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건강에세이/건강정보
· ISBN : 9788986767414
· 쪽수 : 120쪽
· 출판일 : 2018-04-23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출간하며
초판 인사말
FAQ : 황반변성에 대해 자주 하는 질문 베스트
암슬러 격자
PART.1 눈과 시력 ▶ 박운철
우리 눈의 구조와 기능을 먼저 알고 시작하기
고대로부터 소중히 여긴 눈 │ 눈은 사물을 어떻게 볼까? │ 망막과 황반의 구조와 기능 │ 시력의 정의, 시력 측정법 │ 망막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안과 검사
Q&A 30
내 눈의 조절력은 얼마나 될까? │ 눈은 마음의 창? │ 밤에 책을 보면 눈이 나빠질까?
PART.2 황반변성의 발생과 진행 ▶ 문상웅
실명까지 일으키는 망막 질환, 황반변성은 무엇인가?
황반이 ‘변성’된다는 것은? │ 다양한 황반변성의 종류 │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노인성 황반변성 │ 황반변성의 원인과 진행 │ 말기 황반변성의 두 형태, 지도형 위축과 맥락막신생혈관
Q&A
황반변성인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
PART.3 노안과 망막 질환의 원인과 대책 ▶ 오재령
나이가 드니 잘 안 보인다… 노안일까 다른 질환일까?
가까운 것이 안 보이기 시작하면 ‘노안’ │ 흔한 노인성 안과 질환 백내장 │ 망막의 중심 ‘황반’의 노화 │ 또 다른 황반의 질환, 망막앞막 │ 심한 근시의 극단적인 예, 변성근시 │ 스트레스는 금물,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 눈에 생기는 중풍, 망막정맥폐쇄 │ 유전적 이상에 의한 황반이상증
Q&A
뿌옇고 침침한 것만으로도 안과에 가야 하나? │ 요즘 유행하는 노안 수술 │ 사물이 굴곡져 보이는 이유는?
PART.4 위험인자와 예방법 ▶ 송수정
나쁜 습관의 개선보다 더 좋은 눈 영양제는 없다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 시기가 중요 │ 남자와 여자, 성별에 따른 발병률 차이는? │ 유전적 요인은 없을까? │ 당뇨, 고혈압과의 상관관계 │ 고지혈증과 황반변성 │ 아스피린, 끊어야 할까? │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과 황반변성 │ 다른 안과 질환과 황반변성 │ 생활 속의 위험인자들과 예방 │ 황반변성 관련 위험인자 해석 시 주의점
Q&A
가족들은 멀쩡한데 왜 나만 황반변성이?
PART.5 황반변성의 치료와 관리 ▶ 김재석
빨리 발견하고 잘 관리하면 오랫동안 볼 수 있다
건성 황반변성 관리의 필요성 │ 현재 시행 중인 건성 황반변성의 치료 │ 연구가 진행 중인 황반변성 치료법 │ 이미 말기 황반변성으로 시력이 매우 저하된 경우
Q&A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법 │ 황반변성인데 백내장 수술을 받아도 될까?
PART.6 습성 황반변성의 치료 ▶ 조희윤
치료를 미루는 방치나 섣부른 자가진단은 금물
습성 황반변성 진단, 무엇부터 해야 할까? │ 실명에서 많은 사람을 구했다는 기특한 약 │ 황반변성의 관리 대책은? │ 이미 시력을 잃은 경우
Q&A
황반변성 치료 후 합병증이나 다른 문제는? │ 검사상 호전됐다지만 잘 느껴지지 않는데…? │ 눈 속 주사, 언제까지 맞아야 하나?
PART.7 황반변성에 좋은 음식 ▶ 유형곤
황반 색소를 증가시켜주는 음식을 섭취하라
질병과 먹는 음식의 관계 │ 포도와 산딸기 등 색깔 짙은 과일 │ 생리활성물질이 든 녹차와 커피 │ 황반색소를 증가시키는 음식들 │ 오메가-3 등이 풍부한 생선·올리브유 │ 한식과 지중해식으로 먹으면 눈에 좋은 콩
Q&A
좋은 조리 방법이 따로 있나? │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