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설계
· ISBN : 9788984336476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8-08-01
목차
머리말
제1부 21세기의 화두,저출산 고령화사회의 도래와 현황
제1장 고령화사회란 무엇인가?
1.고령화사회의 어두운 그림자
2.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사회,한국의 쇼크
제2장 각국의 고령자주거시설 현황
1.복지선진국 스웨덴·영국·미국의 고령자주택
2.캐나다와 일본의 고령자주거복지정책과 시설체계
3.우리나라의 고령자주거복지정책과 시설체계
제2부 고령자의 주거환경현황과 대응
제3장 고령자 주거사정과 최저주거기준 결정
1.가족주기의 변화와 주거사정 예측
2.최소주거보장을 위한 고령자세대용 최저주거기준(면적)
제4장 주택내 고령자 안전사고의 현황과 대응
1.주택내 고령자 안전사고 유형과 최소안전기준설정의 필요성
2.주택내 안전사고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개조 필요성
3.Universal Design(UD)의 개념에 근거한 고령자주택설계의 원칙
제5장 치매를 치료하는 건축환경의 중요성
1.치매란 무엇인가?
2.치매를 치유하는 주거환경이론
3.치매노인을 위한 주간보호시설의 모형 검토
제3편 커뮤니티의 의미오 역할 변화
제6장 노말라이제이션(Normalization)의 의미와 커뮤니티의 재생
1.커뮤니티형성의 의미와 예방적 사회복지
2.예방적 사회복지로의 전개
제7장 지역자원 활용을 통한 지역복지의 기능전개
1.지역시설 활용과 노인복지
2.일본의 지역시설개조 활용 정책과 사례 특징
3.우리나라에서의 기존시설의 활용 가능성 : 서울 노원구 월계2동을 중심으로
제8장 지역거점화를 위한 고령자주택과 복지시설의 복합화
1.노인주택과 복지시설공급에 있어서의 기본개념의 전환
2.일본사례를 통해 본 주택과 복지시설의 복합화의 유형
제9장 중간시설로서의 일본 노인보건시설에 대한 평가
1.중간시설의 등장배경과 의미
2.중간시설로서의 노인보건시설의 평가
제4부 노인을 위한 유료주거시설의 등장과 의미
제10장 주목받는 유료노인주거시설
1.고령친화산업의 등장과 유료형태의 새로운 노인주거시설
2.일본 유료노인주거시설의 특징
3.일본의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임대면적비 분석
4.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유료노인주거시설의 기본모형 검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