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근대산문의 읽기와 글쓰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88375525
· 쪽수 : 277쪽
· 출판일 : 2000-12-15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88375525
· 쪽수 : 277쪽
· 출판일 : 2000-12-15
책 소개
문학교육에서는 언어적이며 방법 중심적인 시각을 상대화시키면서 주체적 시각을 견지하려고 한 점, 국어교육에 대해서는 글쓰기 문제 등을 담화이론과 문화이론 등을 매개시키는 문화론적 시각을 염두에 두고 바라보려 했다는 점 등이 눈에 띈다.
목차
1부. 국어교육과 글쓰기
글쓰기 교육의 방법론에 대한 반성
1. 문제제기
2. 전체 교육과정의 목표와 개별 과목 목표의 대비
3. 평가와 목표설정의 반성
4. 글쓰기의 순환과 목표설정
5. 결론
에피파니적 글쓰기와 발견의 방식
1. 문제제기
2. 긴장과 이완의 반복구조와 에피파니
3. 미시정치학과 근대적 정체성-'방심상태'와 '예의'
4. 결론
서사의 교육적 작용
1. 서사와 교육
2. 서사와 몇 가지 국면
문학교육과 신체성
1. 문학의 위기 문제
2. 신체.문학 및 교육
3. 신체론적 읽기의 관점
4. 신체론적 접근의 의의. 한계 및 딜레마
2부. 문화론적 관심과 소설 읽기
소설과 상징적 장치
1. 1930년대 후반기의 상황과 상징
2. <숭어>의 상징성
3. <숭어>가 놓인 자리
4. 결론
개별성 및 사적 영역의 부차화
1. 머리말
2. 개별성의 부차화
3. 사적 영역의 부차화
4. 문학적 분단의 비극
근대의 포획력과 그 힘에서 탈출하기
1. 들어가는 말
2. 포획과 도피
3. 신체 기능의 대리와 목소리의 부재
4. 전경과 후경의 결합방식
김남천의 해방 전 소설연구
1. 서론
2. 제1기-자아의 관념적 실천의지와 손상된 자아
3. 제2기-자아와 현실세계의 대결
4. 제3기-자아의 현실세계의 대결 소멸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