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88988105504
· 쪽수 : 261쪽
· 출판일 : 2002-02-28
책 소개
목차
펴내는 글
Ⅰ. 사건과 담론
1. 한국의 국가폭력과 '잊혀진' 91년 5월 투쟁 - 조현연
2. 권력은 주체를 슬프게 한다 - 91년 5월 투쟁 읽기 - 김정한
3. '6.3 외대 사건'에 대한 언론의 '상징폭력화' 과정 - 이유경
4. 91년 5월 투쟁, 그 열려진 '역사적 의미짓기'의 장으로 들어서기 - 김윤철
Ⅱ. 성찰적 반성과 희망의 모색
5. 80년대와 90년대의 결절점 - 김원
6. 죽음의 정치에서 삶의 미학으로 - 91년 5월에 대한 문화적 접근 - 권경우
7. 알리바이, 죽음, 공간의 복원 - 하승우
8. 서독 68과 한국의 91년 5월 - 폭력과 도발의 문제설정 - 유진홍
9. 91년 5월 투쟁과 민주주의 - 한국 민주주의 연구를 위한 시론 - 이승원
기억1. 유서대필 사건 - 이석채
기억2. 외대 사건 - 정원택
기억3. 10년이라는 시간이 이제 우리를 말하게 한다 - 김윤철
기억4. 그날들
기억5. 91년 5월, 독일에서 - 양영미
기억6. 91년 5월 투쟁 일지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사는 기억과의 투쟁이자 망각과의 투쟁이기도 하다. 온갖 거짓의 고리, 진실을 가장한 허위의 껍질들을 벗겨내야할 필연성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그랬을 때,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거짓을 거짓으로, 비극을 비극으로, 진실을 진실로 정직하게 기억해내고, 그 기억을 역사 속에 생환시켜내는 일이 아닐까 싶다. 그것은 바로 역사에서 교훈을 얻고 희망의 근거를 찾는 것에 다름아니다. 1991년 5월 투쟁 당시 전면적으로 동원된 국가폭력과 그로 인한 죽음의 정치의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고, 5월 투쟁을 민주변혁투쟁의 역사로 복원시켜내는 것 역시 희망의 근거를 찾고자 하는 실천의 일환인 것이다. (- 본문 41쪽, 조현연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