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85622509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05-10-28
목차
머리말 역사서 이해하기 불상가사의 유형을 살펴보면 월간지 서평 중에서 제1장 우리 민족과 일본 청황가 I. 임나 일본부 이해 1. 일본 천황가는 어디로부터 왔는가 2. 엉터리로 된 가야사 3. 가야국 통치 연대 모순 4. 우리의 민족은 몽고족이다 5. 왜 일본은 역사 교과서를 왜곡한ㄴ가? 6. 을사조약과 한일협약으로 한일합방조약 태동 7. 우리나라 10대 사료 멸실 II. 천황가 계보는 한반도에서 건너간 도래인 1. 고령 가야인과 김해 가야인 혈통 2. 현 아키히토 일본왕은 백제후손 3. 백제 멸말시기 도래인이 일본에 유입 4. 귀화인과 도래인은 누구인가? 5. 독립기념과은 해방기념관으로 바꾸어야 한다 6. 경북 고령 땅 가야인 후손 정체 7. 일본은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나라 III. 김해 대성동 고분군 1. 떠돌이 민족 유목민과 유물 2. 3세기 말 북방 문물 대폭유입 3. 북방적 습속이 3세기 말 김해에 출현 4. 패망한 지배계층 집단 선진문물과 문화를 가지고 동해를 따라 단숨에 남하 5. 김해지역 발굴 토기와 똑같은 토기 일본서 발견 6. 인류가 한반도에 정착한 시기 7. 우리 민족의 신체적 체질 제2장 백제 건국신화 I. 백제 태동과 멸망 1. 백제 첫 도읍은 중국 하북 위례성 2. 한국 충남 공주의 무령왕릉은 가묘이다 3. 삼천 궁녀가 수장된 백마강은 설화이다, 백마강이 아니라 백강이다 4. 말갈과 백제의 싸움 5. 당, 신라의 연랍으로 쇠퇴기에 접어든 백제 Ⅱ 거짓 역사는 만들 수 없다 삼국사기는 대륙사관으로 볼 때 매국사관이다 1. 고려사는 이성계의 압력으로 정도전이 쓴 것이 아니다 2. 백제의 옛 땅에 있는 패수와 대수 3. 세종실록지리지 4. 삼국사기에 기록된 백제의 성 5. 백제 건국 신화와 설화 6. 백제 멸망의 원인 7. 주변국의 전쟁으로 도읍지를 옮긴 백제 Ⅲ 고구려를 건국한 왕망 1. 촉한, 위, 오 3국의 46년간 전쟁으로 백제 패망 원인 2. 백제가 망할 때 이상한 변란들 3. 백제와 고그려 시대 대성 씨 4. 한반도에 있어야 할 백제 흑치 상치 묘는 중국 북방산에 있다 5. 백제인 망국의 한을 담은 산유화 노래 6. 백제의 왕등 묘는 한국 땅에 단 한기도 없다 7. 도래인 선조는 도이다, 도이는 조이다 8. 소호금천씨는 신라 원시조이다. 김해 김씨 원시조가 아니다. 3장 한민족은 일본인의 선조이다 Ⅰ 한민족은 일본인의 직계 선조다 1. 일본 역사의 왜곡이 기록된 일본 서기들 2. 한국인과 일본인의 조상은 묘족이다 3. 삼국사기의 김부식 기록 4. 잊혀진 왕국 허상 5. 역사 실체 규명 노력 부족 6. 잘못 기록된 일본서기 부분 7. 백제가 망한 뒤 181년 지난 후 일본국이란 용어 등장 Ⅱ 천손족 1. 제왕운기에 표기된 동경은 한나라 도읍 장안이다 2. 세종실록지리지의 기록의 가야국의 위치 3. 잘목 기록된 김수로왕의 묘지 비문 4. 삼국유사에 김해부는 임해군이다 임해군은 중국 복건성이다 5. 다섯가야에 대한 지명 6. 김유신의 출생 비밀 7. 영남 관찰사 허엽은 명나라 15대왕 만력때 사람이다 Ⅲ 중국 사천성 안악현 쌍어문양 1. 보주태후 고향의 쌍어무늬에 대한 고증 2. 보주와 파군, 안악과 아유타의 관계 3. 세계 최다 불교 유물 많은 중국 사천성 4.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5. 중국 광동성 전주와 백제거리 제4장 일본 사학자가 본 일본과 가야국 Ⅰ 안악역사명인- 4회 학술 토론문 역주 1. 허왕후의 묘지 비문 2. 삼국사기 지리지에 나타난 기록 3. 고구려 도읍지는 평양이 아니고 중국 환인현이다 4. 고려 이전 한반도에 한자 기록 땅은 없다 5. 대가야는 중국 하남성과 복건성 일대다 6. 김유신과 가야국의 관계 7. 김유신 아버지 서현은 중국하북성 정정현 진주 태수라고 정사에 기록되어 있다 Ⅱ 건국 신화와 토속신앙과 무속의 이해관계 1. 건국신화에 나타난 신 2. 신화와 무속신앙 3. 신과 인간의 수명차이 4. 일본의 문방기술은 한국 선조가 전수했다 5. 팽이 놀이도 한국에서 건너간 것이다 6. 일본 역사 연구가가 본 일본과 가야국의 관계 7. 나당 연합군과의 싸움 제5장 찾아보기 1. 가야사 연표 2. 가야의 왕계도 3.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