아니라, 말을 수행하며 마음을 단련하는 하나의 ‘굿판’과도 같다.『The Home of the Heart』는 등단 60주년에 출간한『마음의 집』을 영문번역한 작품으로 시인의 시 세계가 처음으로 세계 독자들에게 온전히 소개되는 뜻깊은 작업이다.
『The Home of the Heart』를 이루는 축은 다름 아닌 “말의, 말에 의한, 말을 위한” 언어의 진실에 대한 믿음이다. 시인에게 언어는 존재를 드러내는 도구이자 마음을 성찰하는 장치이며, 나아가 인간 사유의 총체다. 시집 곳곳에 흐르는 자의식과 수행적 태도는 오랜 세월 언어를 다루어 온 시인의 깊이를 보여준다. 그 어떤 과장도, 과도한 수사도 허락하지 않는 그의 문장은 단정하고 투명하며, 절제된 여백 속에서 더 큰 울림을 만든다. 불필요한 주제를 덧씌우지 않고, 인간의 보편적 진실만을 또렷하게 붙드는 고유한 미학이 이 작품의 토대다.
문학평론가 이성천 교수는 시인 김초혜의 시를 “절망을 먹고 사는 시, 언어의 굿판이 벌어지는 시”라고 규정한다. 시인은 삶의 결핍과 부조리, 인간의 탐욕과 상처를 외면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것을 직시하며 언어의 힘으로 견디고 건너는 길을 만든다. “있음도 없음으로 / 없음도 없음으로”라는 존재의 역설을 사유하며 시대의 상처를 유영해 온 그의 언어는, 한국 현대사의 고통을 품되 끝내 연민과 사랑이라는 본질로 회귀한다.
이번 영문시집 번역을 맡은 김태균 원장과 그의 아들 김윤식 팀장은 “언어를 옮기는 일 이상의 배움의 여정이었다”고 말하며, 시인의 언어를 존중하는 방식으로 절제된 아름다움을 되살렸다. 세스 레오폴드 박사는 추천의 글에서 김초혜 시인을 “인간의 연결을 노래하는 시인”이며, 영어로 옮겨진 이후에도 삶을 끌어안는 연민의 결이 고스란히 살아 있다고 전한다.
『The Home of the Heart』는 결국 한 시인의 평생을 관통한 질문 “어떻게 잘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진솔한 답변이다. 시인은 언어를 통해 길을 잃지 않으려 했고, 그 길 위에서 고통과 연민, 슬픔과 희망을 품은 인간을 바라보았다. 문학평론가 이성천 교수는 “김초혜는 시인이다. 시인이었다. 그리고 앞으로도 시인의 자리에서 내려오지 말아야 할 존재”라 말한다. 이는 시집의 제목처럼, 그의 시가 오랜 세월 쌓아 올린 ‘마음의 집’이자 우리 모두에게 건네는 쉼과 성찰의 공간임을 말해준다.
이번 영문시집은 한국 시문학이 세계 독자와 깊이 호흡할 수 있는 새로운 문을 여는 작업이다. 시인 김초혜의 시는 사소한 일상의 말에서 존재의 빛으로 나아가는 여정이며,『The Home of the Heart』는 그 여정을 영어권 독자들에게 온전히 전달하는 첫 번째 이정표가 될 것이다.

목차

Preface to the English Edition 영문판 시집을 내며
Poet’s Note 시인의 말

Part 1
Eons 영겁|People 사람|It Is Good 좋다|Thinking of Home 고향 생각|Time 시간|Mouth 입|Practice 수행|Contentment 만족|Next Life 내생|Finger-pointing 손가락질|Disciple 제자|Enlightenment 깨달음|Name 이름|Blemish 흠|Nagging 잔소리|Avatamsaka Sutra 화엄경|There Is None 없다

Part 2
Woljeongsa Temple 월정사|Sharing 나눔|There Is Light 빛이 있다|Hometown Moon 고향달|Mother 어머니|When the Magnolia Blooms 목련이 필 때|In Life 삶 속에서|Hill after Hill 고개 고개 넘어|Rice Pot 밥통|With Only One 협치|The Ways of the World 세상인심|Hometown 고향|Slander 중상모략|Sometimes, Sometimes 가끔씩 가끔씩|A Good Day 좋은 날|Love 사랑|Darkness 어둠|To My Friend 친구에게

