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지리학
· ISBN : 9788987691671
· 쪽수 : 600쪽
· 출판일 : 2006-03-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한국 도시연구의 회고와 전망
1. 도시의 경제환경
1.1 도시와 경제
1.2 도시와 서비스업
1.3 도시와 토지개발
1.4 도시와 금융
1.5 도시와 교통
1.6 도시와 정보통신
1.7 도시와 세계화
1.8 도시와 통근
2. 도시의 사회환경
2.1 도시와 정치
2.2 도시와 사회조직
2.3 도시와 사회문화
2.4 도시와 주거
2.5 도시와 주거공동체
2.6 도시와 주민참여
2.7 도시와 이미지
2.8 도시와 신시간지리학
3. 도시의 문화환경
3.1 도시와 문화
3.2 도시와 역사
3.3 도시경관
3.4 도시와 건축
3.5 도시와 관광
3.6 도시마케팅
3.7 도시와 그린벨트
4. 도시의 자연환경
4.1 도시와 환경문제
4.2 도시와 기후
4.3 도시와 대기오염
4.4 도시와 지형
4.5 도시와 토양
4.6 도시와 수문
4.7 도시와 생태계
5. 도시와 공간정보시스템
5.1 도시와 고지도
5.2 도시와 지리정보시스템
5.3 도시와 원격탐사
5.4 도시와 토지피복 분류
5.5 도시공간 모델
5.6 도시성장 모델
리뷰
책속에서
도시민들의 사회·경제적 관계가 복잡, 다양화되고 자가용 소유가 보편화되면서 도시의 통근효율성(commuting efficiency)도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초과통근은 한 도시의 통근 패턴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최적상태의 패턴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를 비교하여, 그 도시의 통근효율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초과통근에 관한 연구는 미국과 일본 그리고 유럽의 도시들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었는데, 도시 및 교통지리학 분야뿐만 아니라 도시계획가 도시경제학 등 관련분야에 많은 함의를 가진다. 또한 초과통근은 단순히 공간적 이동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도시통근자의 사회, 경제적 요소와 도시내부의 구조, 그리고 심리적 요소까지 결부되어 나타나는 복잡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 본문 14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