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유럽어문학
· ISBN : 9788984774360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09-08-25
목차
머리말/3
제1장 <47 그룹>:전후 독일문학의 초석
1. <47 그룹>의 생성 15
(1) '미국 루프': 미국전쟁포로수용소의 잡지 17
(2) '독일 루프': 독일 귀향병들의 잡지 18
(3) '스코르피온': <47 그룹>의 태동 21
2. <47 그룹>의 발전과정 24
(1) <47 그룹>의 특성 24
(2) <47 그룹>의 문학 28
(2)-1. ‘벌채문학’ 28
(2)-2. 형식위주의 문학 31
3. <47 그룹>의 기능변화와 해체 33
(1) 직업 비평가 그룹의 형성 33
(2) ‘47 그룹상’ 제정 36
(3) <47 그룹>의 와해 38
4. <47 그룹>에 대한 평가와 전망 41
5. 한스 베르너 리히터: <47 그룹>의 ‘대부’ 44
(1) <47 그룹>의 회합과 한스 베르너 리히터 44
(2) <47 그룹>의 지도자: 한스 베르너 리히터 47
(2)-1. 인간 한스 베르너 리히터 47
(2)-2. 작가 한스 베르너 리히터 48
(2)-3. <47 그룹>의 ‘지휘자’ 한스 베르너 리히터 50
(3) 한스 베르너 리히터에 대한 평가 53
제2장 <61 그룹>:노동자문학
1. <61 그룹>의 생성과 강령 59
(1) 시대적 배경 59
(2) <61 그룹>의 생성 61
(3) <61 그룹>의 강령 64
2. <61 그룹>의 성격과 형식 66
(1) <61 그룹>의 성격 66
(2) <61 그룹>의 형식 68
3. <61 그룹>의 대표적 작가: 막스 폰 데어 그륀 69
4. <61 그룹>의 전성과 쇠퇴 74
(1) 막스 폰 데어 그륀의 문학적 성공 74
(2) 시민문학으로의 전향 77
제3장 <작업조 70>:노동자문학의 실천
1. <작업조 70>의 생성 81
2. <61 그룹>과 <작업조 70>의 논쟁 83
3. <작업조 70>의 강령 및 활동 87
(1) <작업조 70>의 강령 87
(2) <작업조 70>의 활동 90
4. <작업조 70>의 출판활동 및 국제적 성격 95
(1) <작업조 70>의 출판활동 95
(2) <작업조 70>의 국제적 성격 98
(3) <작업조 70>의 현황 99
5. 노동자문학의 실천: 귄터 발라프 102
(1) 귄터 발라프는 누구인가' 102
(2) 귄터 발라프의 문학활동 107
6. <작업조 70>의 수용과 와해 109
(1) <작업조 70>의 수용 109
(2) <작업조 70>의 와해 111
제4장 에리카 룽에와 다큐멘터리문학
1. 에리카 룽에는 누구인가' 115
2. 에리카 룽에의 ''보트롭 보고서'' 117
(2)-1. ''보트롭 보고서''의 생성 119
(2)-2. ''보트롭 보고서''의 구성과 내용 123
(2)-3. ''보트롭 보고서''의 형식 129
3. ''보트롭 보고서''에 대한 평가와 논쟁 133
4. ''보트롭 보고서''의 가치와 의미 136
제5장 <빈 그룹>:아방가르드문학
1. <빈 그룹>의 생성배경: 전통적 표현형식에 대한 도전 139
2. <빈 그룹>의 성격: 실험문학 145
3. <빈 그룹>의 공동작업: ‘탈영역화된 아방가르드’ 147
(1) 몽타주 149
(2) 방언시 151
(3) 문학 카바레 154
(4) 구체시 156
4. <빈 그룹>의 수용: 문학이해의 확대 159
제6장 <그라츠 그룹>:‘포스트실험문학’
1. <그라츠 그룹>의 생성배경 165
(1) <포럼 슈타트파르크>의 설립:
보수적 문단에 대한 반대담론 167
(2) <포럼 슈타트파르크>의 활동: 학제적 예술 활동 169
2. 문예지 '마누스크립테'의 기능: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을 위한 언로 172
3. <빈 그룹>과 <그라츠 그룹>의 관계:
실험문학과 ‘포스트실험문학’ 177
4. <그라츠 그룹>의 특징적 요소 179
5. <그라츠 그룹>의 수용 181
(1) <그라츠 그룹>의 전성기 182
(2) <그라츠 그룹>의 쇠퇴기 184
(3) <그라츠 그룹>의 의미와 현황 187
참고문헌 190
주(註) 199
찾아보기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