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88984946439
· 쪽수 : 596쪽
· 출판일 : 2020-07-20
책 소개
목차
글을 엮어 내며
1부 북한 고고학의 형성 과정 시론
구석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해방 이후~1950년대
Ⅲ. 1960년대 초:구석기 고고학 연구의 전환점
Ⅳ. 맺음말
신석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해방 이후~1956년:고고학적 인식의 한계
Ⅲ. 1957년:신석기 고고학 연구의 전환점
Ⅳ. 1960년대 초의 학계 동향
V. 맺음말
청동기 고고학의 형성 과정-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해방 이후~1956년:고고학적 인식의 한계
Ⅲ. 1957년:청동기 고고학 연구의 전환점
Ⅳ. 1960년대 초의 학계 동향
V. 자연 유물 연구
Ⅵ. 맺음말
고조선 고고학의 형성 과정-해방 이후~1960년대 초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해방 이후~1950년대 중반의 학계 동향
Ⅲ. 고조선 고고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Ⅳ. 맺음말
종합 검토:북한 고고학의 형성기 설정과 관련하여
2부 연구 동향, 연구사
북한 고고학계의 구석기시대 연구 동향-제4기의 연구와 구석기시대의 시대 구분을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구석기시대 유적의 조사
Ⅲ. 제4기의 연구
Ⅳ. 구석기시대의 시기 구분
V. 맺음말
선사시대의 존재 양태와 겨레의 기원 문제
Ⅰ. 시대 구분의 체계와 그 배경의 검토
Ⅱ. 겨레의 기원 문제
초기(1945~1950년)의 북한 고고학
Ⅰ. 머리말
Ⅱ. 문화재 관계 법령의 제정
Ⅲ. 유적 조사와 발굴
Ⅳ. 학술지(<문화유물>) 간행
Ⅴ. 한흥수와 도유호
Ⅵ. 맺음말
북한의 구석기문화 연구 30년
Ⅰ. 머리말
Ⅱ. 1960년대의 연구
Ⅲ. 1970년대의 연구
Ⅳ. 1980년대의 연구
V. 1990년대 초반의 연구
Ⅵ. 맺음말
최근 북한의 청동기시대 연구 동향
Ⅰ. 머리말
Ⅱ. 무덤
Ⅲ. 성터
Ⅳ. 집자리
Ⅴ. 앞날의 과제와 전망
Ⅵ. 맺음말
195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Ⅰ. 머리말
Ⅱ. 당시 북한 사회와 고고학계의 동향
Ⅲ. 원시문화의 연구와 시대 구분
Ⅳ. 초기 금속문화와 고조선
Ⅴ. 고구려
Ⅵ. 맺음말
1960년대의 북한 고고학 연구
Ⅰ. 머리말
Ⅱ. 당시 북한 사회와 고고학계의 동향
Ⅲ. 원시문화의 연구와 계승성 문제
Ⅳ. 청동기시대와 고조선
Ⅴ. 고구려
Ⅵ. 맺음말
한국의 선사시대에 대한 북한 고고학계의 동향과 시각-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구석기시대
Ⅲ. 신석기시대
Ⅳ. 민족의 기원 문제
Ⅴ. 맺음말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에 대하여
Ⅰ. 머리말
Ⅱ. 북한 고고학계의 시기 구분
Ⅲ. 시기 구분론의 검토와 과제
Ⅳ. 맺음말
북한 고고학에서 보는 요서 지역의 신석기문화
Ⅰ. 머리말
Ⅱ. 1960년대~1980대
Ⅲ. 1990년대 이후
Ⅳ. 맺음말
3부 구석기시대 유적, 유물
굴포리 구석기 유적을 다시 논함
Ⅰ. 문제의 제기
Ⅱ. 발굴과 층위
Ⅲ. 석기의 분석
Ⅳ. 유적의 연대
Ⅴ. 맺음말
용곡 동굴유적을 다시 논함
Ⅰ. 문제의 제기
Ⅱ. 발굴과 층위
Ⅲ. 사람 화석
Ⅳ. 동물 화석
Ⅴ. 홀씨와 꽃가루
Ⅵ. 문화 유물
Ⅶ. 맺음말
용곡 제1호 동굴유적의 시기 구분과 문제점
Ⅰ. 문제의 제기
Ⅱ. 유적에 대한 몇몇 견해의 검토
Ⅲ. 퇴적층의 형성 시기
Ⅳ. 동식물 화석과 시기 구분
Ⅴ. 글을 맺으며
북한의 구석기 유적 연구
Ⅰ. 문제의 제기
Ⅱ. 한데유적의 검토
Ⅲ. 동굴유적의 검토
Ⅳ. 맺음말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연구
Ⅰ. 머리말
Ⅱ. 유적 개관
Ⅲ. 석기의 제작 수법과 분류
Ⅳ. 맺음말
북한의 선사시대 뗀석기 용어 고찰
Ⅰ. 머리말
Ⅱ. 제작 수법에 관한 용어
Ⅲ. 석기 분류에 관한 용어
Ⅳ. 맺음말
황해도 지역의 구석기 유적
Ⅰ. 머리말
Ⅱ. 평산 해상 동굴유적
Ⅲ. 황주 청파대 동굴유적
Ⅳ. 태탄 냉정 동굴유적
Ⅴ. 종합 고찰
Ⅵ.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