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75817564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09-20
책 소개
목차
서문
부록: 작가의 육필 원고
Ⅰ. 비재현론과 버추얼리즘
1. 재현론적 시선과 장용학 소설에 대한 오해
2. 삶문학과 버추얼리즘(Virtualism)
Ⅱ. 비재현적 소설 지향과 언어의 문제
1. 근대적 언어표상에 대한 거부와 언어의 탈영토화
1) 오이디푸스화한 식민지 소설과 소설 언어
2) 한글전용에 대한 거부와 한자 사용
3) 사유언어의 도입과 언어의 탈영토화
2. 언어민족주의에 대한 비판과 거부
1) 유종호와 장용학의 논쟁
2) 유종호: 민족 정서를 담지하고 표상하는 토속어
3) 장용학: 포획하고 포획에서 탈주하는 힘의 언어
Ⅲ. 신체 능력에 대한 긍정과 ‘생성’
1. 지배적 표상의 거부와 신체에 대한 긍정
1) 삶에 대한 욕망과 ‘인간’이라는 표상에 대한 도전: 「인간의 종언」
2) 정상/비정상의 표상에 대한 초극: 「육수」
2. 전통적 가족 표상에 대한 부정과 ‘비인되기’
1) 가부장제에 대한 저항과 초극: 「원형의 전설」
2) ‘효(孝)’기표의 의미화에 대한 거부: 「상립신화」
Ⅳ. 국민국가의 포획을 넘어서
1. 국가장치의 폭력에 대한 진단과 거부
1) 북한의 국가 포획에 대한 탈주:역류」
2) 한국전쟁과 국민화에 대한 거부: 「요한 시집」
3) ‘법 폭력’에 의한 인민의 포획에 대한 거부: 「현대의 야」, 「청동기」
2. 독재국가의 ‘근대화’와 폭력에 대한 저항 그리고 혁명
1) ‘근대화’에 대한 진단과 거부: 「태양의 아들」, 「유피」, 「풍물고」
2) 독재국가의 포획에 대한 저항: 「부화」, 「잔인의 계절」, 「하여가행」
3) 국가에 반하는 혁명: 유고(遺稿) 「천도시야비야」, 「빙하기행」
3. 내셔널리즘의 포획을 넘어서
1) 제국주의 기표화에 대한 거부: 「상흔」
2) 역사(History)의 허구성 비판과 새로운 인종되기: 「부여에 죽다」
3) 내셔널리즘에 대한 거부와 비국민되기: 「산방야화」
Ⅴ. 저항과 생성의 반시대적인 문학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