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84916463
· 쪽수 : 171쪽
· 출판일 : 2014-10-31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가.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 검토
나. 피해자 및 가족 심층면접
다. 종사자 면접조사
라. 외국 사례연구
마.전문가 자문회의
4. 연구흐름도
Ⅱ. 이론적 배경
1. 성폭력 피해 발생의 추이와 특성
가. 성폭력 피해 추이
나. 성폭력 피해 발생과 초기 대응의 특성
2. 관련 선행연구 검토
3. 성폭력피해자 가족 관련 주요 쟁점과 개입 영역
가. 성폭력피해자 가족 관련 주요 쟁점
나. 피해자 가족에 대한 개입 및 지원 영역
Ⅲ. 성폭력피해자 및 가족 심층면접조사
1. 피해자 및 가족 심층면접
가. 조사개요
나. 친족성폭력 피해자 사례분석 결과
다. 비친족성폭력 피해자 사례분석 결과
2. 부모사례조사
가. 조사개요
나. 분석결과
3. 소결
Ⅳ. 외국의 성폭력피해자 가족개입 및 지원
1. 미국
가. 성폭력피해자 지원에 대한 접근
나. 가족에 대한 개입 및 지원
2. 호주
가. 성폭력피해자 지원에 대한 접근
나. 가족에 대한 개입 및 지원
3. 소결
Ⅴ. 성폭력피해자 가족개입 및 지원 제도 현황과 평가
1. 피해자 가족개입 및 지원 제도 현황
가. 가족의 초기대응 및 역할 지원
나. 가족상담 및 치료
다. 가족 취약요인 사정 및 지원
라. 피해자와 가족의 보호 및 자립지원
마. 친권제한 및 상실, 공적체계에서의 아동보호
바. 가해자 치료 및 개입
2. 현행 제도의 문제점 및 과제 : 종사자 면접 결과를 중심으로
가. 가족의 초기대응 및 역할지원
나. 가족상담 및 치료
다. 가족취약요인 사정 및 지원
라. 피해자와 가족의 보호 및 자립지원
마. 친권제한 및 상실, 공적체계에서의 아동보호
바. 가해자 치료 및 개입
Ⅵ. 결론 및 정책과제
1. 결과요약 및 논의
가. 가족의 초기대응 및 역할지원
나. 가족상담 및 치료
다. 가족위험요인 사정 및 지원
라. 피해자와 가족의 보호 및 자립지원
마. 친권제한 및 상실, 공적체계에서의 아동보호
바. 가해자 치료 및 개입
2. 정책제언
가. 가족의 초기대응 및 역할지원
나. 가족상담 및 치료
다. 가족취약요인 사정 및 지원
라. 피해자와 가족의 보호 및 자립지원
마. 친권제한 및 상실, 공적체계에서의 아동보호
바. 가해자 치료 및 개입
■ 참고문헌
■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