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84916135
· 쪽수 : 279쪽
· 출판일 : 2013-10-31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가. 여성친화도시 공간 기획과 성평등의 문제
나.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현황
다. 지역사회 공간에 대한 여성 요구
라.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방안
3. 연구 방법
가. 국내외 도시권 및 성평등 도시 관련 문헌 연구
나. 지역사회 생활환경 조사
다. 심층면접(FGI)
라. 지역 참여 조사
Ⅱ.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과 성평등
1. 젠더화된 정주여건
가. 도시 공간의 사회적 구성과 젠더
나. 정주여건과 젠더 이슈
2. 도시 공간과 성평등 기반
가. 사회적 약자의 삶의 기회
나. 여성의 사회적 공간과 임파워링
Ⅲ.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현황과 쟁점
1.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기준
가. 법적 근거
나. 공간 조성 기준
2.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현황
가. 단위 시설 개설
나. 이동 관련 사업
다. 마을 단위 사업
라. 지구단위 계획
3. 여성친화도시 시민참여 공간 조성 사례
가. 익산시 여성친화 시범구역 사업
나. 시흥시 여성친화 시범 '노란 별길' 조성 사업
Ⅳ.지역사회 공간과 여성 요구
1. 지역사회 공간 이용 현황
가. 성별화된 시간과 공간 사용
나. 사회적 역할과 이동패턴
다. 사회 활동과 시ㆍ공간 제약
2. 젠더화된 공간과 형평성
가. 주거지 여건과 생활기회
나. 이동 여건과 사회활동
다. 공공 공간과 돌보는 역할
Ⅴ.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방안
1.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목표
가. 사업 추진 방향
나. 공간 조성 사업 목표
2.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구성
가. 생활권중심의 공간 체계
나. 근린생활권
다. 도시생활권
3.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추진체계
Ⅵ.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발전 방안
1. 법ㆍ제도적 개선
가.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의 법적 기반
나. 사업 추진 관련 법적 기반
2. 여성친화도시 공간 조성 사업 추진 체계화
가. 사업 추진 관련 조례 정비
나. 공간 조성 시범 사업 추진
3. 공간 사업 지원의 전문화
참고문헌
부 록
[부록 1] 지역사회 생활환경 조사 설문지
[부록 2]부표: 지역사회 생활환경 조사 설문 결과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