Part 3
Spinach Soup 시금칫국|Rebirth 환생|On a Fading Day 저무는 날에|A Lifetime 일생|Blossoms 꽃송이|In a Fluster 허둥지둥|Longing 그리움|To My Poetry 나의 시에게|Moonlit Night 달밤|Great Inheritance 위대한 상속|To My Son 아들에게|I Don’t Know 모른다|Conviction 소신|Parents and Children 부모와 자식|A Young Spring Day 어린 봄날|Sweet Trick 달콤한 꼼수|On a Snowy Day 눈 오는 날에|Diligence 근면

Part 4
Who Is It 누구인가요|Oh, Human 사람아|Repentance 참회|Life in This World 세상살이|Labor Suppression 노동 탄압|Forgiveness 용서|The Classics 고전|Books 책|On a Moonlit Night 달밤에|To Stand Alone 홀로 서다|Weary Joy 고단한 기쁨|Mother’s Love 모정|Money and Women 돈과 여자|Life’s Journey 인생길|Yes, Yes 그래, 그래|At Dusk 해 질 녘에|Migratory Bird 철새|Autumn Leaves 단풍

Part 5
Poet 시인|The Sound of Stillness 고요 소리|Such a Person 그런 사람|Family 가족|To You 그대에게|Human Nature 인심|Spring Will Come 봄은 온다|Between Father and Son 부자지간|Black Melancholy 검은 우울|Distance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부모 자식|A Modern Fable 요즘 우화|Spring Again 다시 봄에|Dream, My Friend 꿈꾸라, 그대|Logic 논리|Just Because You’re Old 나이 많다고|In the Empty Sky 빈 하늘에|Inheritance 상속

Part 6
Again in Spring 다시 봄에|Meeting 만남|Greed 탐욕|The Fire of the Heart 마음의 불|Life 인생|Greetings for Friends 벗에게|After the Flowers Fell 꽃 지고 나서|Farewell 고별|The Heart 마음|That Is You 그게 너다|A Strange Road 낯선 길|Spring Is Brief 봄은 짧고|Despair 절망|On Suffering 고통에 대하여|The Dream of AI AI의 꿈|A Difference in Thought 생각의 차이|My Home 나의 집

Commentary | Lee, Sung Chun
Recommendation|Seth S. Leopold
Recommendation|Kim, Tae Kyun
Recommendation|Kim, Yoon Shik

저자소개

김초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북 청주에서 태어나 동국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1964년《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떠돌이 별』『사랑굿 1』『사랑굿 2』『사랑굿 3』『어머니』『섬』『세상살이』『그리운 집』『고요에 기대어』『사람이 그리워서』『멀고 먼 길』『만나러 가는 길』, 시선집『떠도는 새』『빈 배로 가는 길』『편지』, 편지글『행복이』『사람이』등이 있다. 한국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현대문학상, 정지용문학상, 유심작품상, 공초문학상, 서정시학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김태균 (옮긴이)    정보 더보기
무릎 건강을 지키는 정형외과 의사로서 국내외 이름이 높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관절센터 교수로 15년을 재직한 후 세상에 꼭 필요한 삶을 보살피는 병원을 만들겠다는 서원으로 2017년 티케이정형외과를 설립하여 대표원장을 맡고 있다. 환자들이 관절 건강은 물론 마음과 영혼의 건강까지 회복하여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인도하는 선한 행보를 꾸준히 펼치고 있다. 20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고, 시선집『새롭게 또 새롭게』『순간에서 영원을』을 비롯 무릎의사의 내적 성찰을 담은『오늘도 진료실에서 삶을 배웁니다』를 출간하였다.
펼치기
김윤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디자인, 기술, 헬스케어를 아우르는 경력을 지닌 디지털 헬스 전문가이다.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을 졸업했으며, 가톨릭대학교에서 보건행정학 석사 과정을 밟고 있다. 그는 ㈜하이(HAII Corp.)에서 국제 파트너십을 이끌고 있으며, TK Life Care의 미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