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공학 > 토목/건축공학
· ISBN : 9791188339594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0-11-03
책 소개
목차
출간하며
서문
제Ⅰ부 제주도시건축의 현황과 친환경 구축의 필요성
1. 제주도시건축의 현황과 문제점_김태일
1-1. 제주도시건축, 무엇이 문제인가?
1-2. 제주도시건축의 친환경 구축이 필요한가?
1-3. 용어의 정리
2. 친환경건축의 국내외 사례외 시사점_김태일
2-1. 일본 사례1: 다케나카건설 동경지사(竹中工務店東京本店)
2-2. 일본 사례2: 일본과학미래관
2-3. 국내 사례: 홈플러스 부천점
3. 공공건축 업무환경의 사용자 평가_오창훈
3-1. 들어가며
3-2. 업무공간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가?
3-3. 군집분석에 의한 사용자의 유형화와 유형별 평가
3-4. 청사의 그린빌딩화에 대한 인식
3-5. 맺으며
제Ⅱ부 제주적인 친환경 건축 조성하기
4. 제주형 친환경 건축의 필요성과 인증기준 설정_현군출
4-1. 국외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기준
4-2. 국내의 친환경 건축물 인즈현황과 기준
4-3. 제주지역에서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원칙 검토
5. 친환경건축화를 위한 공공건축물의 재생_양건
5-1. 들어가며
5-2. 제1청사의 열손실현황분석
5-3. 에너지 절약측면에서 그린빌딩화 적용수법 및 타당성 평가
5-4. 맺으며
제Ⅲ부 제주도시 내 보행숲Greenway 조성하기
6. 친환경 보행숲Greenway의 필요성과 조성원칙_김태일
6-1. 들어가며
6-2. 제주도시디자인 전략으로써 보행숲Greenway 조성의 필요성
6-3. 절대적으로 녹지공간이 부족한 제주시 도시공간
6-4. 보행숲Greenway 조성을 위한 방향과 원칙
7. 보행숲Greenway 조성의 구체적 실천방안: -제주시 3대 하천 활용을 중심으로-_ 김태일·양건·현군출
7-1. 대상지 선정
7-2. 영향권분석으로 본 점(占), 선(線)적 요소 연계가능성
7-3. 문제점 도출을 위한 지역조사: 점, 선, 면적 요소(1단계 조사)
7-3. 보행숲Greenway 조성을 위한 시뮬레이션 대상지 선정(2단계 조사)
7-4. 대상지 영역별 보행숲Greenway 조성 시뮬레이션
7-5. 맺으며
책속에서
출간하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정책의 핵심은 전기차 100% 목표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자동차를 줄여나가는 정책, 전력공급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일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에너지 사용을 줄이는 정책이 중요한 것이다. 도시와 건축레벨에서의 정책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건축부분의 온실가스는 총 온실가스의 발생의 약 44%, 에너지 이용량의 약 62%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건축분야의 탄소배출억제정책이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녹색산업시장을 선도하고 기술습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적인 친환경구축사업 추진이 필요하며 대안으로써 좁게는 건축적 레벨에서의 추진과 넓게는 도시적 레벨에서 추진되어야 한다. 1차적으로 공공건축물을 중심으로 친환경건축 모델사업을 추진하면서, 2차적으로는 친환경도시 조성으로 연계 추진될 수 있도록 도시계획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