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85863780
· 쪽수 : 127쪽
· 출판일 : 2021-08-01
책 소개
목차
서문
가장 이상적인 사회복지 철학 4
Ⅰ. 불교와 복지
1. 불교의 개요 12
1) 불교의 세계관 12
2) 불교의 기본 철학 14
3) 불교의 현대적 역할 23
2. 복지의 개요 25
1) 사회복지 기본 개념 25
2) 복지국가 이념 27
3) 환경 속의 인간 31
4) 빈곤문제 33
Ⅱ. 불교복지의 정의
1. 불교의 본질과 복지사상 38
2. 불교복지의 필연성 40
Ⅲ. 불교복지의 사상적 배경
1. 자비사상 44
1) 자비의 뜻 44
2) 자비의 종류 45
3) 자비의 정신 47
2. 보은사상 53
3. 평등사상 57
4. 보살사상 59
Ⅳ. 불교복지의 실천방법
1. 보시행 64
1) 보시의 뜻 64
2) 보시의 종류 65
3) 보시의 정신 69
4) 보시의 대상 73
5) 보시의 가치 75
2. 복전행 78
1) 복전의 뜻 78
2) 복전의 종류와 대상 79
3) 복전의 정신과 가치 85
Ⅴ. 불교의 복지서비스
1. 불교복지서비스의 목적 88
2. 불교복지서비스의 형태 92
3. 불교복지서비스의 특징 96
4. 현대와 불교복지 103
Ⅵ. 불교의 장애인관
1. 장애는 과연 업보인가? 108
2. 장애인에 대한 불교적 관점 111
1) 불교 경전 속의 장애인 111
2) 불교의 장애인복지 115
3. 불교장애인복지의 과제 121
Ⅶ. 결어
저자소개
책속에서
모든 생명체가 소중하다는 생명존중의 세계관으로 공존공생(共存共生)하는 불교복지사상이 미래를 걱정하는 지식인들의 상식이 된다면 우리 사회는 살 만한 세상이 될 것이다.
코로나19로 그동안 겪지 못했던 사회적 단절을 경험한 사람들은 물리적 공간이 아닌 가상의 공간과 연결된 혼합 현실에서 초개인화(Hyper Personaliztion)가 될 것이라고 예상하는데 초개인화 현상의 피해를 막으려면 우리는 인간다움(human being)을 잃지 않으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바로 이 인간다움이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_<서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