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84481794
· 쪽수 : 389쪽
· 출판일 : 2019-02-10
책 소개
목차
추천사_4
감사의 글_16
序言_23
1장 로스와 아펜젤러의 누가복음 번역의 차이_29
1. 심양에서 번역된 『예수성교 누가복음젼서』(1882)의 언어적 특징_30
2. 아펜젤러 수정본의 내역_35
3. 음운 현상과 관련된 표기의 교체_39
4. 어휘의 수정_45
5. 서울에서 수정된 『누가복음젼』(1890)의 의의_52
2장 19세기 말 로마서 번역문의 대비_55
1. 개신교의 초기 한국어 번역 성경의 의의_56
2. 만주에서의 번역 그리고 국내에서의 수정_58
3. 표기 및 음운 현상의 대조_62
4. 어휘 및 문법 요소의 대조_67
5. 같은 시기의 두 번역본이 갖는 의의_76
3장 최초의 완역본 『신약젼셔』(1906)의 완성 과정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_80
2. 시험역본과 임시역본_86
3. 『신약젼서』의 번역과 수정 및 출판 과정_93
4. 어휘와 어순의 대비_98
5. 맺는말_108
4장 국문텍스트의 국한혼용문화 원리_111
1. 『新約全書 국한문』(1906)의 국어사적 의의_112
2. 國文의 國漢混用文化: ‘다시 쓰기’를 중심으로_119
3. 1900년대 학회지 텍스트와의 비교_131
4. 맺는말_140
5장 『新約全書 국한문』(1906)의 비한자어 요소에 대한 고찰_143
1. 서론_144
2. 國漢混用文 飜譯 聖經의 類型과 그 傳承_146
3. 漢字語化되지 않은 요소_153
4. 漢字語와 非漢字語 형태가 共存하는 요소_154
5. 非漢字語 요소_173
6. 맺는말_180
6장 국한혼용문 성경의 정착 과정_183
1. 國漢混用文 聖經의 유형 및 계열_184
2. 판권 및 속표지 부분의 확인_189
3. 세 系列 國漢混用文 聖經의 交替 過程_200
4. 簡易 鮮漢文 舊譯 系列 聖經의 國語史的 意義_212
5. 國漢文 그리고 簡易 鮮漢文 舊譯과 簡易 鮮漢文 改譯_216
7장 국한혼용문 성경과 현대 한국어 문체의 상관성_219
1. 국한혼용문 성경 연구의 의의_220
2. 해체 혹은 변형: 개회기 국한혼용문의 형성_222
3. 국한혼용문 성경의 두 유형과 각 유형의 국한혼용문화 방식_233
4. 두 계역 국한혼용문 성경의 국어 문체사적 위상_239
5. 게일의 『?蒙千字』와 국한혼용문 성경의 문제_239
6. 개화기 그리고 국한혼용문 성경_242
8장 국어사적 연구 대상으로서의 한국어 번역 성경의 의의_245
1. 문체 혼돈기의 한국어 번역 성경_246
2. 선행 연구 동향_249
3. 국문 성경과 국한혼용문 성경_253
4. 문장 구조의 대비_259
5. 고유어와 한자어의 사용_261
9장 James Scarth Gale의 국한혼용문 번역 성경(1925)의 가치_267
1. 게일의 한국어 번역 성경의 국어국문학적 의의_268
2. 『奇一 新譯 新舊約全書』(1925)의 간행 의의_274
3. 한국어 번역 성경의 문체 변화_280
4. 문법적 특징_289
5. 어휘적 특징_297
6. 게일 번역 성경의 국어학적 가치_304
10장 한국의 속담과 수수께끼를 통해 초기 선교사들이 인식한 한국_309
1. 자료의 의의_310
2. 속담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 부류_320
3. 수수께끼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 부류_327
4. 외국인이, 외국인을 위해 수집?정리한 자료_332
5. 속담과 수수께끼에 담긴 어휘?문화 정보_339
11장 한국어 번역 성경의 외래어 표기 양상_343
1. 고유명사 표기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_344
2. 음운론적 고찰_345
3. 간접 음역과 직접 음역_361
4. 餘論_365
5. 서양의 고유명사에 대한 한글 표기 연구의 의의_368
結語_372
참고문헌_3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