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84334816
· 쪽수 : 405쪽
· 출판일 : 2012-10-30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한국 한문학의 공간과 미학
율곡이이의 시세계에 대한 일고찰
1. 문제 제기
2. 율곡 시 이해의 한 단서
3. 율곡의 시세계와 미적 특질
4. 결론
16세기 호남 한시의 풍류론적 고찰
1. 문제 제기
2. 풍류 개념의 연원과 당대적 이해
3. 풍류의 수용과 형상화 양상
4. 호남 한시의 풍류성과 미적 특질
5. 결론
16세기 누정의 공간적 특성과 누정제영의 문학사적 의미
1. 문제 제기
2. 누정의 개념과 누정사 개관
3. 16세기 누정의 공간적 특성과 누정제영
4. 16세기 누정문학의 성행과 문학사적 의미
5. 결론
고산 윤선도 한시의 일고찰
1. 접근의 시각
2. 고산의 삶의 역정과 정치현실
3. 고산의 시세계의 제국면
4. 결론
제2부 한국 한문학의 주제와 형상
『동인시화』의 쟁점과 문학사적 의의
1. 문제 제기
2.『동인시화』의 쟁점과 성격
3.『동인시화』의 시적 전범
4.『동인시화』의 문학사적 의의
5. 결론
16세기 호남사림 한시의 무인 형상
1. 문제의 소재
2. 무인 형상의 몇 가지 양상
3. 무인 형상의 의미 지향
4. 결론
여헌 시에 있어서 '경'의 이념과 형상화 방식
1. 문제 제기
2. '경' 개념의 사적 추이와 범주
3. '경' 이념의 형상화와 도학적 시 세계
4. 결론
재난 주제 한시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1. 문제의 소재
2. 재난 개념의 연원과 범위
3. 재난 주제 한시의 유형과 형상화 양상
4. 결론
제3부 한국 한문학의 소통과 전변
전기소설 삽입시의 기능과 성격
1. 서론
2. 전기소설 이전의 삽입시 수용과정
3.『금오신화』삽입시의 기능
4.『금오신화』삽입시의 성격
5. 결론
조선 후기 한시의 변이 유형에 대한 일고찰
1. 문제의 소재
2. 변이의 유형과 형식적 특성
3. 언문풍월의 형성과 양식적 특성
4. 결론
19세기 문인의 지식 정리ㆍ소통의 한 양상
1. 머리말
2. 전통 시대 문인의 지식 정리와 역사적 추이
3. 19세기 문인의 지식 정리와『임원경제지』
4. 결론
19세기 말 한문지식인의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1. 서론
2. 현실 인식과 문학적 형상화 방식
3. 19세기 말 한문지식인 문학의 역사적 이해
4. 결론
제4부 한국 한문학의 발견과 확장
『용성창수집』연구
1. 문제의 소재
2. 판본의 대비적 고찰
3.『용성창수집』간행의 역사적 배경
4. 결론
고전 전산화에 있어서 신출한자의 유형과 처리 방안
1. 머리말
2. 신출한자의 개념과 유형
3. 신출한자 처리의 과정과 방안
4. 한자 처리의 과제와 전망
국제 표준한자의 이체자 연구
1. 머리말
2. 유니코드 BMP 영역 한자의 이체자 정보 DB 구축
3. 유니코드 Ext.B 한자의 이체자 유형 분석 및 DB 구축 방안
4. 결론
인명용 한자의 국제표준화 방안 연구
1. 문제 제기
2. 인명용 한자의 관리 현황과 문제점
3. 인명용 한자의 표준화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수록논문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