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고전문학론
· ISBN : 9788984773349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6-11-20
목차
책머리에
제1장 序論
제1절 연구 목적
제2절 연구사 검토
제3절 용어의 개념
1. 문헌에 나타난 烈女의 개념
2. 용어의 개념 설정
제2장‘烈설화’의 전승양상과 의미
제1절 ‘烈설화’의 유형 구분
제2절 守節型 ‘烈설화’의 전승유형과 의미
1. <정절 지키기> 유형군
2. <남편 구하기> 유형군
제3절 毁節型 ‘烈설화’의 전승유형과 의미
3. <남편 위해 훼절하기> 유형군
4. <수절하기 어려운 사연> 유형군
제4절 話者의 특성과 烈인식
1. 話者의 性別과 烈인식
2. 話者의 계층의식과 烈인식
제3장‘烈설화’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
제1절 ‘守節型’에 나타난 烈行의 성격과 의미
1. 烈行의 명분과 실제
2. 烈行의 적극적/소극적 성격
3. 순응/저항, 피학성/공격성의 양면성
제2절 ‘毁節型’에 나타난 이념과 현실의 갈등
1. 부부애와 모성애의 갈등
2. 사회규범과 욕망의 갈등
3. 등장인물의 신분과 烈이념의 수용
제4장 문헌설화와의 대비고찰
제1절 문헌 소재 ‘烈설화’의 유형과 의미
1. 구비와 문헌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烈설화’ 유형
2. 문헌에만 존재하는 ‘烈설화’ 유형
제2절 구비 ‘烈설화’에 나타난 변이와 의미
1. 史實과 虛構의 결합과 의미의 전환
2. 새로운 삽화의 결합과 의미의 다중화
3. 설화 모티프의 변이와 의미의 변화
제3절 구비와 문헌에 나타난 ‘烈설화’의 烈인식 대비
제5장‘烈설화’에 나타난 烈인식의 변모와 현재적 의의
제1절 전통적 烈女觀과의 비교 고찰
1. 烈이념의 배경
2. 문헌에 나타난 烈인식의 전개
3. 조선조 烈女傳과 ‘烈설화’의 烈인식 비교
제2절 <남편 위해 훼절하기> 유형군에 나타난 烈과
貞節의 상황윤리적 성격
1. 毁節을 통한 烈의 실현
2. 正道와 權道
3. 닫힌 도덕과 열린 도덕
제3절 ‘烈설화’의 현재적 의의
1. 문학적 의의
2. 사회윤리적 의의
結論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