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문헌정보학
· ISBN : 9788985560320
· 쪽수 : 454쪽
· 출판일 : 2012-08-20
목차
용어해설 / xiv
제1장 목록의 이해 / 1
1. 목록의 의의 3
1) 목록의 의의와 기능 3
2) 목록의 요소 6
3) 목록의 종류 7
2. 목록규칙의 발달 17
1) 근대 목록규칙 17
2) 현대 목록규칙: 20세기 초반 19
3) 현대 목록규칙: 파리원칙 이후 21
3. 목록기술과 ISBD 24
1) 서지기술의 요소와 순서 25
2) 구두법 27
4. 서지적 관계 유형 28
1) MARC 형식의 서지적 관계 유형 28
2) Tillett의 서지적 관계 유형 29
3) Bertha의 서지적 관계 유형 29
4) Smiraglia의 서지적 관계 유형 30
5) 한국목록규칙 제4판의 서지적 관계 유형 31
6) FRBR 모형의 서지적 관계 유형 31
5. MARC의 개념과 발전 36
1) MARC의 개념 36
2) MARC의 발전 36
3) MARC 레코드의 구조 39
6. 메타데이터 40
1) 메타데이터의 개념 40
2) 메타데이터의 유형 40
3) DC와 MODS 41
제2장 한국목록규칙 제4판 / 47
1. 한국목록규칙 제4판의 특성 49
2. 단행본 총칙 53
3. 표제와 책임표시사항 62
4. 판사항 97
5. 자료특성사항 105
6. 발행사항 106
7. 형태사항 119
8. 총서사항 135
9. 주기사항 145
10. 표준번호 및 입수조건사항 163
제3장 KORMARC 형식 / 167
1. KORMARC 형식의 개요 169
1) 적용범위 169
2) 레코드의 구조 169
3) 설계원칙 175
4) 리더 176
5) 디렉토리 179
2. KORMARC 형식의 필드별 데이터입력 180
1) 제어필드(00X) 180
2) 숫자와 부호필드(01X~09X) 193
3) 기본표목(1XX) 209
4) 표제와 표제관련필드(20X-24X) 217
5) 판차, 발행사항(250-28X) 227
6) 형태사항(300) 231
7) 총서사항 (4XX) 233
8) 주기사항(5XX) 238
9) 주제명부출표목(6XX) 256
10) 부출표목 (70X-75X) 263
11) 연관저록(76X-78X) 268
12) 총서부출표목(80X-840) 281
13) 기타 (841-88X) 282
14) 로컬에서 정의한 필드 (9XX) 284
3. MARC 데이터베이스의 이해 285
1) 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인가? 285
2) 고장길이 레코드 구조의 데이터베이스 285
3) MARC의 구조 288
4) MARC 데이터베이스 구축원리 290
5) MARC 데이터베이스와 정보검색 293
4. MARC상의 자관 소장정보 표시 298
1) 개요 298
2) 자관 소장정보 입력방법 299
제4장 RDA (자료접근과 기술) / 309
1. RDA의 특성 311
1) RDA의 이론적 기반 311
2) 자원의 유형별 구분 311
3) 기술과 접근의 분리 314
4) 접근점 315
2. RDA의 내용구조 315
1) 서론 315
2) 속성 316
3) 관계 318
4) 부록 및 용어집 319
3. RDA의 기술 실례 319
1) AACR2와 RDA의 목록기술 비교 319
2) 레코드 작성 실례 322
제5장 MARC 21 형식 / 325
1. MARC 21 형식의 개요 327
1) 레코드의 구조 327
2) 리더 327
3) 디렉토리 327
4) 제어필드 327
5) 가변길이 데이터 필드 328
2. MARC 21 형식의 필드별 데이터입력 331
1) 제어필드 (00X) 331
2) 숫자필드 (01X-09X) 338
3) 기본표목 (1XX) 342
4) 표제 및 표제관련사항 (20X-24X) 350
5) 판차, 발행사항 (25X-28X) 360
6) 형태사항 (3XX) 365
7) 총서사항 (4XX) 370
8) 주기사항 (5XX) 372
9) 주제접근필드 (6XX) 383
10) 부출표목 (70X-75X) 388
11) 연관저록 (76X-78X) 392
12) 총서부출표목 (80X-840) 396
13) 소장정보 및 기타 (841-88X) 399
제6장 접근점 / 403
1. 접근의 의의 405
1) AACR 405
2) 국제목록원칙규범 406
3) RDA 408
4) 한국목록규칙 제4판 408
2. 접근점의 선정 408
제7장 주제명목록과 전거제어 / 423
1. 주제명목록 425
1) 주제명목록의 개념 및 특성 425
2) 주제명표목의 구조 426
3) 주제명표목표 427
2. 전거제어 429
1) 전거제어의 개념과 기능 429
2) KORMARC 형식의 전거제어 430
참고문헌 / 434
부 록 / 436
국제목록원칙규범 436
찾아보기 /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