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88988165171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01-07-07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사의 위상과 서사교육의 지향 / 우한용
제1절 서사의 위상 변화
제2절 현대 서사론의 동향과 서사교육
제3절 서사교육의 가능성 탐색
제4절 서사교육의 이념적 지향
제5절 서사교육의 구상
제2장 서사교육의 의의, 범주, 기능 / 임경순
제1절 서사교육의 의의
제2절 서사교육의 범주
제3절 서사교육의 기능
제3장 서사의 본질 / 김혜영
제1절 서사에 대한 접근 방법
제2절 인간의 경험에 대한 이해
제3절 세계 이해 도식의 생산
제4절 소통 맥락에서의 인식 공유
제4장 서사현상의 구조와 체계 / 류홍렬
제1절 서사현상의 분류 기준
제2절 서술주체와 경험주체에 따른 분류
제3절 매체에 따른 분류
제4절 서사의 층위에 따른 분류
제5장 서사의 교육적 작용 / 문영진
제1절 서사와 교육
제2절 서사의 몇 가지 국면
제3절 서사적 지식의 의의와 한계
제6장 서사교육의 학습과정 / 김상욱
제1절 소설교육에서 서사교육으로
제2절 서사교육의 이념
제3절 서사교육의 목표
제4절 서사교육의 교육과정 내용
제5절 서사교육의 교재와 교수-학습 방법
제7장 서사교육의 교수-학습 방법론 / 최인자
제1절 서사교육 교수-학습의 전제
제2절 장르 중심의 매체 통합적 읽기
제3절 문제 중심의 서사 지식 생산
제4절 읽기/쓰기 통합 활동의 서사 문화 생산하기
제8장 서사교육의 평가 / 양정실
제1절 논의의 전제
제2절 서사교육 평가의 원리 및 지향
제3절 서사교육 평가의 도구 및 문항의 실제
제4절 서사교육 평가의 과제와 전망
제9장 서사활동과 서사문화의 창조 / 김성진
제1절 서사의 연행성
제2절 연행의 복원 행위로서의 비평
제3절 서사창작교육을 통한 서사문화의 확장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사교육은 기존의 소설이라는 문학장르 중심의 교육을 확장하여, 일상적이고 대중적인 다양한 문화 체험들을 문학교육에 수용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다.
소설교육에서 '서사' 교육으로 전환했을 때에 우리는 이상이나 이광수의 소설과 함께 김수현의 연속극과 박명찬의 광고, 인터넷 사이트에 떠도는 유머들, 그리고 서사 게임을 함께 교육에 수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요컨대, 서사라는 우산개념으로 일상적 텍스트와 문학적 텍스트, 문자와 영상, 구비 텍스트는 물론이거니와 문학교육과 국어교육, 매체교육, 또 국어와 역사, 사회 등의 교과까지 통합의 지평에서 교육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 252 쪽에서