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88984451001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01-07-01
목차
제1부. 소개
1. 지침서의 배경과 목적
2. 자폐증의 사회성 결함과 의사소통 결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거 시도들
3. 개입에 대한 전통적 접근의 한계
4. 정상아동은 마음읽기를 한다
5. 마음읽기의 중요성 : 왜 마음을 읽어야 하나?
6. 자폐아동의 마음읽기 결함
7. 임상적 경험에서 얻어진 실례들
8. 마음 읽기를 가르칠수 있나?
9. 마음 상태 개념을 가르치기 위한 접근
10. 일반화의 문제 극복하기
11. 실험연구의 결과
12. 이 지침서는 누구를 위해 고안되었나?
13. 이와 같은 교수 접근의 한계
14. 이 지침서의 구성
15. 참고문헌
제2부. 정서에 대해 가르치기
1. 정서이해의 다섯 수준
2. 수준1 : 사진의 얼굴 표정 재인
3. 수준2 : 그림의 얼굴 표정 재인
4. 수준3 : 상황에 근거한 정서
5. 수준4 : 바람에 근거한 정서
6. 수준5 : 믿음에 근거한 정서
제3부. 정보적 상태 가르치기
1. 정보적 상태에 대한 이해의 다섯 수준
2. 수준1 : 단순한 시각적 조망 수용
3. 수준2 : 복잡한 시각적 조망 수용
4. 수준3 : "보아야 알게 된다"는 원리의 이해
5. 수준4 : 사람의 지식에 근거하여 행동 예측하기
6. 수준5 : 틀린 믿음의 이해
제4부. 가장 놀이의 발달
1. 가장 놀이의 다섯 수준
2. 가장 놀이 평가와 가르치기
제5부. 앞으로의 방향
1. 사람이 무엇을 원하는지.무엇에 관심이 있는지.또는 다음에 무엇을 할 것인지 추론하기 위해 사람의 눈길방향을 고려하기
2. 생각과 믿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진을 사용하기
3. 믿음을 나타내기 위해 만화의 "생각구름"을 사용하기
4. 함께 주의하기와 공감
5. 참고문헌
부록 반응기록지 예
1. 정서이해 : 반응기록지
2. 믿음이해 : 반응기록지
3. 가장놀이 : 반응기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